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PUC


 

에로틱한 경험이 만들어낸 기억은 강렬하거나 본능적인 동물적 자아로 뒤엉킨 눅진한 찰나가 아니다. 오히려 발가벗음을 통해 가장 순수하고 아름다운 본인을 탐구하는 연구의 과정이자 생존을 향한 생명의 언어로, 한 번의 강렬한 육체적 경험은 살아내고자 하는 삶을 영유하는 헌사에 가깝다. 격정적인 관계, 솔직한 욕망은 쉽게 퇴폐적인 어둠으로 묘사되곤 하지만, 기쁨과 쾌락, 그리고 살갗의 온기가 전하는 절정은 사실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순간이자 모든 것을 포용하는 사랑의 또 다른 이름이다.

실용적인 기록이 그림이 되고 예술로 인지되기까지의 인간의 진화처럼, 번식과 생존이란 목적의 강압적 행위가 유희로 발전하고 정신적 사랑의 증명이 되기까지 짧지 않은 시간이 필요했다. 이것은 카코포니에게도 유사하게 적용되며 성과 에로티시즘이란 단어가 주는 억압과 두려움의 이미지가 삶의 에너지로 변화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그녀 앞에 표상된 세상은 절망과 황폐함으로 가득했다. 불안의 그늘이 그녀의 정신과 육체를 점령한 시기가 지속될수록 그녀의 삶은 악취가 벤 듯 쉽게 지워지지 않는 우울의 단상이란 벽에 가로막혀 울음을 참아냈다. 하지만 자신에게 예술이란 달란트(talent)를 쥐여준 어머니를 죽음 이후, 그녀는 끔찍했던 과거의 우울과 절규, 절망을 노래로 환원하고 토해낸다. 예술은 그녀를 폐허의 문을 열어 걸어 나오게 했으나, 발가벗은 아이 같은 마음은 사랑에 의해 다시 한번 상처를 받고 추잡하고 더러운 삶의 단면을 조우하게 된다. 그것은 다시 한번 그녀를 움츠러들게 하고 삶에 대한 의문과 불신을 가지게 했다. 그것은 피폐한 정신과 무너진 육체 속에 자학적인 고통을 느끼게 한다. 이제 그녀는 이 끔찍했던 상황 속에 질문을 던진다. 큐피드(Cupid)는 누구를 향해 활을 당겨 기쁨을 주고 어떠한 이유에서 사랑하는 자와 사랑받는 자로 사랑을 이분화하는가. 사랑의 끝은 결국 전쟁같이 서로를 죽이고 추락시키는 것일까. 진실한 사랑이란 무엇이며 고통과 사랑을 구분하는 정확한 정의는 무엇인가. 큐피드의 이기적이고도 개인적 유희는 사랑의 양가적인 면을 둘로 쪼갠다. 한 사람에겐 끝없이 줄 수밖에 없는 숨막히는 적막 속 고독한 사랑을, 또 다른 사람에겐 끊임없이 받아내고, 혹은 도망쳐야 하는 차가운 증오와 잔인한 연옥에 빠지게 한다. 그런 큐피드에게도 프시케란 사랑(Amor)이 오고 그는 진정한 애정의 기쁨과 쾌락을 마주한다.

 

이처럼 큐피드의 화살 끝에 서 위태로운 애욕의 활을 맞고 추락하던 카코포니는 이제 큐피드를 뒤집어 ‘DIPUC’로 스스로를 정의, 자신이 사랑을 선택하는 신의 위치에 도전한다.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탐닉당하던 그녀의 입술, 목과 어깨, 가슴과 다리, 주체성 없이 소모되던 부드럽고 연약한 여성의 육체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강한 근육으로 폴(Pole)에 매달려 추는 춤처럼 온 힘을 쥐어짜듯 강렬하게, 주체적으로 ‘내게로 몸을 기대’라고 말하며 상대를 유혹한다. 육체와 정신의 성장은 그간 그녀가 겪어온 사랑이란 이름의 폭력적인 실험, 애정이란 미명 하의 지배당하는 감정으로부터의 회복을 의미하며 한편으론 상대를 유혹하고 짓밟고 상처를 줄 수 있는 도미넌트(dominant) 적 자아로 성장했다.

‘End’ 엔딩 크레딧이 오르고, 그녀는 불협화음(cacophony)이었던 지난 과거의 트라우마에서 오는 방어기제가 아니라 상황을 뒤집은 새로운 사랑의 방식, 즉 에로틱한 상황에서의 황홀한 각성을 경험하게 한다. 이것은 어리고 미약하여 상처투성이였던 소녀의 마음의 성장 같은 동화가 아니다. 자기 자신의 매력을 컨트롤하며 상대가 자신을 갈망하게 만들 만큼 욕망에 솔직한 새로운 자아의 탄생이자 파괴적이지만 에로틱한 데카당스(Décadence) 문학이다.

‘Psyche’. 그녀는 독백같이 사랑의 가장 어두운 면을 깨닫고 읊어 내리지만, ‘변화’를 통해 새롭게 태어난다. 나의 마음은 나의 것으로 누구의 것도 아니며, 나의 관능적인 몸은 오롯한 나의 소유물이다. ‘살아남은’에서 그녀는 깨끗함을 거부하고 땅바닥을 기는 지옥에서도 춤을 추며 즐기다 ‘MIRACLE!’에서 다시금 기적같이 사랑을 깨닫는다. 하지만 그 사랑은 이전과 다르다. 그녀의 삶을 압도하는 것이 아닌, 모두에게 사랑받고 싶어 함이 아닌, 나를 사랑하고 내가 사랑하는 사람을 향한 황홀한 환대다. 진정 나를 사랑해 주는 당신, 내가 가장 사랑하는 사람, 그것은 바로 ‘나’인 것이다.

이 앨범을 듣는 순간 그녀는 나의 심장을 조준했다. 나는 오늘 이후 그녀의 노래를 들은 모두가 평생 그녀를 잊지 못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럴 것이다. 카코포니는 당신을 바라보며 활을 당기고 있다. ‘바로 지금’.

조혜림(음악 콘텐츠 기획자)

 

 

 

 

 

Credits

[MUSIC] 

 

Produced by 카코포니

Written by 카코포니(1-13), 거누(3, 4), 정완기(13)

Arranged by 카코포니(1 – 12), 거누(3, 4, 11, 12), 정완기(6, 13), 헨(8)

 

Played by

카코포니 – 피아노(1, 2, 4, 7, 9, 10, 11, 12), 코러스 & 신디사이저 & 프로그래밍(1 – 12)

거누 – 일렉기타(1, 3, 4, 5, 11, 12), 베이스(3), 클래식기타(10)

정완기 – 피아노(6, 13), 신디사이저(6)

17 Peri – 피쳐링 & 코러스(3)

Issac writson – 베이스(6)

헨 – 피아노(8)

 

Recorded by 카코포니, 거누, 17 Peri

Mixed by 카코포니

Mastered by bk! at AB Room

 

Distributed by 포크라노스

 

[Visual]

 

Visual Director : 김도이

Design : 이율리

Album Photo : 김윤우

H&M : 유선영

 

[MV] 

 

End MV Director : 김도이

당겨요, 바로 지금 MV Director : 백윤석

살아남은 MV Director : Jemma

 

Thanks to 정우, 쓰다, 예람, 윤숭, Lekong(공혜영), 이서은, 텀블벅 후원자분들

 

우리의 느린 발걸음에 사랑을 더하면


 

누구나 아파하고 지나가며 느끼는 감정과 무뎌진 것들에 대한 이야기, 또 무언가를 사랑하며 잔잔한 위로를 건네는 이야기를 담은 아륜 ep [우리의 느린 발걸음에 사랑을 더하면]

 

 

1. 비오던

 

유난히 비가 많이 왔었던 여름이었다.

하나의 우산을 쓰고서 걷던 골목길이 아직도 기억나는데 그때의 모든 순간순간이 참 예뻤었나 보다.

그래서 그랬던 걸까 자꾸만 네가 떠오르는 게,

비오던 그날의 우리를 나는 여전히 기억해

 

 

2. 말하지 않아도 괜찮아

 

내가 너에게 할 수 있는 건 무엇이 있을까

곰곰이 생각을 해봤는데 아무래도 난 나의 말과 행동이 네게 부담스럽지 않도록 그저 곁에 있는 거, 그뿐인 것 같아서.

이렇게라도 네 모든 것들이 괜찮아질 수 있다면 좋겠어. 아주 아주 나중에 이야기 해줘도 좋아 그러니 이제는 행복해지면 좋겠다.

말하지 않아도 괜찮아,

 

 

3. 피어내기

 

청춘이라고 하면 다들 누구나 가장 예쁘고 푸르른 시절이라고 생각하듯이,

뭐든 다 해낼 수 있을 것 같았는데 막상 눈앞에 펼쳐진 현실은 너무나도 무섭고 버거웠던 것 같아요.

저를 포함한 모든 친구들도 한 번쯤, 혹은 자주 많은 고민과 걱정에 잠 못 이루는 날들이 많았을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꼭 말해주고 싶어요.

비록 우리가 가진 것들이 모난 모양일지라도, 눈부시게 피어낼 거라고!

누구나 쉽게 넘어지고 무너질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래도 툭 툭 털고서 다시 일어나 걸어가고 있을 거예요.

지금도 여전히 불안하고 온전하진 못하지만 오늘도 한걸음 나아가는 중입니다.

이런 모습들이 서투른 나의 청춘이라서,

 

 

4. 빈자리

 

오늘따라 네가 더 보고싶어 왜 아무 말 없이 사라져 버린 건지

멈춰버린 시간에도 너는 여전히 예쁘게 빛날 텐데, 곁에 없다는 사실에 마음이 아프다.

시간이 한참 지나서 우리가 다시 만나게 되면 그때는 오래 곁에 머무르기를

그동안 이런저런 이야기들을 잔뜩 만들어갈게 조금만 기다려줘, 내가 꼭 찾아갈게

 

 

5. 우리의 느린 발걸음에 사랑을 더하면

 

어리석은 나는 항상 나를 괴롭히고 발버둥 치게 만들었어요.

나는 나만의 걸음이 있는 건데, 알면서도 매번 나를 채찍질하기 바빴던 거죠.

이런 느린 내게도 걸음을 맞춰주는 그대들이 있어서 늘 고맙습니다. 그대가 천천히 나아간다면 나 또한 걸음을 맞출 거예요.

잠시 느려지더라도 우리가 한걸음 한걸음을 맞추어 나아간다면, 그 속에서 조금씩 사랑을 말해준다면, 나는 아무것도 두렵지 않을 것 같아요.

우리의 느린 발걸음에는 사랑이 가득할테니까

 

 

 

 

Credits

All song & words by 아륜

Produced by 아륜

Composed by 서안 (Track 2)

Arranged by 오창근 (Track 1), RAHN (Track 2,4), 박하빈 (Track 4) 다원 (Track 5), 아륜

 

1. 비오던

 

Piano 오창근

A.Guitar 김경진

Bass 박민지

Drums 이하민

Chorus 아륜

 

2. 말하지 않아도 괜찮아

 

Piano RAHN

E.G&A.Guitar 박하빈

Bass 이예준

Drums 강우용

 

3. 피어내기

 

Piano 박혜진

A.Guitar 김동욱

Chorus 아륜, 오창근

 

4. 빈자리

 

MIDI programmed by RAHN

Piano RAHN

A.Guitar 아륜

E.Guitar 박하빈

Chorus 아륜

 

5. 우리의 느린 발걸음에 사랑을 더하면

 

Piano 다원

A.Guitar 김세진

Drums 강우용

Clarinet 전관우

 

Vocal Directed by RAHN (Track 2,4), 다원 (Track 5)

Recorded by 홍라헬 (Track 1,2,3,4), 이재명 (Track 2,5) @JM Studio & 김성훈 (Track 1,5) & 홍예찬 (Track 1)

Mixing by 은강인 (Track 1,2,3,5), nohmiho (Track 4)

Mastering by 권남우 @821sound

Album photo by Zandysoup

 

Publishing by POCLANOS

 

나의 별


 

[알고리스닝 프로젝트, 반광옥 – 나의 별]

알고리스닝은 알고리즘 (algorithm) X 리스닝의 합성어로, 구독자들의 니즈를 엮어 나아가는 방식으로 함께 만들어나가는 KozyPop의 신규 프로젝트이다.

첫 시작을 알리는 “나의 별” 은 부드러운 저음과 탄탄한 고음을 넘나드는 보컬리스트 반광옥이 참여하였다. 후반부로 갈수록 점차 화려해지는 스트링 사운드가 평생을 함께하고 싶은 마음을 담은 가사와 어우러지며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벅차오르는 감정을 전해준다.

누구나 별을 좋아하지만 좋아하는 이유가 다르듯이, 각각의 사랑에 빠지는 이유가 모두 다를 것이다.

“너의 밤을 채워줄게, 이젠 내가 널 비춰줄게” 라는 가삿말처럼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그리는 마지막 연애에 빠져 보길 바란다.

 

 

 

Credits

 

Track 01. 나의 별

Track 02. 나의 별 (Inst.)

 

Lyrics by 손이삭

Composed by 손이삭

Arranged by 손이삭

 

Chorus by 반광옥

Piano by 손이삭

Drum by 손이삭

Bass by 손이삭

Guitar by 정수완

Strings by 융스트링

Strings Arranged & Conducted by 전주현

 

Mixed by 김지엽 @Delight Sound

Mastered by 권남우 @821 Sound

 

Executive Producer : A June

Marketing : young, Jjung

A&R : mezisue, Hyun

Artwork : 버찌 @xxcolored

Model : 홍희서 @hccong__, 주 현 @hyxnxjz

 

Project Director : KozyPop

 

헤이 산타!


 

To. 산타

이번에 선물은 힘들 거 같아요…

 

 

 

Credits
Lyrics by 웨스턴 카잇(Western Kite)

Composed by 웨스턴 카잇(Western Kite) / J. Fred Coots / Haven Gillespie

Arranged by 웨스턴 카잇(Western Kite) / 남메아리

 

Piano by 남메아리

 

Mixed by WURAM

Mastered by 권남우

 

Album Artwork by park sinae

 

Butterfly


 

나비에 어린 지넥스의 취향과 시간들, [Butterfly]

 

많은 이들이 한국 장르 음악 씬의 현재에 우려를 표하고 있는 요즘. 그런데 조금만 애정 어린 시선으로 그 안을 자세히 들여다본다면,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각자 맡은 업무를 수행하며 자신의 길을 걷는 이들이 존재한다는 걸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거다. 그중에서도 음악 팬이 조금 더 주목했으면 하는 롤을 하나만 짚자면 바로 프로듀서다. 이들의 결과물에는 자신의 취향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음악 소스를 고르고, 송 폼을 잡고, 플레이어와 조율하고, 최종의 결과물로 내기까지 사운드를 정리하는 등등의 과정들이 서려 있다. 그렇기에 이들의 작품을 듣다 보면 단순히 음악이 좋고 나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삶을 살아 이런 과정을 겪어 왔는지 궁금해질 때가 있다. 자신의 첫 정규 앨범 [Butterfly]를 발표한 프로듀서 지넥스(JINex) 역시 그런 존재다.

 

외부적인 행보로만 보자면 지넥스는 그레이센트(GRAYSCENT)라는 팀 활동으로 시작해 차분히 커리어를 쌓아 온 프로듀서다. 이미 썸머소울(Summer Soul)을 비롯해 이수정(CHAI), 오스틴(Austn), 마샬(MRSHLL), 존오버(Jhnovr), 주애(Jue), 노디시카(Nody Cika), 그리고 민준기까지. 눈부신 재능을 지닌 알앤비/소울 뮤지션들과 함께 호흡을 맞추며 자신의 존재감을 씬에 아로새겼다. 더군다나 싱글을 꾸준히 발표하며 개인의 경력을 다져 온 건 물론, 에잇볼타운에서 주최한 기린의 리믹스 콘테스트를 비롯해 여러 온라인 대회에 지원해 우승을 차지하는 등 끊임없는 움직임을 통해 본인의 길을 개척해 왔다. 그렇기에 [Butterfly]는 타이틀처럼 나비로서 자신의 날개를 펼치기까지 오랫동안 인고하며 묵묵히 지켜 온 자신의 음악적 행보와 취향이 고스란히 담긴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Butterfly]에는 몇 차례 호흡을 맞춘 썸머소울, 이수정, 마샬, 주애, 노디시카를 비롯해 기린, 쟈드(Jade), 준(JUNE), 노브(nov), 에이민(amin), 샴마(Shammah) 등 현시대 한국의 알앤비/소울을 대표하는 뮤지션, 싱어송라이터들이 한데 참여했다. 이런 이들이 함께한 앨범에는 장르 팬들의 향수를 자극할 뿐더러 서정성과 세련미까지 다분한 알앤비/소울 사운드가 담겨 있다. 이 덕분에 작품은 지넥스라는 프로듀서의 취향, 과거와 현재를 잇는 음악적 맥락을 이해할 수 뿐만 아니라 씬의 현재 모습을 파악할 큐레이션의 역할까지 훌륭히 완수한다. 비유하자면 결과물은 마치 한 마리 나비의 날갯짓처럼 아름답고 우아하다. 그런데 사실 앨범은 이런 날개를 펼치기 전까지의 과정들. 다시 말해 하나의 애벌레가 고치를 만들고, 그것을 탈피해 가는 모습까지 함께 느껴질 정도로 선명함이 있다.

 

일단, 앨범의 사운드를 파고 들어가 보자. 알앤비/소울로 통칭했지만, 사실 앨범에는 1990년대에서 2000년대의 정서가 묻어 나온다. 이는 지넥스의 결과물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재미난 특징이다. 실제로 그는 어린 시절에 S.E.S, H.O.T 등 SM의 음악가들을 비롯한 여러 가요를 통해 음악을 접했다고 한다. 당대의 작곡가들은 알앤비/소울을 비롯해 유로팝, 재즈 등 많은 이에게 사랑받던 장르 음악의 요소를 차용해 가요를 만들었다. 그리하여 [Butterfly]에는 그때 그 시절의 음악을 듣고 자란 지넥스의 취향이 자연스레 드러난다. 일례로 ‘Tonight’에서는 뉴잭스윙, ‘Breeze in the beach’는 보사노바, ‘Aqua’에는 시티팝이라 불리는 AOR의 향취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Into U’는 제목부터 타미아(Tamia)의 노래에 대한 오마주를 엿 볼 수 있다.

 

이런 앨범의 사운드에는 앞서 이야기했듯이 프로듀서로서 결과물을 내기까지 인고의 과정이 어려 있다. 자신의 취향을 구현하기 위해 특정한 악기 소스를 고르고, 다양한 참여진에게 비트를 주고, 이들의 목소리를 받고, 보컬에 맞게 노래를 편곡하고, 트랙의 감정선을 살리기 위해 세션을 받는 모습 등등이 말이다. 이런 고심의 흔적들은 앨범 트랙 곳곳에서 드러난다. 개별 트랙으로 예시를 들자면 일단, ‘69’의 신스 베이스 소리는 그 시절의 정서와 농염한 무드를 함께 자아내 감탄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Butterfly’에서는 야릇한 가사, 보컬에 뒤이어 나오는 연주자의 리드 솔로가 듣는 이의 감정을 고조시키는 역할을 톡톡히 하며, ‘눈’에서는 노래의 계절감에 걸맞는 벨 사운드 선택이 탁월하게 느껴진다. 더불어 사랑하는 존재를 떠나보내는 심경을 담은 ‘Someday’에는 감정선이 아련하게 전해진다.

 

이렇듯 [Butterfly]는 지넥스란 프로듀서의 과정과 인간적 맥락, 과거의 온기를 담고 있다. 앨범은 나비처럼 우아하게, 그리고 차분히 날갯짓하며 청자에게 다가간다. 나비는 듣는 이들의 마음속에 감정, 회상이란 이름의 꽃을 활짝 피우게 만든다. 세월이 흐르게 되면 꽃은 나비로 인해 새로운 열매를 맺게 될 것이다. 그렇게 지넥스의 앨범은 이름처럼 서서히, 그리고 미처 눈치채지 못하게 개인의 감정, 삶과 거대한 무언가를 바꿀 나비 효과가 될 것이다. 그런 만큼 ‘나비’가 일상에서 저마다의 방식으로 고군분투하고 있는 장르 팬들과 음악가, 나아가 많은 사람에게 마음의 안정을 찾게 만들고, 잔향을 일으켜 자기만의 속도로 차근히 세상을 바꿀 수 있게 돕는 앨범이 되기를 바란다.

– 인스(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KBS Cool FM <STATION Z> 작가)

 

 

 

 

 

Credits

 

1. Into U (Feat.Shammah)

 

Composed by JINex, Shammah

Lyrics by by Shammah

Arranged by JINex

 

Vocal by Shammah

Piano by JINex

Bass by JINex

Drum by JINex

Synthesizer by JINex

 

Mixed by JINex

Vocal Mixed by Muhpy

Mastered by 등대사운드

 

 

 

2. 69 (Feat.Nody Cika)

 

Composed by JINex, Nody Cika

Lyrics by by Nody Cika

Arranged by JINex

 

Vocal by Nody Cika

Piano by JINex

Bass by JINex

Drum by JINex

Synthesizer by JINex

 

Mixed by JINex

Mastered by 등대사운드

 

 

 

3. Tonight (Feat.Summer Soul)

 

Composed by JINex, Summer Soul

Lyrics by by Summer Soul

Arranged by JINex

 

Vocal by Summer Soul

Piano by JINex

Bass by JINex

Drum by JINex

Synthesizer by JINex

 

Mixed by JINex

Mastered by 등대사운드

 

 

 

4. STAY (Feat.MRSHLL)

 

Composed by JINex, MRSHLL

Lyrics by by MRSHLL

Arranged by JINex

 

Vocal & Chorus by MRSHLL

Extra Chorus by Judy Kim

Piano by JINex

Bass by JINex

Drum by JINex

Synthesizer by JINex

 

Mixed by JINex

Vocal Mixed by MRSHLL

Mastered by 등대사운드

 

 

 

5. Breeze in the beach (Feat.CHAI)

 

Composed by JINex, CHAI

Lyrics by by CHAI

Arranged by JINex

 

Vocal & Chorus by CHAI

Extra Chorus by JINex

Guitar by JINex

Bass by JINex

Drum by JINex

Piano by umzi

 

Mixed by JINex

Mastered by 등대사운드

 

 

 

6. Aqua (Feat.Jade)

 

Composed by JINex, Jade

Lyrics by by Jade

Arranged by JINex

 

Vocal & Chorus by Jade

Piano by JINex

Bass by JINex

Drum by JINex

Synthesizer by JINex

 

Mixed by JINex

Mastered by 등대사운드

 

 

 

7. 어디로 가니 (Feat.KIRIN)

 

Composed by JINex, KIRIN

Lyrics by by KIRIN

Arranged by JINex

 

Vocal & Chorus by KIRIN

Extra Chorus by JINex

Piano by JINex

Bass by JINex

Drum by JINex

Synthesizer by JINex

 

Mixed by JINex

Mastered by 등대사운드

 

 

 

8. Butterfly (Feat.JUNE)

 

Composed by JINex, JUNE

Lyrics by by JUNE

Arranged by JINex

 

Vocal & Chorus by JUNE

Piano by JINex

Bass by JINex

Drum by JINex

Synthesizer by JINex

Lead Solo by umzi

 

Mixed & Mastered by Nahzam Sue

 

 

 

9.Someday (Feat.Grayscent, amin)

 

Composed by JINex, amin

Lyrics by JINex, amin

Arranged by JINex

 

Keyboard by JINex

Bass by JINex

Drum by JINex

Synthesizer by JINex

Vocal by 남재상, amin

Chorus by JINex, amin

 

Mixed by JINex

Mastering by 권남우 @ 821 Sound Mastering

 

 

 

10. Groovin (Feat.Jue)

 

Composed by JINex, Jue

Lyrics by by Jue

Arranged by JINex

 

Vocal & Chorus by Jue

Piano by JINex

Bass by JINex

Drum by JINex

Synthesizer by JINex

 

Mixed by JINex

Mastered by 등대사운드

 

 

 

11. 눈 (Feat.nov)

 

Composed by JINex, nov

Lyrics by by nov, JUNGMIN

Arranged by JINex

 

Vocal & Chorus by nov

Extra Chorus by JINex

Piano by JINex

Bass by JINex

Drum by JINex

Synthesizer by JINex

 

Mixed by JINex

Mastered by 등대사운드

 

 

 

12. Breeze in the beach (Inst)

 

Composed by JINex

Arranged by JINex

 

Guitar by JINex

Bass by JINex

Drum by JINex

Piano by umzi

 

Mixed & Mastered by JINex

 

 

 

Cover artwork by 야루

 

 

O


 

‘O(오)’는 싱어송라이터 김여명의 새로운 싱글 앨범이다. 남다른 호소력이 서린 여명의 목소리는 청자로 하여금 귀가 아닌 마음으로 선율을 따라가게 만든다. 그 서사의 끝에서 마주하는 것은 우리의 모습이 아닐는지. ‘O’의 단상을 옮기며 글을 줄인다.

 

안녕. 부쩍 겨울이 다가온 듯한 요즘이지.

꽤 춥다. 일을 나가는 새벽에는 특히.

그래, 어쩌면 이곳은 이미 겨울이다. 일을 마친 뒤 어디로도 가지 않고 시를 썼으니.

 

당연한 일일지도 몰라. 말로는 마음을 다 담아낼 수 없으니.

언젠가 내 시를 읽어줄 날이 올까. 그때의 넌 어떤 얼굴을 하고 있을까.

 

편지를 쓰는 동안 거리에 눈이 내린다. 함께 눈을 맞은 날도 있었다. 다시 그날의 눈이 내릴 때 우리의 동토가 녹게 되길.

 

창 밖 나리는 눈 사이로 언뜻 네가 서있는 듯하다. 잘 지냈냐는 물음은 너무 낡았으려나.

 

K.

 

Editor / 육형 @6floor__

 

 

 

 

Credits

 

Lyrics by 김여명, 가테

Composed by 김여명, wherechoi, 백선혁

Arranged by wherechoi

 

Vocal by 김여명

Vocal Melody by 김여명

Background Vocal by 가테

Guitar by 한승민, 백선혁

Synthesizer by 한승민

Drum by 한승민

 

Mixed by Jeff Ellis Worldwide at EastWest Studios

Mix Assistants by Trevor Taylor, Ivan Handwerk

Mastering by Dale Becker At Becker Mastering (Pasadena, CA)

Mastering Assistant by Brandon Hernandez, Katie Harvey, Noah McCorkle

 

Brachio


 

Darin New Single [Brachio]

 

1. Mer

지난날 모든 슬픔과 사랑은 우리가 서로에게 도착하기 위해 태어났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합니다. 바다처럼 한없이 깊은 사랑을 느끼는 순간에 대해 노래했습니다.

 

2. Brachio

먼 과거를 상상하듯이, 나는 잠시 고요하게 당신 만을 생각합니다. 닿을 수 없다는 것을 알지만 내달리는 마음. 이 마음이 사랑이 아니면 무엇인가요?

 

 

 

 

Credits
01 Mer

 

Composed & Lyrics by 다린

Arranged by 다린

 

Piano | 다린

Synth | 다린

BGV | 다린

Midi Programming | 다린

A.Guitar | 강건후

E.Guitar | 강건후

Bass | 박규태

Violin | 박규태

 

02 Brachio

 

Composed & Lyrics by 다린

Arranged by 다린

 

Piano | 황순규

E.Guitar | 강건후

Midi Programming | 다린

BGV | 다린

 

 

Recorded

이재명 @JMstudio

남동훈

강건후 @Lighthouse

 

Mixed & Mastered | 곽동준

 

Artwork | 혜빈 (@hy3b1n)

 

 

Executive Producer | January

Producer | 다린

A&R team leader | 신지원

A&R | 감동호

Publishing | poclanos

Everything’s Fine


 

소개글
‘멀리가지 마요’에 이어 두 번째 위로를 담은 곡입니다. ‘멀리가지 마요’는 솔직하게 나를 위한 게 더 컸어요. 내 것을 모두 내어줄 수 없었던 그때, 상대가 떠나지 말고 내 곁에 머물러 주길 바라는 마음이었어요.

이번 ‘Everything’s fine’은 온전히 상대방을 위한 것이에요. 살면서 내 곁을 내어준다는 것이 결코 쉽지 않은데 이제는 내 곁을 온전히 내어 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누군가의 곁이 필요할 때 이 노래가 닿기를 바랍니다.

 

 

 

 

Credits

 

Lyrics by 우철, 이형은(Lee Hyungeun)

Composed by 우철, B.OCEAN

Arranged by B.OCEAN, 우철

Vocal by 이형은

Chorus by 이형은

Piano by B.OCEAN

 

Mix Engineer 김일호

Mastering Engineer 권남우

Recording Engineer 우영롱

Recorded at 406 studio

 

Album Introduction Writer 박혜영

Album Cover 유이주

Live Clip Video 瑜眞

Styling 현주

 

아침이 밝아오네


 

소개글
[아침이 밝아오네]

“ 한 송이의 꽃으로 오늘 네게 다가가야지 ”

 

주태중은

2022년 제 33회 유재하 음악경연대회에서 동상 입상으로 데뷔한 신예 싱어송라이터.

 

그의 첫번째 싱글 [아침이 밝아오네]는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며 적은 하루 일기장같은 노래로,

사랑에 설레이는 하루가 완벽했으면 좋겠는 마음을 풀어냈다.

그런 하루가 되길 바라며 잠에 드는 노래이다.

 

 

 

Credits

.

프로듀서 (Produced) 주태중, 최종우

.

작사 & 작곡 (Written & Composed) 보컬 (Vocal) 어쿠스틱 기타 (Acoustic Guitar) 주태중

.

녹음 (Recorded) 믹싱 (Mixed) 마스터링 (Masterd) 최종우

 

말하지 않아도 괜찮아


 

소개글
모든 걸 말하지 않아도 안아줄 사람이 필요한 그대에게

괜찮다고만 말하면서 어딘가 그늘진 모습이던 그대에게 말해주고 싶었어요

나의 말 행동들이 부담스럽지 않게 가만히 곁에 있을 거라고요

 

그대 마음이 괜찮아진다면 먼저 다가올 때가 있을테니,

떠나지 않고 묵묵히 옆에 있을테니, 사랑이 가득할 너에게

그저 조용한 위로가 되어주고 싶었습니다.

 

어쩌면 내가 가장 듣고 싶었던 말이었을지도 모르겠어요

 

 

 

 

Credits

 

Composed by 아륜, 서안

Lyrics by 아륜

Arranged by RAHN, 아륜

 

 

Vocal 아륜

Piano RAHN

E.G&A.Guitar 박하빈

Bass 이예준

Drums 강우용

 

Vocal Directed by RHAN

Recorded by 홍라헬 @JM Studio

Mixed by 은강인

Mastering by 권남우 @821sound

Album photo my dad

 

 

Publishing by POCLANOS

 

작은 마을


 

 

 

 

이설아 2집 [작은 마을]

 

이설아의 <작은 마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세계다. 절망과 붕괴, 이별의 아픔이 지배하는 현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살아갈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하는 세계. 이 불가능해 보이는 유토피아는 거창한 모습을 하고 있진 않다. 그러나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 그가 만들어 놓은 오솔길을 따라 차근차근 걷다 보면 어느새 나도 이 마을의 구성원이 되고 싶다는 꿈을 품게 된다.

 

설득은 불화의 경험을 고백하는 이설아의 태도에서부터 시작된다. 첫 트랙 [꿈에]는 어긋난 관계, 이별 후 경험한 현실과 꿈 사이의 괴리를 두고 여전히 눈물을 흘리는 나에 관한 이야기다. 그러나 내용과 달리 말투는 나른하고 관조적이다. 이 여유는 어디서 왔을까? 궁금해질 때쯤 다음 트랙 [샤워]에서 힌트를 얻는다. 이 곡은 ‘어디까지 단단해져야 하나?’ 스스로 질문하던 시절 “단단해지지 않아도 된다, 그저 뜨겁게 노래하라”는 말로 그를 무장해제 시킨 친구와의 일화에서 탄생했다. 상처받지 않으려 안간힘을 쓰기보다 상처받더라도 씻어내고 회복하면 괜찮은 것-이라는 메시지를 가장 연약한 알몸의 상태이자 가장 안전한 상태인 샤워하는 시간으로 연결 지었다. 깊은 통찰을 가벼운 리듬에 실어내는 노련함은 곡의 후반부에 이르러 윤슬처럼 퍼지는 사운드와 색소폰 선율로 더욱 확장되고, 이는 마치 그의 내면에 펼쳐진 자유의 형태가 청각화 된 것처럼 느껴진다.

 

친구로 인해 얻은 변화와 힘은 타인을 향한 마음에도 영향을 준 모양이다. 그 역시 다른 생명을 살리는 존재가 되고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됐고 이는 타이틀 [친구야]를 통해 표현된다. 모든 게 빠르게 변하는 요즘 “오래오래 같이 놀자” “늙어서도 널 살게 할게”라는 가사는 생경하게까지 느껴지는데 감히 먼 미래를 이야기해도 되는 건지 습관적인 의심이 들어설 무렵, 사실 우리 모두는 이런 종류의 약속을 간절히 원하고 있던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영원함이 없다는 걸 알면서도 기어코 영원을 이야기하고 싶어 하는 마음이 오래전 나에게도 있었음을 떠올리게 된다. 그래서 화답하듯 등장하는 김사월의 목소리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나 혼자만 이런 바람을 가진 게 아닐까 삼키고 말았던 불안한 소망을 확신으로 돌이켜 세우기 때문이다.

 

앨범의 중반에 들어서면 고통을 관조하고 먼저 손 내밀 용기를 갖게 되기까지, 지금의 이설아가 겪어 온 크고 작은 스토리가 이어진다. 다수가 열광하는 것에 공감하지 못한 나에 관한 노래 [불꽃놀이]부터 아무것도 기대할 수 없게 된 관계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 마음을 쓸쓸히 고백한 [오해], 더 나은 사람이 되겠다는 허울 좋은 목표 아래 자신에게 가장 혹독했던 한 시절을 담은 [면역]까지. 사회, 타인, 스스로와의 갈등 중 어느 하나 외면하지 않고 들여다본 끝에 비로소 이설아만의 [작은 마을]은 터를 잡기 시작했다. 그리고 마을을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존재는 사람이라고, 더 나아가 나와 친밀한 관계 너머의 [모르는 이름에게]도 응원을 보내는 마음이 필요하다고 담담히 선언한다.

 

사람이 떠난 빈자리의 공기를 그대로 구현한 듯하지만, 결코 외로움이 느껴지지는 않는 [배웅]은 믿음을 주고받은 관계가 사람을 얼마나 성장시키는지를 직관적으로 알게 한다. 그렇게 ‘큰 사람’이 된 이설아는 다른 사람이 들어설 자리를 위해 나 자신을 더 ‘작은 사람’으로 만들겠다고, 그게 주는 자유를 사랑하겠다고 말한다, 기꺼이 [작은 자유]를 추구하고 싶어지는 마음. 열 곡의 노래가 만들어낼 수 있는 가장 큰 변화 아닐까.

 

-최다은

 

 

 

 

Credits

Track 1.꿈에 

Written, Composed by 이설아

Arranged by 이설아, 고재현

 

Vocal 이설아

BGV 이설아, 조원준

Synth, Piano, Midi programming 이설아

A.guitar, Reed organ, Synth 고재현

Ukulele bass 이기학

Drums 이주현

Percussions 한민영

 

Track 2.샤워

Written, Composed by 이설아

Arranged by 이설아

 

Vocal 이설아

BGV 이설아

E.piano, A.Piano, Midi programming 이설아

E.guitar 박상권 (Guitar arranged by 이기학)

Saxophone 박기훈

Bass 이기학

Drums 이주현

Percussions 한민영

 

Track 3.친구야 (feat. 김사월)

Written, Composed by 이설아

Arranged by 이설아

 

Vocal 이설아

Featuring Vocal 김사월

BGV 이설아

E.piano, Synth, Midi programming 이설아

E.guitar 박상권

Bass 이기학

Drums 이주현

Percussions 한민영

 

Track 4.불꽃놀이

Written, Composed by 이설아

Arranged by 이설아

 

Vocal 이설아

BGV 이설아

Piano, Synth 이설아

A.guitar 박상권

Bass 이기학

Drums 이주현

 

Track 5.오해

Written, Composed by 이설아

Arranged by 이설아

 

Vocal 이설아

BGV 이설아

Synth 이설아

A.guitar, E.guitar 고재현

Bass 이기학

Drums 이주현

Percussions 한민영

 

Track 6.면역

Written, Composed by 이설아

Arranged by 이설아

String arranged by 이설아

 

Vocal 이설아

BGV 이설아

Piano, Synth, Midi programming 이설아

Violin 박용은

Cello 지박

Bass 이기학

Drums 이주현

 

Track 7.작은 마을
Written, Composed by 이설아

Arranged by 이설아

 

Vocal 이설아

BGV 이설아

Piano 박현서

Nylon guitar 장성일

Contra bass 정수민

Drums 이주현

 

Track 8.모르는 이름에게 

Written, Composed by 이설아

Arranged by 이설아

 

Vocal 이설아

Piano, Synth 이설아

 

Track 9.배웅

Written, Composed by 이설아

Arranged by 이설아

 

Vocal 이설아

Mellotron 이설아

Piano 진수영

Contra bass 정수민

Bass clarinet 박기훈

 

Track 10.작은 자유

Written, Composed by 이설아

Arranged by 이설아

 

Vocal 이설아

BGV 이설아

Piano, Synth, Midi programming 이설아

A.guitar 박상권

Clarinet 박기훈

Bass 이기학

Drums 이주현

Percussions 한민영

 

Produced by 이설아

 

Recorded by

천학주 at 머쉬룸레코딩스튜디오

곽동준 at 동준스튜디오

이설아, 고재현, 박기훈, 한민영

 

Mixed by 천학주 at 머쉬룸레코딩스튜디오

Mastered by 강승희 at 소닉코리아 서울숲 스튜디오

 

Album Photo by 임유근

CD design by 김재하 (북극섬)

 

Track 3. 친구야 M/V Directed by 조원준

Track 7. 작은 마을 M/V Directed by 조원준
(with team 이준모, 송지엽, 최지환)

Track 9. 배웅 M/V Directed by 배희진

Styling by

김민정 (Album photo)

문진호 (M/V on track 3,7)

유재창 (M/V on track 9)

Hair/Makeup 김유민 (Album photo)

 

Liner notes 최다은

Project Manager 조원준

Special thanks to 조원준, 멋진인생, 임재빈, 김형표

 

Publishing by poclan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