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1. Kingstar
2. 우정, 그 씁쓸함에 대하여
3. 그게 아니고
4. Talk
5. 사랑은 은하수 다방에서
6. Beautiful
7. 죽겠네 (Album Ver.)
8. 살
9. 곱슬머리
10. Rebirth
11. Hey Billy
12. Beautiful Moon

 


 

뉴욕 맨하탄 스타일의 밴드 10cm의 첫 번째 정규앨범 [1.0]

2009년 홍대의 몇몇 클럽에서 처음으로 모습을 보인 10cm는 어느덧 2년 차의 경력을 자랑하는 밴드가 되었다. 2010년 4월 발매된 첫 번째 가내수공업 EP앨범과 컴필레이션 앨범 [Life]의 “오늘밤은 어둠이 무서워요”를 통하여 어쿠스틱 음악신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떠오른 10cm는 그해 8월 “아메리카노”라는 말도 안되는 디지탈 싱글의 발매로 말도 안되는 인기를 누리는 밴드가 되었고, 피시방비와 담뱃값을 충당하기 위해 길거리 공연을 서슴치 않던 10cm는 어느덧 수 천명 규모의 페스티발에서도 환영 받는 존재가 되었으며 용돈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먹고 살만한 생활을 누리게 되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그러나 정작 10cm는 누가 봐도 대견 해할만한 이 분위기를 그리 탐탁치 않게 생각하고 있었다.

10cm의 대표 곡이라고 할 수 있는 “오늘밤은 어둠이 무서워요”나 “아메리카노”등의 싱글들은 10cm 음악의 지향점에 있는 곡들이라고는 할 수 없었고, 논란 그득한 EP앨범의 사운드는 너무나도 예의가 없었다. 모든 것이 거품이라는 것을 느낀 10cm는 자신들의 트레이드 마크인 귀차니즘을 극복해내고 마침내 정규앨범 작업에 돌입했으며,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6개월의 작업기간을 거쳐 이제 첫 번째 앨범을 내놓았다. 두 멤버의 부모님들께 차마 들려드리기 힘들 것이라는 문제의 노래 “킹스타”가 하필 앨범 첫 트랙으로서 포문을 열고, 재밌지만 그만큼 씁쓸한 가사의 “우정, 그 씁쓸함에 대하여”, 데뷔 이래 처음으로 선보이는 밴드 사운드의 발라드 넘버이자 주변 지인들의 눈물을 쏙 뺐다는 타이틀곡 “그게 아니고” 를 지나 기존의 사운드로 표현해낸(그렇지만 차원이 다른 질을 자랑하는)”Talk”와 “사랑은 은하수 다방에서”까지 들었다면 이 앨범을 위해 두 멤버가 얼마나 각고의 노력을 쏟아 부었는지 알 수 있다.

보컬 권정열이 노래를 어디까지 야하게 부를 수 있을 것인가, 그리고 윤철종의 기타는 어디까지 섬세할 수 있을 것인가를 시험하는 듯한 노래 “Beautiful”이 10cm의 19금 노래의 맥을 이어가고, EP앨범의 수록 곡 중에서도 가장 저질의 사운드로 녹음되었던 “죽겠네”가 앨범버전으로 완전히 재 녹음되어 기존 음원의 곡을 하나도 수록하지 않겠다던 두 멤버의 은근히 지조 없는 면이 드러난다. 목소리를 키보드의 패드 사운드처럼 사용하여 더 오묘한 느낌을 자아내는 ‘살’ 손발이 오그라드는 재기 발랄한 가사의 “곱슬머리”, EP앨범에 실렸을 법한 단촐한 구성의 곡 “Rebirth”를 지나면 절대 녹음하기 귀찮아서가 아니라 앨범의 소소한 재미를 주기 위해 가볍게 원 테이크로 녹음된 “헤이빌리”를 만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 곡 답게 굉장히 따뜻한 사운드로 녹음된 “beautiful moon”을 끝으로 이 앨범의 감상은 훈훈하게 막을 내린다.

이 앨범의 사운드는 굉장히 편안한 악기 구성과 무난한 듣기 좋은 사운드를 자랑하지만 이것이 본래 10cm를 아는 이들에게는 충격적일 수도 있겠다. 이전의 앨범에서는 한번도 들을 수 없던 드럼소리, 베이스 소리, 심지어 일렉기타의 소리까지 태연하게 담아놓았기 때문. 그러나 소규모 라이브 사운드의 대명사로 불리던 메리트를 과감히 포기하고, 음악적 감동을 창조해내는 것에 주력, 자유로운 편곡을 서슴지 않은 이 앨범은 10cm에게 상당한 의미가 있다. 다만, 추운 한겨울에 발매하기 위해 준비되었다던 이 앨범이 봄이 얼마 남지 않은 이 시점에야 완성되어 나온 것이 애석하고도 애석할 뿐.

Self-Title

1. 조급증
2. 떨어져 버렸네
3. 병든 마음 치료하자
4. 혼잣말
5. 언젠가 또 초라한 마음
6. 우리는 다소 외로운 사람처럼
7. . (Bonus Track)

 


 

자신의 고향인 대구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싱어송라이터 ‘건훈씨’

1999년부터 [버블]밴드를 거쳐 [화염병]밴드까지 베이시스트로 활동하다 2001년 ‘boys on the docks’의 세션 베이시스트로 1집 앨범 ‘스플릿’ 에 참여하게 된다. 2003년 밴드 [클린업 트리오]에서 베이시스트와 보컬로 활동하며 그만의 감성짙은 목소리를 선보이며 싱어송라이터로의 첫발을 내디딘다. 2006년까지 [팻 세메트리] 밴드에서 베이시스트로 활동하던 그는 2007년 더이상 밴드를 찾아 방황하던게 싫었던지 그간의 활동을 통해 만들어진 자신만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해 솔로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학업, 공연.. 바쁜일상속에서 틈틈이 녹음했던 곡들을 모아 만든 그의 첫번째 EP앨범. 밴드활동을 벗어난 인디포크 사운드들로 채워진 이번 EP 앨범은 기대이상의 곡들이 담겨 있다. 한국사람의 감성으로 만들어진 동화 같은 순수한 가사와 그 밑에 깔리는 청량한듯 한 신디사이저 소리가 인상깊은 첫곡 ‘조급증’부터 사랑의 감정을 단조롭고 깊은 감성으로 표현한 ‘떨어져 버렸네’, 누구나 감성의 공유를 이끌어 낼 수 있을 만한 ‘혼잣말’, 그리고 로우 파이한 질감의 레코딩이 인상적인 ‘우리는 다소 외로운 사람처럼, 회의주의는 청춘을 물들인다’ 까지… 그간 음악적 활동 속에서 만들어진 감성의 솔직함이 들어난 이 음반이 조그만 시작으로 출발해 그만의 음악적 뿌리를 내릴 수 있는 밑거름이 되리라 생각한다.

최근 예상을 뛰어 넘는 흥행을 기록하며 큰 화제를 일으킨 영화 ‘원스(Once)’의 감성에 동화되어 그 음악에 흠뻑 취해봤다면 영화 원스 오프닝 게스트로 초대받았던 건훈씨의 다른 듯 다르지만은 않은 그의 음악을 가슴속 깊은 곳에서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도 대구 클럽 헤비를 중심으로 활발히 활동중인 건훈씨의 앞으로의 행보를 주목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