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e of Heart


 

엄마 아빠와 함께 산책하며 도로 갓길의 선을 따라 걷다가 갑자기 선이 없어진 곳이 있어서 생각난 가사에 멜로디를 붙여 만든 노래입니다.

뮤직비디오를 직접 만들어 보았어요. 좋아하는 게임인 마인크래프트와 산책하며 만난 아름다운 풍경들을 마음이 바라보는 곳으로 생각하고 믹스해 보았고요, 오존과 주니의 pigfrog, Xin seha, TENGGER 가 참여한 옴니버스 다큐멘터리 영화 WATERCOLORS에 뮤직비디오가 잠깐 삽입되었어요. 영화는 2023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처음으로 상영된다고 합니다.

 

 

 

 

Credits

Music Produced by ITTA

Lyrics by RAAI

Composed by RAAI

Arranged by TENGGER

Synthesizer played by MARQIDO, ITTA

Field Recording by RAAI

Vocal by RAAI

Chorus by RAAI & ITTA

Mixed by ITTA at Studio Kyurt

Mastered by MARQIDO at Lacquer Channel Mastering

Cover Art by RAAI via MINECRAFT

Cover Design by TENGGER

 

Every Point of View


 

off the menu [Every Point of View]
가장 완벽한 소리를 찾기 위한 3년 간의 탐미주의적 여정
손짓 한 번에 마법처럼 바뀌는 황홀경의 음악

오프더메뉴, 쾌조의 출발off the menu (오프더메뉴)는 안정준과 이형섭으로 이루어진 2인조 밴드다. 다양한 음식을 골라 먹을 수 있는 뷔페처럼 밴드의 포맷 내에서 다채로운 장르를 선사하고 싶다는 포부를 담아 다음과 같은 그룹명을 붙이게 되었다. 2019년 두 곡을 담은 셀프 타이틀 싱글로 데뷔한 오프더메뉴는 이듬해 첫 EP [Contact]를 발표하며 본격적인 활동에 박차를 가했다. 인디 팝/락을 비롯해 신스 팝, 브리티쉬 락, R&B와 일렉트로닉에 이르기까지 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여지없이 담아낸 앨범 덕분에 오프더메뉴는 데뷔 이래 비교적 빠르게 씬의 주목을 받았다. 그들은 동시대의 젊은 밴드가 갖고 있지 않았던, 유려한 멜로디라인을 만들 줄 아는 능력이 있었고 시대가 요구하는 로파이와 얼터너티브를 바라보는 혜안이 있었다. 장르 팬과 관계자의 입에서 오프더메뉴의 이름이 오르내리기 시작했고, 더 큰 성공을 예고하는 듯했다.과도기를 지나서차츰 씬에서 세를 넓혀갈 무렵, 확실한 방점을 찍기 위한 정규 앨범의 필요성이 그룹 안팎에서 대두되었다. 하지만 하나의 정규작을 내기까지 이들에겐 생각보다 긴 시간이 필요했다.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팀 내 구성원과 포맷이 조금씩 바뀌기도 했다. 누군가는 기다림에 지쳐 떠나는가 하면, 누군가는 채근했고, 누군가는 묵묵히 응원하며 기다렸다. 소위 과도기의 시기에도 오프더메뉴는 싱글 단위의 활동을 이어갔다. 여름을 닮은 ‘Lovers in Seoul’과 겨울을 닮은 ‘No way home’이 해당 시기에 발표된 대표적인 작품들. 그렇게 몇 해를 더 떠나보낸 2023년의 끝자락, 오프더메뉴가 대망의 첫 번째 앨범 [Every Point of View]를 발표한다.3, 11, 32

오프더메뉴가 본작을 발표하기까지 꼬박 3년의 시간이 걸렸다. 하루가 멀다하고 나오는 신곡의 파도 속에도 그들은 휩쓸리지 않고 묵묵히 오프더메뉴만의 스타일을 세공했다. 각고의 노력 끝에 탄생한 11곡은 저마다의 느낌과 색깔을 지니고 있다. 앨범의 포문을 여는 트랙이자 타이틀로 낙점된 ‘Driven Anxiety’는 그야말로 오프더메뉴의 아이덴티티를 여실히 보여주는 쾌감 가득한 신스 팝 트랙이다. 두 번째 타이틀이자 오스트레일리아 블루스라는 뜻을 지닌 ‘Aussie Blues’는 명료하며 캐치한 기타 리프가 주를 이루는 인디 락으로, 자극적이며 거칠지 않지만 뚜렷한 기승전결을 지닌 노래로 공연과 페스티벌에서 많은 사랑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유머러스한 트랙명 때문인지 몰라도, 테임 임팔라나 파슬스와 같은 실제 호주 출신의 밴드의 음악들을 연상케 하기도.

‘Echoes’와 ‘Shell’은 전작 ‘Soft bench’를 잇는 R&B 넘버지만, 두 노래는 미묘하게 다른 결을 지녔다. 전자는 장르 문법에 따라 R&B의 뿌리를 좇는 트랙이라면 후자는 현대적인 칠/로파이 R&B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두 트랙에 걸맞은 참여진 또한 각기 중용되었다. ‘Echoes’에는 ‘내부순환로’, ‘파도’ 등의 트랙으로 밴드와 합을 맞춘 바 있는 존오버가 참여했고 ‘Shell’에는 셀프 타이틀 정규를 비롯해 앨범 단위의 활동으로 평단의 큰 지지를 얻고 있는 오션프롬더블루가 목소리를 보탰다. 두 아티스트는 이번 앨범의 유이한 피쳐링진이기도 하다. 그런가 하면, ‘Cherokee’는 탈밴드의 형태를 지닌 하우스 넘버며, 세 번째 타이틀인 ‘Canyon’은 최근 다시금 조명받고 있는 얼터너티브 락/뉴메탈의 골격을 지닌 트랙으로 그간 선보이지 않았던 안정준의 보컬적 역량이 두드러진다. 이 둘 모두 지난 3년간의 실험이 결코 헛되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증거와도 같은 트랙.

[Every Point of View]의 참여진은 무려 32명에 달한다. 모든 노래가 각기 다른 매력과 성질을 지녔기에 저마다의 트랙에 가장 어울리는 연주자를 물색하는 등 완벽한 하나의 앨범을 만들기 위해 인력적인 부분까지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너무나 당연하게도, 참여진을 한데 모으고 정확한 가이드를 부여하는 감독 역할 또한 오프더메뉴의 몫이었다.

눈앞에서 펼쳐지는 사운드의 파노라마

뷰마스터라는 물체가 있다. 수동으로 고품질 컬러 필름을 넘기며 물체나 그림, 풍경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입체경의 일종으로, 콘솔 게임기나 PC가 상용화되지 않았을 무렵 어린이 완구로도 큰 사랑을 받았다. 오프더메뉴의 새 앨범은 이 뷰마스터를 닮았다. 버튼을 누를 때마다 새로운 풍경과 오브제가 눈앞에 등장하는 뷰마스터처럼, 어느 트랙을 무작위로 꺼내 들어도 좋은 노래가 나오기에.

모두가 정규 앨범을 어려운 숙제처럼 여긴다. 듣는 사람도 피로감 이유로 풀렝스보다는 싱글을 선호하며, 만드는 이 또한 재정과 체력 또 씬의 변화를 이유로 싱글 중심의 활동을 전개한다. 오프더메뉴의 정규 앨범은 마치 열한 트랙의 싱글 컬렉션과도 같다. 수록곡 전체를 듣길 권하지만, 어느 하나를 골라 들어도 괜찮다. 대신, 처음 만난 트랙이 마음에 든다면 이어서 다른 트랙들 또한 감상해보길 바란다. 결코 후회 없는 선택이 될 것이다. 정규 단위의 앨범을 애타게 기다리던 오랜 팬들과 이제 갓 입문한 라이트 유저, 심지어는 낯선 플레이리스트에서 처음 그들을 마주할 모두를 만족시킬 작품.

글 / 키치킴

 

 

 

 

Credits

1. Driven Anxiety

 

Composed by Jung Jun Ahn, Seung Min Lee

Lyrics by Jung Jun Ahn, Shemu, Yeon Woo Chang

Arranged by Jung Jun Ahn, Seung Min Lee, Hyeong Sub Lee

 

Vocal Jung Jun Ahn

Drum Seung Min Lee

Bass Hyeong Sub Lee

Guitar Han Beom Park

Piano Jung Jun Ahn, Seung Min Lee

Synthesizer Jung Jun Ahn, Seung Min Lee

Chorus Jung Jun Ahn

 

2. Cherokee

 

Composed by Yeon Woo Chang, Jung Jun Ahn, Seung Min Lee

Lyrics by Yeon Woo Chang

Arranged by Jung Jun Ahn, Seung Min Lee

 

Vocal Jung Jun Ahn

Drum Seung Min Lee, Jung Jun Ahn

Bass Seung Min Lee, Jung Jun Ahn

Piano Seung Min Lee, Jung Jun Ahn

Synthesizer Seung Min Lee, Jung Jun Ahn

Chorus Jung Jun Ahn, Yeon Woo Chang

 

3. Silhouette

 

Composed by Jung Jun Ahn

Lyrics by Jung Jun Ahn, Yeon Woo Chang

Arranged by Jung Jun Ahn, Seung Min Lee, Yeon Woo Chang, Hyeong Sub Lee, seemie (시미)

 

Vocal Jung Jun Ahn

Drum Seung Min Lee

Guitar Jae Hee Park

Bass Hyeong Sub Lee, Jung Jun Ahn

Synthesizer Jung Jun Ahn, Seung Min Lee

Piano Jung Jun Ahn, Seung Min Lee

Chorus Jung Jun Ahn

 

4. Echoes (Feat. Jhnovr)

 

Composed by Jung Jun Ahn, Seung Min Lee, Jhnovr

Lyrics by Jung Jun Ahn, Jhnovr, Hyeong Sub Lee

Arranged by Jung Jun Ahn, Seung Min Lee, Hyeong Sub Lee

 

Vocal Jung Jun Ahn, Jhnovr

Drum Seung Min Lee

Guitar Han Young Kim

Bass Hyeong Sub Lee

Piano Jung Jun Ahn, Seung Min Lee

Synthesizer Jung Jun Ahn, Seung Min Lee

Chorus Jung Jun Ahn, Jhnovr

 

5. Shell (Feat. oceanfromtheblue)

 

Composed by Jung Jun Ahn, Leehogyun, oceanfromtheblue

Lyrics by Jung Jun Ahn, Yeon Woo Chang, oceanfromtheblue

Arranged by Jung Jun Ahn, Leehogyun

 

Vocal Jung Jun Ahn, oceanfromtheblue

Guitar Leehogyun

Bass Leehogyun

Synthesizer Jung Jun Ahn, Leehogyun

Drum Leehogyun

Chorus Jung Jun Ahn, oceanfromtheblue

 

6. Aussie Blues

 

Composed by Jung Jun Ahn, Yeon Woo Chang

Lyrics by Jung Jun Ahn, Yeon Woo Chang

Arranged by Jung Jun Ahn, Hyeong Sub Lee, envy the moon, Seung Min Lee

 

Vocal Jung Jun Ahn, Yeon Woo Chang

Drum Jeong Min Lim

Guitar Geon Hoo Kang

Bass Hyeong Sub Lee

E. Piano envy the moon, Jung Jun Ahn

Synthesizer envy the moon, Jung Jun Ahn, Seung Min Lee

Percussion Jeong Min Lim

Chorus Jung Jun Ahn, Yeon Woo Chang

 

7. Canyon

 

Composed by Jung Jun Ahn

Lyrics by Jung Jun Ahn, Yeon Woo Chang

Arranged by Jung Jun Ahn, Han Young Kim, Jeong Min Lim, Min Seok Heo, Hyeong Sub Lee

 

Vocal Jung Jun Ahn

Guitar Min Seok Heo, Han Young Kim

Bass Hyeong Sub Lee

Synthesizer Jung Jun Ahn, Han Young Kim

Drum Jeong Min Lim

Chorus Jung Jun Ahn, Hyeong Sub Lee

 

8. The Void

 

Composed by Jung Jun Ahn, Seung Min Lee

Lyrics by Jung Jun Ahn, Yeon Woo Chang

Arranged by Jung Jun Ahn, Seung Min Lee, Yeon Woo Chang

 

Vocal Jung Jun Ahn

Drum Seung Min Lee

Bass Jung Jun Ahn, Seung Min Lee

Guitar Han Young Kim

Synthesizer Jung Jun Ahn, Seung Min Lee

Chorus Jung Jun Ahn

 

9. Blindspot

 

Composed by Yeon Woo Chang, Jung Jun Ahn, Leehogyun

Lyrics by Yeon Woo Chang

Arranged by Jung Jun Ahn, Leehogyun, Hyeong Sub Lee

 

Vocal Jung Jun Ahn

Drum Leehogyun

Bass Hyeong Sub Lee

Guitar Leehogyun

Synthesizer Leehogyun, Jung Jun Ahn

Piano Jung Jun Ahn

 

10. 거울

 

Composed by Jung Jun Ahn

Lyrics by Jung Jun Ahn, Dong Gyun Kim

Arranged by Jung Jun Ahn, Min Seok Heo, Jeong Min Lim, Hye In Kang, Hyeong Sub Lee

 

Vocal Jung Jun Ahn

Drum Jeong Min Lim

Bass Hyeong Sub Lee

Guitar Min Seok Heo

A. Guitar Min Seok Heo

Synthesizer Jung Jun Ahn

Strings Hye In Kang at Aimstrings

Piano Seo Won Go

Chorus Jung Jun Ahn, Sang Hyun Nah, Kang Hun Sim, betheblue, Seong Jun Kim

 

11. Lie wit me

 

Composed by swimmingpxxl, Hyeong Sub Lee, Jung Jun Ahn

Lyrics by Mikey!, Jung Jun Ahn, Hyeong Sub Lee

Arranged by Jung Jun Ahn, Hyeong Sub Lee

 

Vocal Jung Jun Ahn

Synthesizer Jung Jun Ahn

Piano Seo Won Go

Guitar Min Seok Heo

Chorus Jung Jun Ahn

 

 

Produced by off the menu

 

Recorded by Jeong Min Lim, Dong Jun Kwak, Dong Hun Nam, Jung Jun Ahn, Hyeong Sub Lee, En, Hae Rim Lee, Han Young Kim at Dr Recording Studio, Dongjun Studio, JM Studio, otmsound, Cj Azit

 

Vocal Edited by Jeong Min Lim, Han Young Kim, seemie (시미)

 

Mixed by Nahzam Sue at Wormwood Hill Studio (1,3,7), Leehogyun at Plant (5,9,11), Dong Jun Kwak at Dongjun Studio (6), Hyun Jeong Ko at koko sound studio (10), PAIIEK at Chambre Blanche (2), Manny Park at SIG Recordings (8), betheblue at loolloohouse (4)

 

All Mastered by Nahzam Sue at Wormwood Hill Studio

 

Promotion by Lily, Yeon Woo Chang

 

Identity & Design by minsgoi at studioDAH

 

Production Support by CJ Cultural Foundation

 

COSMOS


 

01SYNTH’s New EP

“COSMOS”

 

Track List.

1. Cosmos (Trap Beat)

2. Exoplanet (Liquid DnB)

3. Singularity (Liquid DnB)

4. Light Year (Chill Trap)

 

 

 

 

Credits
Composed by 01SYNTH

Produced by 01SYNTH

Mixed by 01SYNTH

Mastered by 01SYNTH, St.Emilio

Artwork by Pawel Czerwinski

Distributor POCLANOS

TENGGER


 

– 2023년 새롭게 발표하는 앨범 TENGGER는 세계의 새로운 바람(AQUARIUS)을 받아들이는 동시에, TENGGER라는 이름을 처음 택했을 때의 마음가짐과 기원을 돌아보며 그 의미를 되새기는 새로운 음악들로 채운 셀프타이틀 앨범입니다.

– 이번 앨범을 통해 우리는 하늘과 우주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것은 TENGGER 그 자체의 의미이기도 합니다. TENGGER는 몽골어로 “경계 없이 큰 하늘”을 뜻합니다. 그리고 이 앨범의 사운드는 새벽이 밝아올 때부터 시작되어 은하수를 맞이하는 밤이 될 때까지 순환합니다.

 

– PANAPTU

PANAPTU는 퉁구스족의 전통 샤머닉 금속 거울과 고대 천문대의 동시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PANA 는 ‘영혼의 그림자’를, PTU 는 ‘그 그림자를 담기 위한 그릇’을 뜻하며, PANA와 PTU의 관계는 램프 혹은 빛, 그리고 거울의 관계와 같습니다. PANAPTU는 땅(지구)과 하늘 두 존재에 대한 경건한 존경을 표하는 트랙입니다. 하늘에서 내리는 빛과 비, 그리고 땅에서 자라는 모든 것들이 우리의 몸과 영혼을 구성합니다. 사람들은 하늘을 올려다보고, 하늘 역시 우리를 바라보며 서로를 비춥니다.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며 매순간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사운드와 가사를 통해 표현했습니다. 이 트랙의 뮤직비디오는 몽골에서 촬영했습니다.

 

– EUNHASU

지금 살고 있는 우리 인류는 밤에도 눈으로 별을 쫓기 힘든 밝은 도시를 벗어나야 은하수를 마주하지만, 우주 존재들의 빛이 남긴 머나먼 시간의 기록을 볼 수 있지요. 눈에 보이거나 보이지 않거나 지금 우리와 마주하는 셀 수 없이 오랫동안 살아온 우주와 하늘의 기록들, 이에 직면하여 우리가 받아들인 세계를 표현했습니다.

 

 

 

 

Credits

Music Produced, Composed and Arranged by TENGGER

TENGGER : ITTA, MARQIDO, RAAI

Lyrics by ITTA

Synthesizers & Electronics Played by MARQIDO

Indian Harmonium & Vocal Played by ITTA

Chorus by ITTA, RAAI

Mixed by MARQIDO at Studio Kyurt

Mastered by Noah Mintz at Lacquer Channel Mastering

Cover Art by TENGGER

 

*** PANAPTU Music Video Credit ***

Director : Sosoo

Cinematographer : Soogeon Park

DI : Lucid Colour

Colorlist : Haewon Kwak

Actor : TENGGER

Production : SEGAJI

 

 

Point of Hue


 

“POH (Point of Hue)” : 모든 것은 다 색(Hue)로 이루어져 있다. Closet Yi (클로젯 이)가 보는 다채로운 색상의 세계는, 다양한 감정과 색감으로 표현하는 소리적 탐구이다. 자신을 행동가보다는 관찰자로 생각하는 그녀는, 각각의 트랙에서 다양한 색감과 감정을 통해 세상에 대한 독특한 시각을 증언한다.

복잡한 질감, 예상치 못한 조화, 섬세한 음향적 꽃피움으로 이루어진 4곡의 댄스 EP는 듣는 순간 직관적으로 몰입감을 주며 감정의 소용돌이를 일으킨다. 클로젯 이의 고향 서울에서 작곡되고 믹싱된 이 매력적인 EP는 따뜻하게 공기를 떠도는 노랑과 보라, 그리고 고요한 코발트와 세이지의 그림자가 어우러진 총체적 작업이다.

Closet Yi는 이번 EP를 통해 그녀의 넓은 감각적 스펙트럼을 보여주면서도 현재 가장 창의적이고 새로운 전자음악 아티스트들이 활약하는 곳에 단단히 뿌리를 내린다.

“POH (Point of Hue)” EP는 한국 일렉트로닉 레이블 허니배저레코즈에서 10/6 에 발매된다.

 

 

 

 

Credits

All tracks written produced mixed by Closet Yi

Mastering by Beau Thomas @ Ten Eight Seven Mastering

P & C 2023 Honey Badger Records

 

Cells Impact


 

소개글
New from Cells Impact. The creepiest miniature car you’ve ever seen. And look for more fragments!

 

 

For more information about Easymind & oddeen and there music you can follow ohhu on Instagram and check out Bandcamp. Tune into ohhu YouTube and for more information follow on Instagram.

 

© 2023 ohhu LTD.

ohhunoon.com

 

 

 

 

Credits

Produced by Easymind & oddeen

Executive Producer by ohhu

 

Track 2, 3, 4, 6, 7, 8 composed & arranged by Easymind & oddeen

Track 5 composed & arranged by oddeen

Track 9 composed & arranged by Easymind

 

Written by Easymind

 

Track 1 ’Cells Impact’ composed & arranged by khc

Track 3 ‘Caterpillar’ featured by 1300

Track 4 ‘HEADCOUNT’ featured by ccr

 

Mixed by Easymind, oddeen

Mastered by oddeen

 

Artworks by oddeen

Cover Designed by oddeen

Photograph by oddeen, Dahyun Son

 

Logo Designed by Dahyun Son

 

Shell (Feat. oceanfromtheblue)


 

곧 발매 될 첫 정규 앨범 ‘Every Point of View’의 마지막 선공개 곡 ‘Shell (Feat. oceanfromtheblue)

 

 

 

 

Credits
Shell (Feat. oceanfromtheblue)

 

Composed by Jung Jun Ahn, Leehogyun, oceanfromtheblue

Lyrics by Jung Jun Ahn, Yeon Woo Chang, oceanfromtheblue

Arranged by Jung Jun Ahn, Leehogyun

 

 

Vocal Jung Jun Ahn

Guitar Leehogyun

Bass Leehogyun

Synthesizer Jung Jun Ahn, Leehogyun

Drum Leehogyun

Chorus Jung Jun Ahn, oceanfromtheblue

 

Recorded by Jeong Min Lim (at Dongjun Studio, DR Recording Studio), Jung Jun Ahn (at otmsound)

Vocal Edited by Han Yong Kim

Mixed by Leehogyun @Plant

Mastered by 나잠 수 at Wormwood Hill Studio

 

Artork by minsgoi @ studio DAH

NullPointerException


 

Null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EP는 의미론적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NullPointerException은 Null인 데이터를 호출시 생기는 오류이다.

NullPointerException은 EP에서 의미를 호출시 생기는 오류이다.

 

 

 

Credits

Produced by WYXX

 

Composed & Arranged by WYXX

 

Mixed by WYXX, Seokjae Hong

Mastered by Seokjae Hong

 

Artwork by WYXX, Eunseo Kim

 

A&R Jongbin Choi, Minseock Choi, Dohoon Shin

 

2023 SoundSupply_Service

manufactured and marketed by SoundSupply_Service. 40, Dongsan-ro 2-gil, Seocho-gu,

All rights reserved www.SoundSupplyService.kr

 

활동


 

우주의 한없이 작은 존재 인간이 서로를 미워하는 대신

춤 추고 웃으며 서로를 사랑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칼 세이건의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에서 영감 받아 만든

대구의 일렉트로닉 음악가 동찬의 두 번째 정규 앨범 <활동>

 

“저 점을 다시 보세요. 저기가 바로 이곳입니다. 저것이 우리의 고향입니다. 저것이 우리입니다. 우리가 사랑하는 모든 이들, 우리가 알고 들어보았을 모든 사람들, 존재했던 모든 인류가 저곳에서 삶을 영위했습니다. 우리의 모든 즐거움과 고통이, 우리가 확신하는 모든 종교, 이념, 경제체제가, 모든 사냥꾼과 약탈자가, 모든 영웅과 겁쟁이가, 모든 문명의 창시자와 파괴자가, 모든 왕과 농부가, 사랑에 빠진 모든 젊은 연인들이, 모든 어머니와 아버지가, 희망에 찬 모든 아이가, 모든 발명과 탐험가가, 모든 도덕적 스승들이, 모든 부패한 정치가가, 모든 인기 연예인들이, 모든 위대한 지도자들이, 모든 성인과 죄인들이 저곳 – 태양 빛 속에 부유하는 먼지의 티끌 위에서 살았던 것입니다.

 

지구는 우주라는 거대한 극장의 아주 작은 무대입니다. 그 모든 장군과 황제들이 아주 잠시 동안 저 점의 일부분을 지배하려 한 탓에 흘렀던 수많은 피의 강들을 생각해 보십시오. 저 점의 한 영역의 주민들이 거의 분간할 수도 없는 다른 영 역의 주민들에게 얼마나 많은 잔학 행위를 저지르는지, 그들이 얼마나 자주 불화를 일으키고, 얼마나 간절히 서로를 죽이고 싶어 하며, 얼마나 열렬히 서로를 증오하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우리의 만용, 우리의 자만심, 우리가 우주 속의 특별한 존재라는 착각에 대해, 저 희미하게 빛나는 점은 이의를 제기합니다. 우리 행성은 사방을 뒤덮은 어두운 우주 속의 외로운 하나의 알갱이입니다. 이 거대함 속에 묻힌 우리를 우리 자신으로부터 구해 줄 이들이 다른 곳에서 찾아올 기미는 보이지 않습니다.

 

아직까지 알려진 바로 지구는 생명을 품은 유일한 행성입니다. 적어도 가까운 미래에 우리 종이 이주할 수 있는 곳은 없습니다. 다른 세계를 방문할 순 있지만, 정착은 아직 불가능합니다. 좋든 싫든, 현재로선 우리가 머물 곳은 지구뿐입니다.

 

천문학을 공부하면 겸손해지고 인격이 함양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멀리서 찍힌 이 이미지만큼 인간의 자만이 어리석다는 걸 잘 보여주는 건 없을 겁니다. 저 사진은 우리가 서로 친절하게 대하고, 우리가 아는 유일한 보금자리인 창백한 푸른 점을 소중히 보존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임을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칼 세이건

 

 

 

 

Credits

All Tracks Written by 동찬 Dongchan

Except Track 2 Written by 동찬 Dongchan, kimmo / Track 5 Written by Eric Satie / Track 6, 7 Written by 동찬 Dongchan, Hummingmoon

Track 2 Vocal, Lyrics by kimmo

Track 6, 7 Vocal, Lyrics by Hummingmoon

 

Mixed by 동찬 Dongchan

Mastered by KIm Kate / Mad Flux Audio

 

Cover Design by Jaekook Han

Artwork Design by 강민우 Minoo Kang

 

Exuective Produced by 하박국 HAVAQQUQ of YOUNG,GIFTED&WACK Records

 

Forte / 900 Wasps


 

Forte / 900 Wasps

 

 

 

 

Credits

900 Wasps

 

Lyrics by Crush, Mount XLR

Composed by Crush, Mount XLR

Arranged by Mount XLR

Additional Drum Programming by Wona

Additional Arrangement by Wona

 

Forte

 

Composed & Arranged by Mount XLR

 

 

Track 1&2 mixed and mastered by Kwangjae Jeon

 

Artwork by Eunseo Kim

A&R Minseock Choi, Dohoon Shin, Jongbin Choi

 

2023 SoundSupply_Service

manufactured and marketed by SoundSupply_Service. 40, Dongsan-ro 2-gil, Seocho-gu,

All rights reserved www.SoundSupplyService.kr

 

wheel


 

소개글
 

등은 세상을 비추는 빛을 통해 나아감과 오름을 이야기합니다.

빛으로 새로운 세상을 발굴하고 탐구하는 작업을 합니다.”

 

 

등 [wheel] 음반 소개문 – 나원영 (대중음악비평가)

 

정말로 안타깝게도 “우리의 삶은 짧고 빨라지”지만, 이제부터는 등의 [wheel]을 위해 잠시 “시시한 것들에 대해 말하”려고 한다. 1969년 1월, 해체를 목전에 둔 인기 밴드 비틀즈는 새해를 맞아 장차 [Let It Be]가 될 신보와 기념 공연을 위한 작업을 약 3주 동안 꾸역꾸역 진행한다. 이후 80분짜리로 축약될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를 위해 현장에 있던 제작팀에 둘러싸인 채 말이다. 그렇게 기록된 60시간 넘는 녹화영상과 그보다 두어 배는 달할 음성녹음은, 그로부터 50년 뒤 뛰어난 영화 제작기와 다큐멘터리의 감독이기도 한 피터 잭슨에 의해 선별되어 8시간에 가까운 분량의 <비틀즈: 겟 백>으로 재편집된다.

 

잭슨과 제작진이 고르고 이어 붙인 현장에서는 두 가지 특징이 강하게 묻어나온다: 코앞에 들이닥친 마감부터 머지않아 다가올 운명까지 드리운 촉박함과, 어쩌면 임박해오는 시간의 강한 압박 덕에 추출되는 영감의 즉시성. 옛 프로젝트의 가제이자 새로운 편집본의 중심이 된 ‘Get Back’을 포함해, 비틀즈의 황혼기를 장식한 여러 명곡은 그렇게 즉시성과 촉박함이 서로의 발전기가 되어주는 잼의 공정에서부터 생산되었다. <겟 백>의 저 모든 하릴없는 창작과정을 지켜보더라도, 그렇게 완성된 트랙들이 결국에는 신비하고 경이롭게 느껴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어느 시기에 어느 양식을 어느 방법으로 만들든 간에, 즉흥적인 합주만큼 협업에 담긴 힘을 마법처럼 발휘하는 것도 없을 테니 말이다. 둘 이상이 모여 각자의 소리를 서로에게 맞출 때마다 즉시 튀어나왔다 사라지는 영감을 잡아챌 시간은 촉박하게도 흘러가지만, 다행히도 우리에게는 그 모든 걸 기록하고 편집할 도구가 있다.

 

다양한 종류의 협업으로 이뤄진 음반 [wheel]을 제작한 등(deung)은 세 가지의 만남으로 이뤄져 있다. 우선 초등·중학교 동창으로 만나 대학교를 같이 다닌 robineggpie와 yoorae가 각각 미술작가이자 전자음악가로서 각자의 삶을 보낸다. 이후 2016년, 첫 음반 [00]을 발매하려던 yoorae는 파운데이션 레코드의 대표이며 본인도 프로듀서이자 음악가인 smells를 만난다. 공식적으로는 2022년의 ‘Happiness’와 ‘익숙하지 않아 이 기분’을 시작해, 둘은 2023년 봄에는 4ll8lue와의 합작으로 흥의 움직임을 탐구하는 EP [1721]을 발매하기도 한다. 그리고 다시 만남의 줄기를 타고 빙 돌아가, 성인이 되어서도 yoorae와 쿵짝이 잘 맞았던 robineggpie와 함께 셋은 “등”이라는 이름의 팀을 결성한다. 세 멤버 간의 유기적인 협업은 yoorae를 양편의 매개 삼아 smells의 음악과 robineggpie의 비주얼을 위한 도구가 되어주고, 이는 이미 등의 이름으로 발매한 첫 싱글의 제목처럼 ‘신바람’을 타고 있었다.

 

등의 협업이 팀 활동을 위한 도구에서 하나의 현장으로 발전하는 계기는 [1721]이 발매되고 며칠 지나지 않아 열린 UIO파티에서다. yoorae는 여기에서도 [wheel]을 위한 휠, 타이어 고무를 꽉 잡아주는 금속 부품과 같은 매개의 역할을 해준다. 절친한 친구와 그의 아내, 밴드 활동 시절에 만났던 동료, 음악 활동을 하는 친동생의 지인, 현재 근무 중인 회사의 스튜디오 팀원, 물론 우연과 필연이 뒤섞여 연이 닿은 이들까지. 얽히고설킨 다양한 친분들이 한날한시에 모여들어 파티를 채웠고, 그곳에서부터 발생한 삘 혹은 휠은 바로 그 순간부터 조금씩 속도를 붙여 굴러가기 시작했다. [wheel]은 그때 거기에 분명히 잠재된 영감과 협업의 가능성이 어느 순간 나타났다 영영 사라지기 전에, 이를 촉박하게 기록하듯 만들어졌다. 그 공정은 물론 협업자들 간의 잼을 통해 이뤄졌고, 파티가 끝나고 몇 개의 세션을 관통하는 약 100일간의 작업 기간 동안 즉각적으로 나타난 아이디어들이 급박하게 불어났다. 그렇게 정규 음반의 단위로 완성된 [wheel]은 등이 잼을 엔진 삼아 협업의 휠을 돌려 기어이 잡아챈, 흥겨운 삘의 기록이자 편집이다. 굴러가는 휠을 타고 온갖 삘들이 오고 가는 열린 움직임에서, 등은 이제 11트랙의 협업으로 뻗어나간 사지를 한 몸뚱이에 잡아주는 등짝이자 척추가 되어준다.

 

다른 음악인과의 협업 없이 smells와 yoorae 둘끼리 작업했으며, 수록곡 대부분의 믹스를 맡아주고 추가편곡을 거들어준 ApesOn도 그 덕에 주되게 참여한 트랙 ‘light’가 [wheel]의 전반적인 토대를 다잡아준다. [1721]에 전반적으로 깔려있던 블루지한 흥은 전자적인 댄스음악의 구성에 훨씬 가까운 그루브로 대체되었는데, 여유롭게 반복되며 찬찬히 소리의 두께를 쌓아 올리는 비트의 주변부에 미세한 장식음들이 세밀하게 뿌려지며 변주의 방향을 조금씩 움직여간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기본적인 뼈대는 특히나 잼 세션에서도 유용하게 쓰이며, 앞으로 [wheel]에서 듣게 될 다양한 참여진과 온갖 소리가 각자의 특성을 띠고 들어갔다 나가는 일종의 열린 계를 형성한다. 그것이야말로 협업으로 만들어진 시공의 가장 큰 강점이기도 할 테고 말이다.

 

바로 그렇기에 ‘신바람’을 리메이크한 ‘춤바람’이 [wheel]의 잼과 협업, 그리고 열린 계가 돌아가는 훌륭한 예시이자 음반의 입구가 될 것이다. ‘신바람’의 베이스라인을 끌고 와 훨씬 더 느긋하게 흐느적거리는 박자감 위로, 말맛을 인상적으로 밀고 당겼던 4ll8lue의 가창은 레코다메와 이대봉이 조곤조곤 주고받는 듀엣으로 대체된다. 탄탄한 반복으로 만들어진 신바람이 그루브가 울렁이는 춤바람으로 바뀌었지만, 곡은 “신바람이었지, 날 여기로 이끈 건”이라는 노랫말처럼 사람들을 이끌어오는 듯한 묘한 신명을 간직한다. 그렇다면 이후에 [wheel]에서 펼쳐질 광경을, 신바람을 타고 협업의 현장으로 들어온 이들이 저마다의 춤바람에 따라 움직이며 빛을 받는 모습으로도 볼 수 있겠다. 일정한 주기로 되풀이되는 비트나 종종 짧은 어구들을 되뇌는 것으로 이뤄진 노랫말과 같은 등의 기본적인 기획 방향과 비트가, 곧 즉흥적인 잼에서 즉각적인 영감이 튀어나올 수 있을 청사진을 제공해주는 것이다.

 

[wheel]을 지탱하는 바퀴들 혹은 [wheel]에 흘러 다니는 느낌을 협업의 결에 따라 분류해보는 방식은 신바람과 춤바람이 움직이는 방향만큼 다양하다. 앞서 언급했듯이 어떠한 친분으로 잼 세션이 맺어졌는지에 따라서도 선을 그어볼 수 있겠지만, 협업자들과 등의 참여가 얼마큼의 비율로 드러나고 어떤 결과를 냈는지도 요긴한 기준이 되어준다. 그러니 잼 세션의 기틀을 위해 등이 뽑아내는 반복적인 비트의 생김새와 때로는 그 중앙이나 위아래로 때로는 그 틈새로 들어오는 협업자들의 흔적을 들어보자. 이를테면 참여 여부가 좀 더 분명하게 드러나는 경우는 목소리의 유무다. 춤바람과 신바람을 슈퍼보드처럼 가장 확실하게 타는 ‘치키차카초코’에서 치치카포가 90년대 댄스 가요의 단순명쾌한 구절과 후렴을 흥얼거리는 것처럼. 이때 등은 치치카포를 위한 프로듀서의 역할을 맡듯 백 비트를 강조하며 쨍하게 번쩍이는 톤을 깔아주고, 잼 세션에서의 간단명료한 반복으로 꾸려낸 박자감을 유지하되 전자적인 음색을 참여진의 쪽에 맞추며 소리의 계를 열어놓는다.

 

한편 미니멀한 배치에 묵직한 킥을 깔아둔 비트 위로 Avernity가 스산하게 중얼거리는 랩이 확 띄는 ‘bliss’나, Issac Silver의 시퀀싱을 통해 몽환적인 음색을 띤 Sider7의 목소리에 루프가 걸어지며 주된 사운드가 구성되는 ‘feel’ 같은 트랙들에서도 등의 협업 현장을 엿들을 수가 있다. ‘feel’과 같은 비트와 보컬 간의 조화는 듀오 The Acoustic이 참여한 ‘서울’에서도 돋보인다. 트랙은 유난하게 둔중한 킥을 밀어붙이는데, 짤막한 구간들을 흥겹게 부르는 서진의 가창은 잼 세션에서 만들어지는 비트 안팎을 하늘하늘 떠돌아다닌다. 이러한 목소리들은 종종 일반적인 피처링처럼 곁에서 찬조하는 역할만을 맡기보다, 즉흥적인 잼과 반복되는 비트에 적극적으로 들어오며 전체 소리의 일부가 된다. 다르게 말하자면 협업의 도구로 쓰여 등과 구분되는 특성을 더하기도 하지만, 스스로를 등의 전자음에도 녹여내며 협업의 열린 현장 자체를 이루는 셈이지 않을까.

 

그러는 한편, 첫 두 곡에서 들을 수 있던 등의 사운드가 협업자들과의 잼에서 차차 뒤엉켜가며 새로운 질감과 점도를 띄는 경우도 있겠다. 이럴 때는 시간이 진행될수록 소리가 어떻게 들어갔다 나오고, 트랙이 어떻게 그 모양을 차차 바꿔 가는지로 이 변주를 실감할 수 있다. 이대봉이 ‘춤바람’에 이어 참여한 ‘duck’은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 동안 주요한 신스음과 킥의 강도를 살짝 줄인 대신 오밀조밀하게 잘그락거리는 소리를 곳곳에 삽입하며 사운드가 종종 짙고 두꺼워지는 편인 [wheel]에 능청맞고 장난스러운 감각을 더한다. 그렇지만 순전한 규모를 통해 소리의 총체적인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트랙들에서 그만치의 즐거움을 느낄 수도 있다. 모듈러 신시사이저 음악인 Deja와 Puttt가 테크노의 강렬함을 몰고 와 각각 육중하고 큼직하게 참여한 ‘sham’과 ‘ADAP’가 그 곡들로, 특유의 둔탁한 전자음이 비슷하다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양쪽 곡에서는 꽤나 다른 형태의 협업이 어떻게 성립되는지를 들어볼 수가 있다.

 

‘sham’은 Deja와 yoorae 간의 즉흥 퍼포먼스 듀오인 DOKKAEBI의 몇십 분짜리 잼 녹음본들을 smells의 편집으로 재구성한 트랙이다. 꽹과리의 날카로운 금속성 소리가 샘플링되어 잔뜩 심겨 있고 대북과도 같은 테크노풍의 킥 드럼이 무겁게 찍히며 울리는 동안, 모듈러 신스는 그 전기적인 힘을 쥐락펴락하며 사운드를 채우고 yoorae가 무당이라도 된 마냥 주술을 읊는다. 이러한 사운드의 움직임에서는 모듈러 신스를 중심의 잼 세션 현장을 상상할 수 있을 만큼이나, 즉흥적으로 튀어나오는 협업의 흥을 촉박한 재생 시간에 밀도 높가 뭉치는 솜씨도 들을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ADAP’은 촉박할지도 모를 시간을 13분의 길이로 훌쩍 늘여놓은 앰비언트 테크노로, 모듈러 신시사이저를 조작하듯 여러 전자음을 차근차근 넣었다 빼는 과정으로 [wheel]의 끄트머리를 가득 채운다. Puttt의 SF적인 모듈러와 등의 그루브감 간 궁합으로 설명되는 트랙은, 서로의 특징이 어우러지는 매 순간을 긴 호흡에 따라 즉흥적으로 맞춰나가듯 사운드를 구성한다. 그루비한 박자와 목소리의 너른 사용이 수록곡들을 주되게 차지하는 와중에도, 두 트랙만큼은 이렇게 전자적인 사운드의 무게감 있는 움직임에 집중하며 음반의 중앙과 마무리에서 무게추와 같은 기능을 도맡는다.

 

이러한 협업의 스펙트럼이 [wheel]에 널따랗게 뻗은 모양새는 특히나 ‘ride’와 ‘haus’에서 확인 가능하다. 두 트랙 모두 Nine Keiyam이 참여한 세션에서 발전된 곡일 뿐만 아니라, 등이 마련한 협업의 현장이 어떻게 돌아가며 참여 음악인들이 그러한 협업을 어떻게 도구로 사용하는지를 각기 다르게 들려주기 때문이다. ‘ride’는 흥겨운 속도감을 전면적으로 내세우는 편인데, 앞선 두 곡을 타고 내려오는 신바람을 받아서 협업의 현장을 조성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모든 당신이 모든 모습이 모든 노래에”와 함께 “춤이 그려지네”를 끊임없이 속삭이는 변조 목소리가, 반복적인 움직임이 그린 춤바람을 포착하는 도구로써 활용된다. [wheel]의 기본공식을 철저히 숙지한 ‘ride’의 간명함 덕에, 이번에는 천미지가 보컬의 작사·작곡으로도 참여한 ‘haus’ 또한 더욱 흥미로워진다. 트랙은 모듈러 테크노처럼 집채만 한 전자음을 불러오기보다, 차라리 굵직한 베이스음과 기초적인 네 박자를 바탕 삼아 자그마한 전자음과 목소리 조각을 잡다하게 뿌리는 편이다. 소리의 계를 제법 열어놓았는지 각종 잡음이 미니멀한 구성에 첨가되는 동안, 천미지는 따끔하게 쏘아붙이기도 하고 어떻게 생각하냐 종알거리기도 하며 고유한 음색을 잔뜩 심어두는 한편, 이 목소리 자체는 샘플로 쓰여 돌고 돌면서 현장을 구성하기도 한다. 이런 식으로, 두 트랙은 협업이 어떻게 등의 잼 세션에서 출발해 도구로도 현장으로도 이용되며 완성되는지를 효과적으로 들려준다.

 

소리의 드나듦에 열려있는 삘은 온 방향을 든든하게 잡아주는 휠 덕에 즐거운 협업으로 이어져 [wheel]이 된다. 이 현장에서는 그루비한 반복의 움직임이 등의 익숙함을, 다채로운 변주의 움직임이 참여진의 익숙잖음을 만든다. 두 느낌이 잼 세션의 긴박한 즉흥을 통해 골고루 엉겨 붙으며, 각양각색의 만남에서 시시각각 발생하는 영감은 녹음과 편집 과정에 따라 안정적으로 보존된다. 각 트랙에는 저마다의 신바람 혹은 춤바람이 기묘한 움직임을 타고, 음악 소리는 인연의 안팎을 오가면서 흥겨운 흐름을 이뤄나간다. 등이라는 이름은 이러한 협업 현장의 든든한 척추가 되어줄 뿐만 아니라, [wheel]에 붐비는 실로 다양한 이름들을 일종의 “기타 등등”처럼 묶어보는 동시에 이 이름들을 이리로 이끈 바람을 타고 이들이 신나게 놀아볼 수 있도록 등불을 비춰준다. 휠을 타고 빙글빙글 돌아가는 협업의 현장이 어느 날의 파티에서 출발했다고 말을 했었나? 모두가 플로어를 분주하게 들락날락하며 “신바람에 취해 우리 모두 휘청거리”는 동안 누가 어떤 소리를 내고 무얼 노래하는지 “아지랑이 피었고 뭔지 분간이 잘 안 되”지만, 등에 모인 모두가 “어딜 가는지도 모르게 어지러운 박자 사이에” 흥겨운 춤바람을 불어넣으며 떠들썩하게 우리를 부른다: “같이 춤을 추자고”

 

 

 

 

Credits

Executive production – deung (yoorae, smells, robineggpie)

Artwork, Design – robineggpie

 

1. 춤바람

Songwriting & Production – yoorae, smells, 이대봉, Recordame, 신정현, YANO

Recorded at lime studio, big mountain studio, wonderland studio

Mixing – PIRi BOi at FAB STUDIO

Mastering – Austin Doque (ApesOn) at London Sound Studio

 

2. light

Songwriting & Production – yoorae, smells, ApesOn

Recorded at lime studio

Mixing – Kwon (ApesOn) at 03Bunker

Mastering – Austin Doque (ApesOn) at London Sound Studio

 

3. ride

Songwriting & Production – yoorae, smells, Nine Keiyam, ApesOn

Recorded at lime studio, Quokka Studio

Mixing – Kwon (ApesOn) at 03Bunker

Mastering – Austin Doque (ApesOn) at London Sound Studio

 

4. 서울

Songwriting & Production – yoorae, smells, The Acoustic, ApesOn

Recorded at lime studio, Jackson

Mixing – Kwon (ApesOn) at 03Bunker

Mastering – Austin Doque (ApesOn) at London Sound Studio

 

5. feel

Songwriting & Production – yoorae, smells, Sider7, isaac silber

Recorded at lime studio

Mixing – PIRi BOi at FAB STUDIO

Mastering – Austin Doque (ApesOn) at London Sound Studio

 

6. sham

Songwriting & Production – yoorae, smells, Deja

Recorded at lime studio

Mixing – Deja at Skulltoy Studio

Mastering – Austin Doque (ApesOn) at London Sound Studio

 

7. 치키차카초코

Songwriting & Production – yoorae, smells, CHICHIKAFO, ApesOn

Recorded at lime studio, CHICHIKAFO

Mixing – Kwon (ApesOn) at 03Bunker

Mastering – Austin Doque (ApesOn) at London Sound Studio

 

8. duck

Songwriting & Production – yoorae, smells, 이대봉, ApesOn

Recorded at lime studio, big mountain studio

Mixing – Kwon (ApesOn) at 03Bunker

Mastering – Austin Doque (ApesOn) at London Sound Studio

 

9. bliss

Songwriting & Production – yoorae, smells, Avernity, ApesOn

Recorded at lime studio

Mixing – Kwon (ApesOn) at 03Bunker

Mastering – Austin Doque (ApesOn) at London Sound Studio

 

10. haus

Songwriting & Production – yoorae, smells, Nine Keiyam, 천미지, ApesOn

Recorded at lime studio, Quokka Studio

Mixing – Kwon (ApesOn) at 03Bunker

Mastering – Austin Doque (ApesOn) at London Sound Studio

 

11. ADAP

Songwriting & Production – yoorae, smells, Puttt, ApesOn

Recorded at lime studio

Mixing – Kwon (ApesOn) at 03Bunker

Mastering – Austin Doque (ApesOn) at London Sound Studio

 

YAWN


 

New from Cells Impact. The creepiest miniature car you’ve ever seen. And look for more fragments!

 

 

 

 

Credits
Easymind & oddeen – YAWN

 

Produced by Easymind & oddeen

Executive Producer by ohhu

 

Composed & arranged by Easymind & oddeen

Written by Easymind

 

Artworks by oddeen

Cover Designed by oddeen

 

Photograph by oddeen, Dahyun Son

 

Logo Designed by Dahyun S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