처녀


 

회기동 단편선 [백년](2012) / [처녀](2013) 스트리밍 서비스 시작에 부쳐

 

“현 세태에 대한 (끼어들지 못하는) 관찰자로서의 메마른 감성을 가득 담고 있다. <이상한 목>의 점증되는 불안정성과 파괴적 이야기로 풀어내는 스토리텔링, 극단적인 변화로 곡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하는 <소독차>의 괴이함은 여태껏 ‘루저의 정서’를 불렀다고 알려진 어떠한 국내 포크 뮤지션보다 더 신선하다. (…) 음악인의 욕심이 효과적으로 전달된 몇 안 되는 앨범 중 하나이며, 이는 과장된 감정 전달로 듣는 이를 불편하게 만드는 주류 팝에서는 기대하기 힘든 수준에 가닿아 있다.” ― 이대희(프레시안), [백년]에 관해

 

“삶의 고단함과 비애의 정조가 어떠한 여과 없이 돌출된다. 특히 폭탄이 터지는 듯한 그의 목소리는 그 자체의 위력으로 아방가르드한 음악 세계를 뛰어넘어 정치적인 성격마저 띤다. (…) 회기동 단편선의 재능이 일체 망설임 없이 폭발하는 음반이다.” ― 오공훈(weiv), [처녀]에 관해

 

2006년, 회기동 단편선이란 이름을 짓고 공연을 시작했다. 2007년 3월 입대하기 전까지 1년가량 홀로 통기타를 치며 노래했다. 전역 후인 2009년부터 다시 활동을 재개했다. 2013년부터 단편선과 선원들이란 밴드를 조직, 2017년까지는 주로 밴드로 활동했다. 지금은 개인의 창작활동보다는 스스로 세운 독립음악 프로덕션 오소리웍스를 통한 음반 제작에 주력하고 있다.

 

[백년]은 2012년 4월 24일에 발매되었다. [처녀]는 이듬해인 2013년 6월 28일에 발매되었다. 2022년은 [백년]이 발매된 지 10년째 되는 해다.

 

[백년]과 [처녀]는 발매된 이래 국내외의 메이저 유통망을 통해 서비스된 적이 없다. 메이저 플랫폼에 대한 거부감과 배타적 권리로서의 저작권 체계에 대한 비판의식 때문이었다. 현재도 그에 대한 저항감이 없다 할 순 없다. 그러나 사람들이 음악을 향유하는 현재의 주된 방식을 마냥 무시하는 것도 꼭 옳은 방향은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마침 [백년]의 LP를 제작하자는 제안이 있었다. 남의 돈으로 하는 일에 폐 끼치기 싫었다. 이 음반을 기억하는 이가 이제는 몇 없을 것 같다는 걱정에 조금이나마 도움되는 일을 하고자 했다. 타협에 대한 초라한 변명이다.

 

[백년]의 발매 10주년을 맞아 메이저 플랫폼에서의 서비스를 시작한다.

 

[백년]을 만들던 시점, 갓 이십 대 중반에 접어든 젊은 아티스트였던 나는 그간 살아오며 채집하고 익힌 소리를 모두 담아낸 걸작을 만들고 싶었다. 그러나 스튜디오에서의 레코딩 경험이 거의 없던 내게는 그 모든 과정을 원하는 수준으로 통제해낼 역량이 없었다. 역량의 부족은 한계로, 그러나 장점으로도 작용했다. 의도를 넘어선 불균질함이 그대로 녹아들며 쾌와 불쾌를 오가는 묘한 색채감이 형성되었다. 걸작은 아니더라도, 대신 괴작에 가까운 무언가가 완성되었다. 음반 전반에 걸친 가족과 유령에 대한 테마와 더불어, 이 색채감은 이후 이어진 작업들의 잠재적 기원이 되었다.

 

[처녀]는 매우 급하게 만들어진 음반이며, 보다 더 괴작에 가깝다. 《레코드폐허》라는 언더그라운드 음악 페어에 출품하기 위해 반쯤은 농담처럼 만들었다. 제작하기로 처음 결정하고 완성할 때까지 한 달이 채 걸리지 않았다. 은평구 신사동에 위치했던 좆밥합주실(실제 이름이다)에서 일주일 동안 먹고 자면서 마음대로 레코딩하고 믹싱해서 냈다. 대부분의 편곡은 즉흥적으로 만들어졌다. 무언가 달뜬 상태에서 몰아치듯 작업하던 당시의 상황이 음반에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다. 아방가르드한 인디록, 인디포크에 가까웠던 전작에 비해 사이키델릭 록, 포크의 영향이 두드러졌다. 이는 [처녀] 발매와 거의 동시에 결성된 단편선과 선원들의 음악에 매우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비록 조악한 사운드지만 두 음반은 발매 당시 과분한 상찬을 받았다. 드문 괴작이기 때문일 것이다. 두 음반의 한계를 인정하는 동시에, 한편으론 지금 시점에 들어도 기이한 음반을 만들어냈다는 점에 대한 자부를 가진다. 자신이 자신의 작업을 기이하다 평하는 게 자신으로서도 이상하나, 자기 것도 오래 두면 자기 것처럼 안 느껴지기 마련이다. 이 음악들은 당시까지 형성된 취향의 어쩔 수 없는 반영이기도 하다. 괴작으로서의 선명함을 지닌 이 음반들에 나는 어쩔 수 없는 애정을 느낀다.

 

아티스트라는 직군을, 세계를 만들어내는 사람이라고 아주 오랫동안 정의해왔다. 그런데 그 세계는 없었거나, 없거나, 없어졌거나, 이후로도 없을 세계다. 우리는 픽션을 쓰고 그 픽션은 대부분 현실화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마음에는 남는다. 세계를 바꾸는 것은, 그럼에도 마음이다. 매우 잠재적으로, 그리고 매우 점진적으로. 이 두 음반에 수록된 곡들은 그 과정에서 산화되어 흩어진 픽션 조각들이다. 이 조각들은 단편선과 선원들, 그리고 이후의 작업들과도 알게 모르게 연결되어 있다. [백년]은 자립음악생산조합, 인혁당(인디혁명당의 준말)의 명의로 발표되었다. 나 또는 동료들과의 집합, 특히 사라진 조직인 자립음악생산조합이 만들고자 했던 없던, 없는, 없어진, 없을 세계를 듣는 분들이 조금이나마 이해 또는 양해해주셨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잘못을 바로 잡으며 글을 마무리 짓고자 한다. [백년]과 [처녀]를 포함한 작업 전반에서 섹슈얼한 심상을 여러 방식으로 활용해왔다. 성sex은 인간사의 아주 오래된 테마인 탓에 섹슈얼한 심상을 활용하는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창작자에겐 이를 어떤 방식으로 다룰 것인지 예민하게 살필 책무가 있다. 그 책무를 다하지 못했다.

 

[백년]에서 가장 알려진 곡 중 하나인 <오늘나는>은 “오늘나는술을마시면꼭여자에게추근덕대는”이란 구절로 끝난다. 노래의 전반적인 맥락에서 이는 ‘치근대지만 그 역시 오늘의 나’라는 식의 자조를 가장한 미성숙함과 폭력에 대한 옹호로 읽힐 여지가 있다. 픽션에선 다양한 캐릭터가 등장할 수 있다. 극의 전개를 위해 때로는 창작자가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와 상반되는 인물이 등장할 수 있음을 폭넓게 인정해야 한다는 게 평소의 지론이다. 그러나 <오늘나는>은 자전적인 성격이 강한 곡이며, 때문에 화자를 창작자와 잘라내듯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술을 빙자해 자신의 실책을 정당화하는 행위는 언제건 지양되어야 마땅하다. 당시 인식의 한계가 명백했음을, 이로 인해 책무를 다하지 못했음을 노래와 함께 기록해두고자 한다.

 

모두에게 고마운 마음이다.

 

― 단편선 (음악가, 프로듀서)

 

작곡, 작사, 편곡, 연주 _ 단편선
녹음, 믹싱 _ 이상우, 단편선
사진 _ 박정근
커버 디자인 _ 단편선
제작 _ 비싼트로피 레코즈, 단편선, 오소리웍스
음원 배급 _ 포크라노스

 

Instant Song


 

“가녀린 내 마음들이 모두 흩날리던 꿈, 술에 취해 늦은 밤도 내 음악에 살아요.”

 

 

Song & lyrics by 송하늘
Arranged by 송하늘

 

Vocal & Guitar by 송하늘
Bass by 이인산
Drum by 송하늘
Synth by 송하늘

 

Mixed by 안현우 of Polyp
Mastered by SONIC KOREA
Artwork by Nam Uk

 

넌 날 이해하지 못한다더라


 

[넌 날 이해하지 못한다더라]

 

Credits

 

Produced by Yohna @yohna___
Composed by Yohna
Arranged by Yohna, An0
Lyrcis by Yohna
Voice performed by Yohna
All other instruments performed by An0
Mixed by An0 @ajusung
Mastered by Yohna

RHYTHM


 

DNDD X LUCITE TOKKI [RHYTHM]
가슴에 일렁이는 물결처럼
귓가에 흩날리는 바람처럼

 

〈리듬(RHYTHM)〉은 화가 이고은의 그림과 어쿠스틱 팝 듀오 루싸이트 토끼의 음악이 함께한 프로젝트 앨범으로, 이고은 특유의 색감과 흐르는 듯한 기법으로 표현된 몽환적 형태를 루싸이트 토끼만의 반복과 변화를 오가는 조화로운 소리로 보고 듣는 이에게 입체적으로 전달하고자 제작되었다.

 

RHYTHM 1
〈리듬〉의 이미지를 받아본 첫인상은 사람의 몸을 그렸는데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잔잔한 물결이나 잔상을 남기며 흩날리는 리본처럼 보이기도 했다. 그리고 가만히 보고 있자면 그 안에서 아우라를 느낄 수 있었다. 그러한 익숙함과 낯섦의 경계를 표현하고자 익숙한 사람의 몸을 호기심을 가지고 이미지를 들여다 보며 낯선 무언가를 떠올리는 것에 집중했다. 그 결과 반복되는 패턴이 서서히 변형되다가 다시 시작점으로 돌아오는 형태가 만들어졌고, 그것을 토대로 익숙하고 조화로운 소리 사이에 낯설고 이질적 질감의 소리가 함께 어우러져 서로에게 섞여 드는 방식으로 곡이 탄생했다.

 

RHYTHM 2
〈리듬〉의 이미지에서 느껴지는 색감과 양감에 영감을 받아 편안하며 입체적인 사람의 몸을 그리며 곡을 만들어 나가기 시작했다. 깊은숨을 들이마시고 내쉴 때마다 팽창했다가 수축하고 다시 팽창하기를 반복하는, 끊임없이 변화하면서도 늘 유연하게 존재하는 몸을 표현하기 위해 곡의 리듬 속에서 변화와 반복을 주었다. 또한 실제로 숨소리를 녹음해 사용하기도 했는데 이미지를 통해 사람의 몸이 그렇게 보이지 않는 것처럼, 숨소리 또한 사람의 소리가 아닌 어딘가부터 퍼지는 무한의 울림으로 들리도록 의도했다. 우리가 이미지에서 느낀 온기와 숨의 리듬이 음악에서도 느껴지기를 바라며 곡을 완성시켰다.

 

Credits
Illustration by Lee Goeun (dndd.com)
Music by Lucite Tokki
Design by Lee Jeongheon

 

City Rights 3rd Season


 

세계적으로 대인기인 시티팝 커버 프로젝트 제 3탄!

 

이제 전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일본의 시티 팝 명곡 ‘Plastic Love’ 와 ‘Midnight Door’을 커버함으로 해외에서 주목을 받고 Spotify 총 조회수 400만을 넘는 Blu-Swing의 보컬리스트 타나카 유리에 의한 일본 시티팝 커버 프로젝트, ‘City Lights’ 3번째 이야기!

나의 약속


 

아웃오브블루(Out of Blue) [나의 약속]

 

“사람들은 자기가 원하는 모습대로 살아가길 원하고, 아직 살아보지 않은 시간에 적어둔 나의 미래는 발자국이 한번도 남겨지지 않은 설원처럼 아주 창창하고 팽팽하더라구요. 그걸 한 조각 마음에 품고 지금을 살아가면, 오늘의 발걸음이 조금은 더 힘차지 않을까. 뭐 그런 생각으로 장난스럽게 적어두었던 곡입니다. 1절은 초등학교 3학년 때의 일기이고, 2절은 중학교 2학년 때 그 일기장 뒷 편에 적어두었던 저의 편지입니다.”

 

[Credits]
Produced by 아웃오브블루
Composed & Lyrics by 아웃오브블루
Arranged by 홍갑

 

Guitar. 홍갑
Bass. 김정민
Drum. 신동훈

 

Mix & Mastering. 김정민 @스튜디오완성

 

MV
Made by 엔터타인 Enter:Ta-in Film Crew
entertainfilmcrew@gmail.com

 

Artwork
김형석 @textureofemotion
아웃오브블루 @outofblue_
박준영 @design_defined.by

 

empath


 

Kenichiro Nishihara (켄이치로 니시하라) 정규 7집 [empath]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받게 된 장르인 로파이 힙합, 재즈힙합에 있어 지금까지도 가장 주요한 인물로 여겨지는 ‘누자베스’(Nujabes)만큼이나 한국이 사랑하는 또 하나의 프로듀서 ‘켄이치로 니시하라’(Kenichiro Nishihara). 아티스트만의 특별한 멜로디 센스와 따뜻하고도 아름다운 세계관이 장르와 국경의 울타리를 넘어 폭넓은 층으로부터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그의 일곱 번째 정규 앨범이 2년이라는 시간을 거쳐 마침내 세상에 나오게 되었습니다.
아련한 피아노 선율과 힙합 비트의 조합에 부캐 프로젝트인 “ESNO”에서 선보였던 일렉트로닉적인 요소, 여기에 자신의 음악적 뿌리와 같은 Jazz에 대한 사랑까지 아낌없이 더하며 재즈, 힙합, 팝, 전자음악을 넘나드는 새로운 세계관을 선보입니다. 더불어 Michael Kaneko, Tamala, Kojikoji, J-Live, Fat Jon, Substantial, The Fiver Corners Quintet 등 동서양의 다채로운 동료 음악가들이 함께했습니다.

 

코로나 이전까지 한국, 중국 등에서 1000석 규모의 대형 공연을 포함한 아시아 투어를 성공적으로 치뤘고 Tamala, SIRUP, mabanua, Michael Kaneko, 한국 프로듀서로는 Jay Lee까지 많은 아티스트들과도 협업을 하고 있는 켄이치로 니시하라, 더욱 단단해진 그만의 오리지널러티를 느껴볼 수 있는 이번 앨범은 그의 팬들에게 또 하나의 좋은 선물이 될 것입니다.

 

WORMHOLE


 

[WORMHOLE]

 

1. WORMHOLE

 

시간과 차원을 넘나드는 통로, 웜홀(Worm hole).
보편적으로 상상하는 웜홀의 이미지와는 다른 D’allant의 웜홀은 생명의 향기가 풍요로운 우주에서도 손에 꼽히는 아름다운 명소다.
D’allant의 따뜻한 웜홀에서 새로운 감각이 열리며 처음 마주하는 것들의 경이로움을 보고한다.

 

Credits

 

Composed by D’allant
Lyrics by D’allant
Arranged by D’allant

 

Vocal by DAYE
Background Vocal by DAYE, Pizzafairy
Piano by Pizzafairy
Synth by Pizzafairy
Bass by Pizzafairy
Contra Bass by Pizzafairy
Drum by Pizzafairy
Guitar by Pizzafairy
Percussion by Pizzafairy

 

Recorded by 정일진 @ K-NOTE
Mixing & Mastering by i.i, eeajik

 

Art direct & Cover design by 김은하
Executive Producer by 강현철 (LEO. KANG) T9-H Ent.

 

 

KEY BOARD


 

일상적이며 지극히 평범하게 시작되었다.
변함이 없어 보일 지라도 그 안에 우리는 조금씩 다르게 살아간다.
매일 같은 타자를 치지 않듯이.

 

Credits

 

작곡 – Q the trumpet, 이하림
편곡 – Q the trumpet
피아노 – 이하림
베이스 – Joon’s Second Life
나머지 모든 것 – Q the trumpet

Who Knows?


 

하나를 오래 사랑한다는 건 참 쉽지 않은 일.
(Stop Thinkin’ and Move!)

 

Credits
Produced & Mixed by paulkyte(폴카이트)
Mastered by 권남우 @821 Sound Mastering
Artwork by Regina Kim @regina.graphic

 

자유


 

‘DRENCH’ [자유]

 

Through Love
사랑 안에서 우린 자유로워요

 

Lyrics by DRENCH
Composed by DRENCH
Arranged by DRENCH

 

Bass by 백경진

 

Artwork by Sohyun Lim

 

Recorded by 김대성, 문정환, 이상철 at TONE Studio
Mixed by 김대성 at TONE Studio
Mastered by 김대성 at TONE Studio

 

Dance


 

잡힐 듯 말 듯 한 당신의 춤사위.

 

Credits
Lyric by MUL, gnoo
Composed by Loytoy
Arranged by Loytoy
Mixed by Loytoy
Mastered by Loytoy
Album Artwork by @in.o.tatto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