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마


 

서투르게 하는 음악으로도 서울살이를 이어갈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함을 느꼈었는데 음악도 서울도 버거워지더니 감사한 마음이라곤 이미 오래 전의 것, 멀리 서서 바라보는 예쁜 뻥처럼 되어 있었다. 단지 해오던 일을 할 뿐, 누구도 짊어지운 적 없는 책임감으로 스스로와의 싸움에만 포커스를 두고 외부에서 보내주는 힘은 오히려 함정인 것처럼 대했다.

 

어쨌든 이어나가기만을 위해 얼마 전 올해에도 첫 공연을 했다. 다른 것보다 스스로 자연스러운 마음으로 다녀오는 것이 가장 큰 목표였어서 그 마음을 이래저래 준비해둬봤지만 결국엔 또 무대에서 보이지 않는 무언가와 싸우듯 긴장과 아닌 듯함을 오가며 불편함을 뿌리고 내려왔다. 찾아와 준 관객분들이 오히려 찾아왔던 게 미안했겠다 싶을 정도로 나는 나를 빤히 드러내 놓고 숨기에 바빴다. 다른 신경을 쓰고 싶지 않아 나에게만 집중하려 했던 것이 서로를 갈 곳 없이 만들었던 것 같기도 하다. 올해도 이럴 셈인 건지, 후유증이 오래갔다.

 

이렇게 불편해하며 할 이유가 뭘까, 하다가 늘 그렇듯 하고 있는 작업만큼은 끝내자는 결론이 나서 다시 스스로의 질문은 일단 덮어두고 마음 어딘가에 지니고만 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오기로만 만들어진 이유로는 도저히 자연스럽고 편한 자세를 못 하겠는 것이었다. 음악이 이유였던 서울생활이었는데, 억지로 음악을 한다는 사실이 결국 나,를 자꾸 멀리 낯설게 밀어냈다. 그렇게 스스로를 어디에도 있지 않은 이방인으로 만들어가면서 하루 하루 돌이킬 수 없이 꼴사나워지고 있었다. 그래서 가만히 앉아 미뤄둔 실패감과 슬픔을 잔뜩 마셨더니 해방감이 살짝 불어왔다. 드디어 그토록 다시 원하던, 내 꼴을 마주보게 된 상황인 건가?

 

마음을 뒤적이며 여러 나를 끄집어내고 어질러왔는데 고마움으로 버티는 어설픈 쪼다가 드디어 제 옷을 입은 게 느껴졌다. 그러면서, 그렇기에, 이런 나에게 찾아온 마음과 상황에 진심어린 고마움이 일렁이는 듯 했다. 그 고마운 마음들을 누려야 자연스러운 에너지를 만들어낸다는 것과 그 누림을 보답하려는 마음이야말로 정확하게 바퀴모양을 하고 있었다는 게 기억났다.

 

2021. 2 김수아

 

 

[라이너노트]

 

고개를 조금 숙이고 말해본다. 고개를 들고 말하면 허공에 흩어져버릴 것 같아서. 큰 소리로 말하면 머물지 않고 도망가버릴까 봐서. 어쩌면 잘 들리지도 않을 나지막한 소리로. 도마.

 

어감이 좋아서 쓰기로 했다는 이름, 도마. 도마 덕분에 우리는 ‘도마’라는 말이 가지고 있던 부드럽고 따뜻한, 유쾌하고 애틋한 질감을 비로소 발견하게 되었다. ‘하고 싶은 말을 닮은 말이 너무 많아서’, 그 모든 말을 대신해서 말해본다. 빗방울 같았던 그 이름. 도마.

 

꿈은 어디에서 시작되는 걸까. 잠에서 깨는 순간과 잇닿아 있는 그 끝을 우리는 비교적 선명히 알아챌 수 있다. 하지만 꿈이 시작되는 순간은 안개 속에 서 있는 것처럼 모호하고 흐릿하다.

 

도마가 돌아왔다. 도마가 돌아왔다니. 꿈인가? 꿈일 것이다. 확인하듯 말하는 게 아직도 너무 힘들지만, 도마는 우리 곁을 떠나 영영 돌아올 수 없는 길로 가버렸으니까. 도마가 가고 난 뒤 오랫동안 그 사실이 믿기지도 실감이 나지도 않았다. 망원동 골목을 걷다 보면 어느 모퉁이에선가 불쑥 마주칠 것 같았고, 주말 저녁 상수동 제비다방에 들르면 지하의 작은 무대에서 노래하는 도마를 볼 수 있을 것만 같았다. 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너 가고 난 뒤 난 눈물도 안 나 가만히 앉아 있’다는 도마의 노래처럼 가만한 시간을 보낼 수 있었을 뿐이다. 그러니 도마가 돌아왔다는 건 꿈일 것이다. 꿈이어도 좋다. 벌떡 일어나 ‘멀리서 달려오는 두 팔’이 되어 맞이하고 싶은 기꺼운 꿈. <도마>가 돌아왔다.

 

<도마>는 <도마0.5>와 <이유도 없이 나는 섬으로 가네>에 이은 도마의 세 번째 음반이다. 앞선 두 음반이 도마와 세계의 만남 혹은 도마가 세상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마주하게 된 감정들을 그리고 있다면, 2집 <도마>를 들으면 자신의 내면 풍경을 들여다보는 도마의 모습이 떠오른다.
앨범의 전반부인 [잠든 마음]과 [서울], [거리의 거리]를 지나 [웅크리고 있는 게 편했다]를 통해 도마는 서울살이의 쓸쓸함과 인간관계의 고단함에 대해 이야기한다. 노래하는 것이 좋고 음악이 좋아서 올라온 서울에서의 삶. 즐거움만 있는 것은 아니었겠지만 도마는 늘 밝고 유쾌해 보였다. 그 뒤에 자리하고 있던 쓸쓸함의 크기에 대해 굳이 먼저 물었던 적 없는 나는, 이 곡들을 들으며 비로소 그 크기를 짐작해볼 수 있었다. 이 지독하게 쓸쓸하고 아름다운 곡들을 지금에 와서 안아준다고 해서 위로가 전해질 순 없다는 사실이 아프다. 그렇다면 그 아픔까지도 끌어안고 가던 길로 가야지. 그것이 도마가 알려준 방법이다. ‘사랑을 하는 내 마음도 못 미더워 불을 끄고 죽어 있었다’고 할 만큼의 아픔을 도마는 ‘아무도 모르는 춤을 추’며 가던 길로 가는 것으로 극복한다. 아니, 극복이 아니더라도 그냥 그러기로 한다. 알아주는 이가 없더라도 절망 속에 웅크리고 있기보단 다리 저편으로 건너가는 편을 택한다. 거기엔 네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막연하지만 상쾌한 희망을 품고서.[아무도 모르는 춤을 춘다]

 

비 내리는 풍경 속에서 빗소리를 듣던 어느 순간을 떠올리며 어떤 말로 그 순간의 아름다움을 잘 담아낼 수 있을지 고민해보는 즐거움. 그 즐거움을 도마가 좀더 오래 누릴 수 있으면 좋았을 텐데. 만약 그랬다면 얼마나 많은 아름다운 순간을 우리에게 전해줬을까. 도마의 화양연화는 아직 오지 않았다. 미래에 있다. 만약 추억할 만한 과거였다면 좀더 분명한 말들로 표현했을 것이다. 하지만 도마는 ‘하고 싶은 말을 닮은 말이 너무 많아서’ 어떤 말이 적당할지 고르는 중이었다. 빗방울을 질투할 정도로 그 아름다움을 담아내고 싶어했다.[화양연화]

 

도마. 항상 먼저 마음을 열고 다가와줬던 사람. 원래 그 자리에 있었던 것처럼 자연스러웠던 사람. 기쁠 땐 어린아이처럼 기뻐하고 화날 땐 아주 분명하게 화낼 줄 알았던 정직하고 솔직한 사람. 기분이 내킬 땐 훌쩍 떠났다가 또 어느새 친구들 곁 자기 자리로 돌아오던 자유로운 사람. 도마는 그런 친구였다. 기꺼이 함께 길을 잃어도 좋은, 어디로든 함께 흘러갈 수 있는 친구. 이제는 눈을 감아야 만날 수 있게 된, 사랑하는 친구. 꿈이어도 좋으니까, 겨울이 오고 눈이 내리면 우리 눈감고서 만나자.[겨울 발라드]

 

도마가 남겨둔 <도마>라는 세계
도마 2집 <도마>는 그가 남기고 간 작업을 도마의 다른 멤버인 거누가 이어받아 마무리해 세상에 나올 수 있었다. 누군가 남겨두고 간 꿈을 이어받아 완성된 작품으로 만드는 과정엔 얼마만 한 고민과 책임감이 필요한 걸까. 거누는 그 큰 짐을 기꺼이 떠안아 끌고 왔다. 모르긴 해도 팀의 리더이자 친구인 도마의 작업을 부족함 없는 작품으로 마무리해야 한다는 부담이 굉장히 컸을 것이다. 멋진 앨범으로 <도마>라는 세계를 완성해낸 거누에게 감사와 박수를 보낸다.

 

우리에겐 도마와 함께할 ‘또 다른 많은 시간이 필요했’는데. 도마는 너무 일찍 떠나버렸다. 그 사실이 안타깝고 사무치는 만큼 우리는 이 앨범 <도마>와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될 것이다.

 

한잔의 룰루랄라 | 이성민

 

Credits

 

Produced by 거누
Co-Produced by 카코포니
Drum Recorded by 오혜석 (@molstudio)
Clarinet Recorded by 박진호 (@긴가민가스튜디오)
Mixed by 오혜석 (@molstudio)
Mastered by 성지훈(@jfsmastering)

 

Lyrics by 김도마
Composed by 김도마, 거누(Track 8)
Arranged by 김도마, 거누, 카코포니(Track 3, 5, 6, 7)

 

Vocal by 김도마, 거누(Track 9)
Guitar by 거누, 김도마(Track 1, 2, 3, 4, 5, 6, 7)
Midi programming by 김도마(Track1, 2, 3, 4, 5, 6, 7), 거누(Track 8), 카코포니(Track 3, 5, 6, 7)
Bass by 김철순 (Track 1, 3, 4, 5, 6) , 거누 (Track 7, 8, 9)
Drum by 양현모 (Track 1, 4)
Clarinet by 박진호 (Track 7)

 

[Album Design]
Album Cover Art by GINA
Physical Album Designed by GINA
Photo by 홍예리, 화양사진관

 

무더운 겨울


 

추운겨울, 설레는 내맘을 전해
너와함께 무더운 겨울을 보내고 싶다.

 

Credits

 

작곡: D.no (디노), khild
작사: D.no (디노)
편곡: khild

 

GUITAR: 흑설탕
BASS: khild
DRUM; khild
PIANO: khild
SYNTH: khildCHORUS: D.no (디노)Mixed by khildMastered by khildPhotography: 송민지 (밍끼 @m1ng_kk1)
Model: 정은지 (@_jungeunji0)

 

크로스워크


 

싱어송라이터 ‘에몬’, ‘놀이도감’ 이 서로의 곡을 커버한 Special Collaboration Album!

 

개성이 강한 두 뮤지션이 서로의 곡을 새롭게 해석하여 신선하고 다채로운 편곡으로 재탄생 시킨 이 앨범은 스튜디오 필로스플래닛의 바이닐 제작 프로젝트인 PPRV 시리즈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필로스플래닛은 서울을 기반으로 국내외 다양한 인디펜던트 뮤지션들의 앨범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레코딩, 믹싱, 마스터링 스튜디오다.
빈티지, 아날로그에 대한 집요함이 느껴지는 이곳은 최근 국내외의 다양한 바이닐 제작에 마스터링으로 참여하며 그 퀄리티를 인정받고 있는데

 

이러한 필로스플래닛에서 기획 제작하는 바이닐시리즈 PPRV의 두 번째 넘버가 이번에 발매되는 ‘Cross Work’, 싱어송라이터 ‘에몬’과 ‘놀이도감’이 각자 서로의 곡을 커버하고 연주해, 7인치 도우넛 바이닐에 수록하였다.

 

7인치 바이닐 발매와 함께 디지털 스트리밍 릴리즈도 동시에 진행되었는데 디지털 음원을 통해서도 특유의 따뜻한 아날로그 사운드를 엿볼 수 있다.

 

탄탄한 실력과 독특한 감성의 두 뮤지션이 함께 만들어낸 아름다운 선율에 귀 기울여 보자.

 

Credits

 

소나무 숲의 전설 (CW Ver.)
Written by Kim Chunchu a.k.a playbook
Arranged by emon
Vocals and Guitars emon
Bass chiyoonhae
Drums Gleepy
Synthesizers emon
Recorded by Kim Chunchu, emon
Mixed by Jaimin Shin

 

나쁜 말 (CW Ver.)
Written by emon
Arranged by Kim Chunchu
All Vocals and instruments by Kim Chunchu
Recorded & Mixed by Kim Chunchu

 

======================================

 

emon x playbook ‘Cross Work’
Mastered by Jaimin Shin at Studio ‘Philo’s Planet’
Produced by emon, Kim Chunchu
Illustrated by Youngjin Ki
Designed by Bigsleep, Jaimin Shin

 

Waves


 

헨느 (henne) [Waves]
언젠가 폭풍이 올 것만 같았던 불안한 밤이었다.
올 수도, 오지 않을 수도 있는 폭풍을 우리라면 사랑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만 같았다.
그 날 밤 우리는 폭풍 속에서 춤을 췄다.

 

I was anxious as if a storm was on its way to me that night.
Whether the storm was on its way or not, I felt like we could greet the storm in a graceful manner if we were together. And that night, we found each other dancing among the storm.

 

[CREDIT]
Produced by 김지혜

 

Lyrics by 강혜인
Composed by 김지혜
Arranged by 김지혜

 

김지혜 (Keyboard, Synthesizer, Percussion, Programming)
강혜인 (Vocal)
강혜인, 5moon (Chorus)
slowminsteady (Guitars)
이연준 (Bass)
김남훈 (Drums)

 

Vocals Recorded by Yonghee Park at Black Key Studios
Mixed by 강은구 at eunstudio
Mastered by Kevin Peterson at The Mastering Palace, NYC

 

Artwork by U_mean

REVERSE TOUR


 

HNGIN 행인
[REVERSE TOUR]
지구와 우주를 잇는다. 이 음악으로써
CONNECT, the Earth and the universe. through this music

 

 

[Credits]

 

Executive Producer: HNGIN 행인
All Instruments: HNGIN 행인
Composing: HNGIN 행인
Mixing, Mastering Engineer: HNGIN 행인
Album Artwork: SYUNMAN 션만
Distribution: POCLANOS 포크라노스

 

Ella


 

A wallflower’s tryin’ to survive prom ep.2

 

Credits

 

composed by 김승윤,HAH
written by 김승윤
arranged by creespy

 

vocal & guitar by 김승윤
piano & synth & acoustic guitar by HAH
guitar by 허민석
bass by 신승호
drum by 오장호

 

vocal & piano & bass & drum recorded by 김형우
guitar & synth recorded by 김다니엘
mixed by 김형우
mastered by 김형우

 

artwork & visualizer by losers works

빛나는 이 순간을 위해


 

“지금 빛나는 이 순간을 위해”

 

Credits
Lyrics, Composed, Arranged by BLVN
Vocal – BLVN
Chorus – BLVN
Guitar – 김대현
Synthesizer, Keyboard – BLVN
Bass – 전국민
Drum – BLVN
Mixed by BLVN
Mastered by 최성준 @studio801
Artwork by Yezoon Han

 

carol #3


 

루싸이트 토끼 Single [carol #3]

 

소중한 사람들이 무사히 건강하다는 것이 전에 없이 감사하게 느껴졌던 시간을 보내고 나니 몇 해 전 그리운 마음을 담아 만들었던 이 노래를 다듬어 발매할 때가 되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carol #3’가 듣는 분들의 마음에 아주 희미한 온기라도 보탤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모두 몸도 마음도 시리지 않게 따뜻하고 건강한 연말연시 보내시길 바랄게요.

 

사랑을 담아 루싸이트 토끼로부터

 

 

Credits
Written and Arranged by Lucite Tokki
Recorded by Lucite Tokki
Mixed by Erong
Mastered by Groovy T at Rabbit Hole 6.0
Art by 코 (kodrawsyou.squarespace.com)

 

같은 지구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곳에서, 손서정 데뷔 싱글 [같은 지구 GATTEN Earth]

 

서정이 별안간 덴마크로 가겠다고 했을 때 나는, 쟤는 무서운 게 없나, 생각했다. 나는 내가 알지 못하는 곳에서도 삶이 펼쳐지고 있다는 게 무섭다. 내가 모르는 언어로 말을 하고 내가 모르는 음식을 먹으면서 사는 사람들이 있다는 게 무섭다. 의사소통은 어떻게 할 생각이냐는 나의 질문에 서정은 친구에게서 영어 회화를 배우는 중이라고 답했다. 한국에서 덴마크 회화를 배울 수 있는 마땅한 곳이 없었기에 우선은 영어로 소통하며 덴마크에 가서 차차 배워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서정의 덴마크 유학은 그러한 부딪힘이 예정된 여행이었다.

 

그 부딪힘 속에서 서정은 〈같은 지구〉를 만들었다. 서정이 다닌 학교에는 다양한 나라에서 온 사람들이 많았고 서정은 “한번도 말해본 적 없는 세상을” “하나를 말하면 둘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생각해보지도 않은 말”로 이야기해야 했다. 〈같은 지구〉를 구성하는 다채로운 악기들은 “평생 이해하지 못”하면서도 서로의 시간을 나누며 주고받던 대화를 표현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중에서도 장구 퍼커션은, 주변인에게 노래가 더 깔끔해지려면 빼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들었음에도 서정이 끝내 고집하던 악기였다. 나는 그게 서정의 언어를 나타낸다고 생각했다. 자기가 먹던 배를, pear와는 다른 그 배를 북유럽에서 설명하기 위해 애쓰던 한국인 여자아이를.

 

노래를 듣다 보면 서정 역시 무서웠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그 무서운 다름 속에서 발견하는 놀랍고 아름다운 감각을 우리는 경이驚異라고 부른다. 영어로는 wonderful. 덴마크어로는 무엇인지 모르겠다. 부르는 단어는 다르더라도 〈같은 지구〉 안에서 우리가 공유할 수 있는 감각이 있을 것이다.

 

글- 차도하/시인

 

Credits
작사/작곡 | 손서정
코러스 | 손서정, DOF2D
도당굿 장구 | 원재연
더블베이스 | 백하형기
아이리시 휘슬 | 백하형기
어쿠스틱 기타 | 여인서
에그쉐이커 | 손서정
클래식 기타 | 서건호
피아노 | DOF2D

 

보컬, 손서정 코러스, 클래식 기타 녹음 | 최성준 @studio801
장구, 어쿠스틱 기타 녹음 | 홍채은
믹싱 | 강은구
마스터링 | bk! at AB Room

 

Heavy Bass (remastered)


 

리마스터 버젼으로 돌아온 한국 힙합 불멸의 클래식, P-TYPE “Heavy Bass”
2004년 발표 된 뒤, 17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수 많은 후배 래퍼들로 하여금 스스로가 “그가 말한 걸 기억한 어린아이가 자란 것”이라 외치게 만든 바로 그 앨범. 한국 힙합 초창기 최고의 성과로 평가받는 P-TYPE의 데뷔 음반 “Heavy Bass”가 리마스터 버젼으로 돌아왔다. 최근 바이닐로 재발매 되며 세간의 화재를 모았던 바로 그 리마스터 버젼이 디지털 음원으로 출시되는 것. 대표곡 “돈키호테”를 포함하여 Skit을 제외한 총 11곡이 사운드 장인 “앱마(Aepmah)”의 손길을 거쳐 리마스터 되었다. 국내 최고의 아트워크 디자이너 “로우디(Rowdee)”의 재해석을 통해 완전 신규 아트워크로 재탄생 한 커버 아트도 눈여겨 볼 포인트다.

 

Credit

 

01. 서시
Produced, Composed, Arranged by Keeproots
Lyrics by P-TYPE
Scratch by BUST THIS (DJ DJANGA & DJ JUICE)
Original Mixed by Keeproots @BMP Studio

 

02. 돈키호테 (feat. 휘성)
Produced, Composed, Arranged by Keeproots
Vocal Arranged by 휘성
Lyrics by P-TYPE, 휘성
Original Mixed by Kaystah @불켜진극장

 

03. HEAVY BASS
Produced, Composed, Arranged & Lyrics by P-TYPE
Scratch by DJ IT
Original Mixed by Keeproots @BMP Studio

 

04. P-TYPE THE BIG CAT
Produced, Composed, Arranged by Artisan Beats
Lyrics by P-TYPE
Scratch by JU
Original Mixed by Kaystah @불켜진극장

 

05. 힙합다운 힙합
Produced, Composed, Arranged & Lyrics by P-TYPE
Beatbox by 채규
Original Mixed by Kaystah @불켜진극장

 

06. 독종
Produced, Composed, Arranged by Keeproots
Lyrics by P-TYPE
Scratch by BUST THIS (DJ DJANGA & DJ JUICE)
Original Mixed by Kaystah @불켜진극장

 

07. SO U WANNA BE HARDCORE (feat. MC META)
Produced, Composed, Arranged by Keeproots
Lyrics by P-TYPE, MC META
Original Mixed by Keeproots @BMP Studio

 

08. 언더그라운드
Produced, Composed, Arranged by Keeproots
Lyrics by P-TYPE
Original Mixed by Keeproots @BMP Studio

 

09. MUSIQ NOIR (feat. C-LUV)
Produced, Composed, Arranged by Keeproots
Vocal Arranged by C-LUV
Lyrics by P-TYPE, C-LUV
Original Mixed by Keeproots @BMP Studio

 

10. WILD STYLE (feat. 빅마마)
Produced, Composed, Arranged & Lyrics by P-TYPE
Vocal Arranged by 빅마마
Lyrics by P-TYPE
Original Mixed by Keeproots, Ssamba Square @BMP Studio

 

11. 언어의 연주가
Produced, Composed, Arranged by Keeproots
Lyrics by P-TYPE
Original Mixed by Keeproots @BMP Studio

 

Executive Producer / P-TYPE
All Songs Remastered by Aepmah @AFM Laboratory
Design & Artwork by Rowdee
Illustration by GX2
Publishing by POCLANOS

 

Jordan Wants to Play


 

6v6
실험실 햄스터 조던의 실험실 탈출 여행기

 

Credits

 

Vocal – 왑띠
Lyrics – 왑띠
Composed – 왑띠
Arranged – 왑띠, 이성훈
Instrument – 왑띠
Mixed and Mastered – 왑띠
Album Art – 왑띠
Rest In Peace – 조던
Thx to 시유형

 

황금 조던아 사랑해

 

너만 아니면


 

[ why do we make music ? X homehome ]

 

 

집 우(宇) 집 주(宙), 홈홈
일상에 눌어붙은 우주적인 권태

 

‘홈홈’. 집 우(宇) 집 주(宙) 자를 사용하는 본명에서 착안해 지은 그 이름답게, 홈홈의 음악에는 일상에 눅진하게 눌어붙은 우주적인 권태가 묻어 있다. 하우스키퍼스의 ‘니가 틀던 노래는 좋지도 않았는데’, 하홈콤의 ‘연패행진’, 그리고 가장 최근의 솔로 발매작 ‘홈홈플러스’에 이르기까지. 그는 일상 속 스쳐 지나가는 흥얼거림처럼 무덤덤하게 툭툭 내뱉는 노랫소리에 망망한 공허함을 실어 보낸다.

 

신곡 ‘너만 아니면’ 역시 그러한 ‘홈홈’의 감성이 십분 녹아든 곡이다. 설탕이 한가득 묻은 알사탕처럼, 달착지근한 사랑 노래의 코팅이 녹아 없어지면 씁쓸한 자조가 당신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입안에 남은 덩어리를 한참이고 굴리며 그 달콤쌉싸름함을 한껏 음미해보길 권한다.

 

 

“삶에 불만이 있을 때, 남의 탓을 하면 마음이 조금 편안해지죠. 저는 이것을 ‘남 탓 테라피’라고 부릅니다. 다만 심각한 부작용과 중독성이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 homehome –

 

 

Lyrics : homehome
Composition : homehome, 하곤
Arrangement : 하곤, 사라카야콤슨
Chorus Arrangement : 사라카야콤슨
Guitar : 하곤
EP : 하곤
Drum Programming : 하곤
Synthesizer : 하곤
Recording & Mixing Engineer : otter at OPCD Studio
Mastering Engineer : Nahzam Sue at Wormwood Hill Studio

 

** Visualizer

 

Director : jungk
Art/Animating : jungk
Coloring : Lee Sunkyung

 

** Why do we make music ?

 

Director / A&R : opal
Interviewer / Editor : squib
Graphic Designer : preriro
Photographer : SIN-YOUNG KIM
Contents Manager : Lee Sunkyung

 

OPCD Presents

 

opcd.co.kr
ig @opcd.official

 

OPCD는 도봉구의 재정지원을 받아 운영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