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마음

1. Plus +
2. 영원
3. 공상
4. LIVE, INSECT
5. 약혼
6. 나무집
7. 괴물
8. 연인
9. Alaska

 


 

오영 [우리마음]

0에 하나씩 더하고 흰색 배경에 겹겹이 덧칠해나가는 마음, ‘우리마음’ 입니다.

제 첫 정규앨범 ‘우리마음’을 들려드리게 되어 정말 기뻐요.
제게 우리마음이 무엇인지 여쭤보는 분들이 많으셨는데, 이는 기쁨, 슬픔, 분노, 즐거움 등 변화무쌍하지만 때로는 변함없고 한없이 가벼운 바람에도 움직이곤 하지만 때로는 어떠한 돌풍에도 무너지지 않는 마음, 우리 모두 가졌지만 같은 것은 하나도 없는 우리의 마음 그대로를 의미합니다.

제 마음은 다른 누구의 것과 같이 특별하기에 그 여러 단면을
들여다보며 느끼는 여러분의 마음도 특별한 경험을 하기를 바랍니다.

01. Plus +
같은 일상에 하나하나 더해 달라지는 삶에 대해 노래했습니다.
변화는 두렵지만 때로는 다음 발을 내디뎌야하겠죠.

02. 영원
영원한 것이 과연 있을까? 하면 전 역시 없다는 편에 손을 들어주겠지만
영원을 원하는 인간의 무한한 시도는 영원할지도 모릅니다.

03. 공상
저는 팔다리가 잘린채 심해에 부유하고,
저의 꿈은 흐려 눈앞이 캄캄해도 공상은 끝나지 않습니다.

04. LIVE, INSECT
외로운 밤의 음악가, 벌레야 살아라!

05. 약혼
서류들과 계약, 산들바람에도 날아갈 가벼운 것들로 그대를 묶어
함께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는 비뚤어진 사랑에 대해 노래했습니다.

06. 나무집
엉성하게 지은 아이의 나무집은 전기도 가스도 들어오지 않지만,
그만의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엉성하게 만들어진 리듬속 평화를 노래했습니다.

07. 괴물
괴물과 대화하려면 일단 안전한 거리를 확보한 상태로 상대가 적의가 있는지
확인하고, 없다면 단순한 표정, 간단한 수신호 등으로 서로의 의사를
주고받아야할 것 같아요. 때로는 그 마음이 도중에 식어 전달이 안 되더라도
분명 마음이 통하는 순간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08. 연인
사랑을 하면 종종 이대로 아무것도 변하지 않길 바라는 순간이 왔고,
그렇게 되면 제 모든 것은 멈춰버리곤 했습니다. 사랑이 끝나면 항상
뒤처져버렸던 제가 점점 계산적이고 가까워지기 힘든 사람이 되어가지만
여전히 길이 남을 불을 함께 지피고 싶다는 마음을 노래했습니다.

09. Alaska
설산과 얼음 낀 호수가 있는 제 마지막에 당신은 무슨 말을 건넬까요?
.
CREDIT
전곡 작사, 작곡, 편곡 – 오영
3번 트랙 “공상”
작사, 작곡 – 오영, Lotion fnk
전곡 녹음, 믹싱, 마스터링 – 오영
커버 그림 – wyw_kiki98

M/V CREDIT
배우 : 채하나, 왕호연
연출, 편집 : 안지훈
공동 연출 : 정예림
프로듀서 : 안지훈
촬영 감독 : 백승원
1st 촬영 보조 : 이태범
2nd 촬영 보조 : 최영웅
미술 감독 : 정예림
헤어&메이크업 : 이은서
스타일링 : 이은서

Loyal

1. Loyal (feat. neverunderstood)

 


 

제 목표는 이 불구덩이 속에서 살아남는 것!

[CREDIT]

Lyric by neverunderstood
Composed by Loytoy
Produced by Loytoy
Mixed by Loytoy
Mastered by Loytoy

Album Artwork by 정유영(@you_zero_www_)

마지막화

1. 마지막화

 


 

어릴적에 보던 만화나 드라마 혹은 게임의 마지막 화에 보면 엔딩 음악이 깔리며 지나왔던 수많은 시간들의 회상장면과 더불어잊고 있었던 많은 등장인물들이 우르르 나타나서 주인공을 맞아준다든지 하는 그런 장면을 떠올리며 쓴 곡입니다.

[CREDIT]
Produced, Lyrics, Composed, Arranged, Mixed by 소년소녀마법단

Drums by 조성준, 양민규
Bass by 김정웅
Piano by 양정주, 소년소녀마법단
Guitar, Synth by 소년소녀마법단

Recorded by 소년소녀마법단, 신지은 @필로스플래닛, 폰드사운드 스튜디오
Mastered by 박정언 @허니버터 마스터링

 

1. 꿈 (Still I Love You)
2. 꿈 (Still I Love You) (Inst.)

 


 

김수영 [꿈]
빈티지한 터치로 빚어낸 지난 밤의 꿈 이야기

두 번째 EP [Don’t Know] 발매 이후 조금은 숨을 돌릴 법도 한데, 김수영은 그렇지 않았다. 오피셜 유튜브 채널을 통해 매일 한 곡씩 커버와 데모곡을 공개하는 ‘1일 1노래 챌린지’를 진행하는가 하면 아이유의 다섯 번째 정규 앨범 [LILAC]에 작곡과 연주로 참여하기도 했다. 그렇게 김수영은 천천히, 그러나 단단하게 2021년의 페이지를 채워나갔다. 따뜻하고 평온한 5월의 끝자락, 김수영이 새 노래를 들고 우리 앞에 나타났다.

김수영의 새 싱글 [꿈]은 어느 날 그가 꾼 꿈에서 출발했다. 기억조차 희미하지만 이상하고 불안한 감정만큼은 선명한 꿈에서 깨어난 그는, 문득 사랑하는 이들이 떠나갈 것만 같은 불안한 걱정에 휩싸였다고. 이불에 몸을 파묻고 잠을 청하는 대신 그는 기타를 집어 드는 것을 택했다. 일상의 모든 순간을 포착해 작품으로 치환하는 것이 음악가의 숙명이라면, 김수영은 그 운명에 순순히 응한 셈이다. 사랑하기에 그만큼 사랑받고 싶은 역설적이고도 솔직한 마음이 노래 곳곳에 숨어있다. ‘Still I Love You’라는 부제가 비로소 이해되는 순간.

지난 김수영의 작업물과 궤를 달리하는 가장 큰 지점은 외부 편곡자와의 협업이라 할 수 있겠다. 실리카겔의 일원이자 솔로 프로젝트 놀이도감의 대표자로 왕성한 활약을 펼치는 싱어송라이터/프로듀서 김춘추가 전체적인 편곡부터 기타를 비롯한 베이스, 피아노 등 다양한 악기 연주까지 트랙 전반에 빈티지한 터치를 더했다. 김춘추 특유의 우아하면서 목가적인 사운드 톤이 음악의 중추를 이루지만, 결국 청자의 마음을 동하게 하는 것은 다름 아닌 김수영의 진실된 목소리다. 덤덤하면서 솔직한 그의 고백은 이내 곧 우리의 불안과 우울마저 씻겨낸다.

자, 소개는 끝났다. 김수영의 꿈 이야기에 접속할 시간이다.

키치킴 (포크라노스)

[CREDIT]
Lyrics by 김수영
Composed by 김수영
Arranged by 김춘추

Performed by 김춘추
(AG, EG, Bass, EP, Back vocal, Clarinet arrange, Synth, Percussion)
Chorus by 김수영, 김춘추
Drums by Gleepy

Recorded by 김춘추 @ormd.studio
Mixed by 김춘추 @ormd.studio
Mastered by 신재민 @Philo’s Planet

[MAGIC STRAWBERRY SOUND]
Executive Producer 정준구
Project Manager 안지현
Management 한정현, 남연우
Support 임형나, 김수진, 배민지, 이규선

M/V directed by 박기림 @limooo

Executive | MAGICSTRAWBERRY CO., LTD
Management | MAGICSTRAWBERRY SOUND

1. 녘 (노래 – 김일두)

 


 

비로소, 당신에게만 물으려는 일
“생각의 여름”이 쓰고 김일두가 부르는 [녘]

“새벽은 동쪽을 뜻하는 “새”와 “밝-”의 변형인 “벽”이 붙은 말이랍니다. 이 밤의 밖이 진정 새로 밝을 수 있는지, 묻고 싶게 만드는 사람이 당신입니다.” – 작사, 작곡/박종현

[Credits]
제작: 박종현
작사, 작곡, 편곡: 박종현

노래: 김일두
기타, 건반: 박종현

녹음: 최혁(노래), 박종현(기타, 건반)
믹스, 마스터링: 민상용/스튜디오 로그

아트워크 디자인: 김기조
사진 원본: 제주 고산리 통통이네

Paint

1. Paint

 


 

구월(Guwall) [Paint]

그림같았네, 우리

[Credit]

Lyrics & Composed by 구월(Guwall)
Arranged by 구월(Guwall)
Produced by 구월(Guwall), 겸(GYE0M)
Piano by 구월(Guwall), 조태원
Recorded by 겸(GYE0M)
Mixed & Mastered by 겸(GYE0M)

Artwork by 구월(Guwall)

safety in the moon

1. dreaming
2. 5:21
3. summer twilight
4. virtual moon
5. lovely lavender
6. rainfall
7. riding clouds
8. carriage

 


 

Nitsua [safety in the moon]

일본의 대표적인 재즈힙합 프로듀서인 故 ‘누자베스’(Nujabes)에게 19세의 젊은 나이에 극찬을 받았던 프로듀서/비트메이커 ‘니츠아’(Nitsua). 2009년, 누자베스의 레이블 ‘하이드아웃 프로덕션'(Hydeout Productions)에서 음반 발매 제의를 받았고 누자베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또 한 명의 프로듀서.

Sebajun(누자베스의 본명)이 자신의 아티스트 이름을 본명의 백워딩(Backwording)으로 지은 것과 동일하게 그 역시 본인의 성인 Austin을 백워딩하여 ‘니츠아’란 이름을 지어 사용하고 있다.

전작 [safety in the sun] 과 함께 비교해서 들으면 좋을 앨범.

RED

1. 널 잡으러 가는 길

 


 

2년의 공백기 동안 더욱 성장해 보다 신선한 음악으로 돌아온 JIJI
7가지의 싱글 중 첫 번째 색깔 빨강(RED)

어느 순간부터였을까
음악을 만들기 앞서 ‘어떤 주제의 음악을 만들까?’, ‘무슨 내용을 다룰까?’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했었다.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 담 군다.’라는 과거 선조들의 지혜가 깃든 속담처럼 고민과 염려가 마음속을 가득 메워 오랫동안 마무리하지 못한 곡들이 넘쳐나던 상황이 지속되곤 했다.
갈피를 못 잡던 중에도 잔상이 계속해서 남던 아이디어 하나가 있었는데, ‘색깔’이란 형태가 지니고 있는 신비로움에 매료되었다.
‘색’이란 고유의 특징과 이름이 이미 정해져 있지만 사람마다 해석이 다르고 때와 장소에 따라 다른 분위기를 자아내는 특징에 큰 매력을 느껴 음악 안에 색깔을 입히고, 색깔을 음악으로 풀어내고 싶다는 강한 자극을 받았다.
상엔 다양한 색깔들이 있지만 색깔들을 떠올렸을 때 아무래도 나는 개인적으로 무지개의 색들이 떠오른다.
무지개의 색깔들은 모두에게 친숙하고 또 친숙하기에 각각의 색깔마다 부여한 감정이 있을 터고, 하지만 모두가 같은 감정을 공유하지는 않을 거란 생각이 나의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했다.
무지개에 담긴 색깔들을 하나하나 음악으로 풀어내고 싶었고, 음악을 세상에 내놓음으로 사람들에게 내가 느낀 색깔의 감정을 공유하고 싶었고, 사람들도 내 음악에서 각자의 감정을 음악에, 색깔에 풀어낼 수 있는 앨범을 만들겠다고 결심한 끝에 앨범 제작을 결정하게 됐다

앨범의 첫 주자가가 된 ‘빨간색’에는 어떤 형태의 음악을 담으면 좋을까 오랫동안 고민을 했는데 떠오른 오브젝트들 중 ‘빨간 문, 분홍신, 장미, 흐르는 피’ 등 ‘빨강’이 나에게 준 이미지는 굉장히 강렬한 느낌이었다

‘장미와도 같이 매혹적인 이미지를 가진 여성이 있다.
타인들의 눈에 보이는 그녀의 이미지는 붉게 빛나며 찬란한 듯해 보이지만 실은 그녀의 내면은 공허함과 무력감에 휩싸여 빈 껍데기 같이 텅 비었다.
그녀는 가려졌고 그저 그녀를 둘러싼 젊음만이 빛을 낼 뿐이다.’

빨강색이 내게 준 이미지는 진득하고 꾸덕꾸덕하고 텁텁했다.
마치 가면처럼 껍질처럼 포장지처럼 저 아름답고 영롱한 색깔 뒤에 무언가를 숨기고 있을 것 같은 느낌을 항상 주었던 것 같다.
아름답게 빛나고 있다고 해도 아름다운 것이 아니고,
강한 존재감을 드러낸다고 해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색깔

[CREDIT]
Produced by JIJI
Co-produced by JIJI

Mixed by JIJI

Mastered by JIJI

Album Artwork JIJI

Sci-Fi Short Film

1. bet777.kr
2. 태평양
3. 빙글빙글
4. Hack a Web (feat. Nubset)
5. bet777.kr (Mignon Remix)
6. 태평양 (Syunman Remix)
7. 빙글빙글 (Tap.T Remix)
8. Hack a Web (VENKO Remix)

 


 

인터넷 키드 몰디(Moldy), 사일러밤(Sylarbomb)과 함께 떠나는
감각의 싸이파이 인터넷 뮤직 여행 [Sci-Fi Short Film]

비트코인 거래소 앱을 처음 설치했을 때의 감각을 기억하는가? 아무리 스크롤을 내려도 끝없이 등장하는 알 수 없는 이름의 코인들. 한계란 없다고 말하는 듯 올라가거나 떨어지는 숫자. 실시간으로 쉴 틈 없이 바뀌는 코인 순위. 모든 게 알 수 없고 두렵지만 그래도 한 몫 챙기러 왔으니 베팅을 하지 않을 수 없겠지. 과감히 매도 버튼을 누르는 순간 베팅한 금액을 따라 시간과 공간이 블록체인의 세계 속으로 휩쓸려 간다. OLED 스크린 너머의 숫자의 움직임에 따라 때론 베이퍼웨이브처럼 늘어지고 어쩔 땐 게토테크처럼 빠르게 분절되어 흐르는 순간들. 인터넷 마약이 있다면 이런 기분일까. 황홀하면서도 아찔한 중독. 결국 수차례 빨간색 알약과 파란색 알약을 번갈아 먹고 마이너스가 찍힌 지갑을 확인한 후 여행은 끝나거나 영원히 계속된다.

그랙다니(Grack Thany)의 래퍼 몰디(Moldy)와 프로듀서 사일러밤(Sylarbomb)이 만든 프로젝트 앨범[Sci-Fi Short Film]은 인터넷이 존재하는 시대에 태어난, 비약해 인터넷에서 태어난 인터넷 키드의 인터넷 뮤직을 표방한다. 인터넷 뮤직은 메타버스에서 언리얼 엔진으로 만들어진 아티스트의 오토튠이 걸린 목소리로 공유된다. 디파이코인으로 도네를 받고 공연한 음악은 글리치 또는 8비트 픽셀 이펙트를 걸어 NFT로 제작해 판매한다. 위는 그냥 ‘최신 인터넷 유행어’를 누더기처럼 기워 놓은 문장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존재할 수 있는 세상일테고 누군가에게는 낯설고 이해할 수 없는 세계일 것이다. 인터넷 세계는 인간이 인지하기엔 지나치게 빠르고 시간과 공간의 축을 구분하지 않은 채 분절되며 우리는 길을 잃은 채 골드러쉬의 광부처럼 ‘대박’을 꿈꾼다.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익숙한 욕망으로 작동하지만 이를 채우기엔 한없이 낯선 감각. [Sci-Fi Short Film]은 바로 이 감각을 표현한 음반이다.

첫 곡 ‘bet777.kr’의 키워드는 ‘아무리’다. 아무리 멍청해도, 아무리 가득해도, 아무리 기억해도 무리지만 아무리 날 막아서도 숫자에 베팅하는 감각을 노래한다. 몰디의 래핑은 술에 취한 듯하고 사일러밤의 비트는 카지노 슬롯머신처럼 긴박하게 움직인다. ‘태평양’은 [Sci-Fi Short Film]이 선사하는 감각의 절정이다. ‘bet777.kr’에서 베팅한 주인공은 성공을 꿈꾸며 태평양을 떠돈다. 잔잔해 보여도 거친 표면을 가진 바다 같은 비트 위에서 몰디는 비가 오는 화면을 서핑한다. 다이나믹한 신스가 돋보이는 비트와 몰디의 멈블랩이 대조를 이루는 ‘빙글빙글’은 이 여행의 종착점이 어디인지 알 것 같은 느낌을 준다. 마지막 곡 ‘Hack a Web’에서 주인공은 어느새 망가져 보인다. 해킹당한 뇌처럼 ‘생각해 빨리’를 반복해도 생각은 떠오르지 않고 ‘격차를 줄’이라 허세를 부려 보지만 찾아오는 결말은 ‘Rest in Peace’다. 이는 해피엔딩일 수도 배드엔딩일 수도 있다. 감각은 이분법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Sci-Fi Short Film]에서 거친 모듈라 신스 사운드와 무거운 비트 위에 흐느적 대는 몰디의 래핑은 인터넷 시대의 감각을 환기시킨다. 아쉽게 끝난 이들의 싸이파이 인터넷 뮤직 여행은 인터넷 친구의 리믹스로 반복된다. 여기에 실린 네 트랙은 리믹스라기보다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인터넷 밈처럼 보인다. 미뇽(Mignon), 션만(Syunman), 탭 티(Tap T), 벤코(Venko) 등 다양한 프로듀서 진은 [Sci-Fi Short Film]의 감각을 한층 확장한다.

사일러밤과 몰디의 크루 그랙다니는 ‘Taken from the Internet’라는 모토처럼 언제나 인터넷 키드로서 인터넷 세대를 표현하고 흐름을 만드는 데 집중해 왔다. [Sci-Fi Short Film]은 그간 빚어온 그랙다니라는 조형물에서 가장 뾰족하고 예민한 부분만 잘라 만든 앨범이다. 다시 말하자면 [Sci-Fi Short Film]은 감각의 앨범이다. 모든 게 빠르게 넘쳐나는 시대에서 길을 잃은 당신에게 [Sci-Fi Short Film]은 짧은 여행이기보다 끊임없는 피드가 되어 당신의 감각을 깨울 것이다.

-하박국 (영기획YOUNG,GIFTED&WACK Records 대표)

[Credit]
Executive Producer : Grack Thany
Album Producer : Moldy, Sylarbomb
Mastering Engineer : Syunman
Photographer : Qin Xione
Video Director : ML, nopitchonair
Remix Track Producer : Mignon, Syunman, Tap.T, VENKO

[Tracklist]
1. bet777.kr
Produced by Sylarbomb
Lyrics by Moldy
Mixed by Sylarbomb, Syunman

2. 태평양
Produced by Sylarbomb
Lyrics by Moldy
Mixed by Syunman

3. 빙글빙글
Produced by Sylarbomb
Lyrics by Moldy
Mixed by Syunman

4. Hack a Web (feat. Nubset)
Produced by Sylarbomb
Lyrics by Moldy, Nubset
Mixed by Syunman

5. bet777.kr (Mignon Remix)
Produced by Mignon, Sylarbomb
Lyrics by Moldy
Mixed by Mignon

6. 태평양 (Syunman Remix)
Produced by Syunman, Sylarbomb
Lyrics by Moldy
Mixed by Syunman

7. 빙글빙글 (Tap.T Remix)
Produced by Tap.T
Lyrics by Moldy
Mixed by Tap.T

8. Hack a Web (VENKO Remix)
Produced by VENKO, Sylarbomb
Lyrics by Moldy
Mixed by VENKO

밤 (The Night)

1. 밤 (The Night)

 


 

[앨범 소개]
WOOL의 새로운 싱글 [밤 (The Night)]
스타일리시한 사운드와 사색적인 가사로 풀어낸 ‘밤’

울이 새로운 싱글 [밤 (The Night)]으로 돌아왔다. 영어와 한글을 자연스럽게 오가는 울의 가사에는 깊은 사색이 담겨있다.

밤이란 누군가에게는 오롯한 혼자만의 시간, 숙면의 시간이자 불면의 시간이기도 하다. 울은 [밤(The Night)]에서 스스로를 어두운 밤에 홀로 남아있는 자로 표현한다. 달이 뜨고 질 때까지 깨어있는 인물의 상태 변화를 워드플레이로 녹여낸 점이 흥미롭다(‘달이 떴지만 어두워지는 마음’, ‘달은 저무는데 내 마음은 들 뜨네’). [PARANG]과 [MIRROR]에 이어 모던한 사운드와 사색적인 가사의 조합으로 또 한 번 밤을 위한 사운드트랙을 선보인다.

[CREDIT]
Produced by WOOL
Mixed by WOOL
Mastered by SONICKOREA

Album Artwork
Painted by 원호재
Designed by 원호재

Album introduction
Written by 신샘이

다들 웃고 싶어 하지 (feat. YIMNAO)

1. 다들 웃고 싶어 하지 (feat. YIMNAO)
2. 다들 웃고 싶어 하지 (feat. YIMNAO) (half up ver.)

 


 

다들 웃고 싶어 하지

다들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웃고 싶어 합니다.
그래서 유튜브도 보고 낄낄거릴 만한 것들을 찾지만 정작 웃음이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하고 알 수도 없어서 남이 보증한 웃음만 기다립니다.

진정으로 웃을 수 있다는 것은 한 가지만을 의미합니다.
웃는 법을 아는 사람이 웃고 싶을 때 웃을 수 있거나, 웃기를 선택하지 않거나.

웃는 법을 알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웃음이라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웃음과 극점에 있는 울음을 이해해야 합니다.
둘은 동전의 양면처럼 뗄 수 없으면서도 전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다들 아무 생각 없이 웃고만 싶어 합니다.
웃음을 이해할 기력도 없습니다.
펑펑 울 시공간도 없습니다.

진짜 웃고 싶다면 일단 울어보세요.

[Credit]

Produced By SLEEQ, YIMNAO
Composed By Brokeboi
Arranged By SLEEQ, YIMNAO
Lyrics By SLEEQ, YIMNAO
Recorded By YIMNAO @SafariSUN, SLEEQ @102water
Mixed By YIMNAO, SLEEQ @MINGO13
A&R By 이청, 문지원, 장수련
Management By 한국인
Marketing & Promotion By 당신의 여름 Your Summer

Pursue

1. Los York
2. Northridge
3. The Days Gone By
4. Indecision
5. December 11th
6. Pg54
7. The Days Gone By (Alternate Version)

 


 

현재 New York에 머물며 활동 중인 베이시스트 조재현의 첫 번째 앨범이다. 오랜 시간 동안 Los Angeles와 New York에 머물며 얻은 음악적 경험과 생각들을 앨범에 담아냈으며 이번 앨범에 프로듀싱뿐만 아니라 모든 곡의 작곡과 편곡을 맡아 하였다. 참여 뮤지션으로는 Trumpet과 Flugelhorn에 Alex Sipiagin, Tenor Saxophone에 Rich Perry, Piano에 Nery Kim, Drums에 Mark Ferber가 함께 하였다.

[CREDIT]
Produced by 조재현
All composed & Arranged by 조재현
Performed by
Trumpet & Flugelhorn Alex Sipiagin
Tenor Saxophone Rich Perry
Bass 조재현
Piano 김네리
Drums Mark Ferber
Recorded by Hai Li at Dolan Studio in NYC
Mixed & mastered by Dave Darlington at Bass Hit Studio in NYC
Artwork by 조재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