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

1. Ka (Feat. EJO)
2. REVERSAL

 


 

 

온라인, 오프라인 이벤트를 넘나들며 조금씩 인지도를 확보 중인 테크노 듀오 아이트(IGHT)가 두 곡이 담긴 싱글 [HIGH]를 발표한다. 이번 앨범은 음악을 만드는 과정에서 느껴지는 몰입감을 멤버 각각의 시선으로 만들어 본 앨범이다. 웃음꽃 동료이자 래퍼, 모델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 중인 에조(EJO)가 목소리를 더해 곡의 분위기를 한층 더 끌어올렸다.

 

Credits

 

Produced by 아이트 (@ight_official)
Executive Producer : 이승준(@ADVVVENTURE)

Lyrics by ejo(@__ejo_) (track1)
Narration by ejo(@__ejo_) (track1)

All song by 아이트
Mixed & Recorded by 아이트 (@ight_official)
Mastering Alex Picciafuochi

HOWL

1. HOWL
2. HOWL (Inst.)

 


 

 

Santé

1. Santé
2. Maze

 


 

퍼커셔니스트 정윤재에서 뮤지션 Bele로 거듭나는 순간입니다. 그저 제가 좋아하는 것들을 담았습니다. 지금 현재 Bele라는 사람을 음악으로 소개해 주고 싶었습니다.

 

Credit.

Album Artwork. YEON

 

1. Santé

첫 시작 축배를 들어올리자.

Compose. Bele
Produce. Bele
Percussion. 정윤재
Vocal. 정윤재
Bass Guitar. 임채린
Drum. 정윤재
Synth. 정윤재
Mix. 정윤재
Mastered. HAWWAH

 

2. Maze

출구가 보이는 듯 계속 보이지 않는 미로 그 미로 속에 갇혀버린 나 눈앞에 빛을 따라 계속 출구를 찾아 나서지만 내가 지금 어디쯤인지 전혀 모르겠는 나 아무리 주위를 둘러봐도 여기가 어디인지 아까 왔던 곳이었는지 가야 하는 길인지 헷갈리는 나.

Compose. Bele
Produce. Bele
Bass Guitar. 김유민
Electric Guitar. 소상규
Keyborad. 이진형
Djembe. KIMO (김오민)
Drum. HAWWAH
Vocal. 바른
String. 정윤재
Percussion. 정윤재
Mix. HAWWAH, 정윤재
Mastered. HAWWAH

아담의 젖꼭지

1. 아담의 젖꼭지
2. 사람들은 진짜로 멍청해
3. 개미로 사느냐

 


 

하나님께서 태초에 현생인류를 만드셨다면 남자에게 젖꼭지는 왜 만드셨나요?

[Credits]
Produced & Composed by 하가
All instrument by 하가
Lyrics by 하가
Mixed by 하가
Mastered by 하가
Album art by 전예슬

물의 순환 / THE WATER CYCLE

1. 샘 / SPRING WATER
2. 바다로 간다 / FROM THE RIVER TO OCEAN
3. 파도 / WAVES
4. 흩어지기 / EVAPORATION
5. 눈치채지 못하는 사이에 / ATMOSPHERE
6. 구름 / CLOUD
7. 내려오기 / RAIN
8. 흐름 / FLOW
9. 시작도 끝도 존재하지 않는다 / CYCLE

 


 

돌고 돌아 찾아온 휴식의 음악
RAINBOW99의 정규 9집 ‘물의 순환 / THE WATER CYCLE’

안녕하세요. 레인보우99입니다. 작년 말, 2020년 1년간 제주에서 진행한 ‘오름의 지금’이라는 프로젝트의 앨범 발매와 전시(https://nogild88.wixsite.com/oreum)까지 마친 후, 멍해져버린 저는 뭔가에 홀린 듯이 제주 서귀포에 집을 구해버렸어요. 그럴만한 상황은 아니었던 것 같은데 ‘어떻게든 되겠지…’ 하는 마음이 더 컸다고 해야 할까요. 그렇게 제주에 집을 구하고 몇 달간은 계속 멍한 상태였는데, 그 시기에 가장 많이 봤던 것이 바로 ‘물’이었어요. 이상하게 제주 어디를 봐도 물만 보이더라고요. 바다를 가만히 바라보고 있는 것 자체가 좋기도 했지만, 비도 눈도 구름도 안개도 심지어 공기와 내 몸도 다 물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문득 ‘물의 순환’이 생각났어요. 우리가 어릴 때 배웠던, 지하수에서 샘물로, 샘물에서 강으로, 강에서 바다로, 바다에서 구름으로, 구름에서 비로, 비에서 땅으로 물은 돌고 돈다는 바로 그 ‘물의 순환’이요. 결국 ‘물의 순환‘에 대한 사전적 정의까지 찾아보게 되었고, 그 정의에 담겨있는 이야기들이 바로 이 앨범이 되었습니다.

‘물의 순환은 말 그대로 순환이라서 시작도 끝도 존재하지 않고, 그 모든 순환은 우리가 눈치재지 못하는 사이에 일어나며, 우리가 사는 이 지구에 존재하는 물의 총량은 언제나 일정하다.‘
앨범은 총 9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제주에서 편안하고 멍하게 물을 보며 의식의 흐름대로 작업한 앨범이어서 그런지, 9곡이 하나의 결과 호흡으로 연결되어 있어요. 그래서인지 지금까지의 제 앨범 중 가장 편안한 기분으로 들을 수 있는 앨범이 아닐까 합니다. 이 음악들 안에서 여러분들도 휴식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이 앨범은 시디로 발매되지 않아요. 항상 시디에 대한 고민이 많았는데 이번 앨범을 마무리하면서 ‘정말 시디는 그냥 재활용도 못하는 쓰레기구나.’라는 생각이 너무도 커져버려서요. 하지만 이 앨범이 디지털 데이터로만 존재하지 않고 뭔가 실체가 있는 존재로 남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투명 유리컵을 만들어 시디 대신 발매하게 되었습니다. 앨범 제목이 ‘물의 순환 / THE WATER CYCLE’인 만큼 어울리는 무언가라고 생각했어요.

아 그리고 제주에서 제 개인 사이트도 정리해보고 있어요.
아직 완성은 아니지만 들러주세요.
https://nogild88.wixsite.com/rainbow99

 

[Credit]

produced by RAINBOW99

RAINBOW99 | programing, guitars, trumpet, sound design
Kim Gahyun | vocals

all tracks composed, arranged by RAINBOW99
all tracks recorded & mixed by RAINBOW99
mastered by RAINBOW99 at MUI

artworks by 김가현(G99)

Executive / MAGIC STRAWBERRY CO., LTD
Management / MAGIC STRAWBERRY SOUND

nogild88.wixsite.com/rainbow99
nogild88.wixsite.com/oreum
rainbow99.bandcamp.com
soundcloud.com/therainbow99
facebook.com/rainbow99.net
instagram.com/rainbow99gaze

Sleepwalking

1. Sleepwalking

 


나를 마주하기 싫어 술과 밤으로 도망치던 시간들

[CREDIT]
Produced by jujuland
Composed by jujuland
Lyrics by jujuland, Young Stone
Arranged by jujuland

Mixed by godo frice
Mastered by godo frice

Album Artwork by jujuland

반셔터

1. 반셔터

 


 

기억을 입고 지금으로 돌아온 시간여행자, 천용성
― 이성민(한잔의 룰루랄라)

인간이 이미지를 받아들이는 방식은 두 가지가 있다. 눈을 통해서, 그리고 상상을 통해서. 각막과 동공을 통해 들어온 빛이 망막에 맺히는 상이 된다면 상상으로 그려진 이미지는 마음에 맺힌다.

천용성이 돌아왔다. 1집 앨범 《김일성이 죽던 해》를 통해서 그는 주로 기억을 노래해왔다. 우리는 천용성의 안내에 따라 김일성이 죽은 해인 1994년 언저리를, 그 시절에 유년을 보낸 이의 기억과 마음의 풍경 속을 여행할 수 있었다. 과거란 얼마나 아름다운가. 삶이 고통과 부끄러움, 외로움과 쓸쓸함 같은 것으로 가득 차 있더라도 기억 속의 그것들은 이미 지나간 일이며 현재진행형이 아니기에 우리는 기꺼이 아름다웠던 풍경으로 떠올릴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지금의 삶이 고단한 만큼 지나간 고통은 감당할 만했던 것, 내가 견뎌냈던 것, 심지어 아름다웠던 것으로 미화된다. 그래야만 지금의 삶을 또 견뎌낼 수 있을 테니.

천용성의 새 싱글 〈반셔터〉를 처음 듣고는 조금 당혹스러웠다. 그가 기억이 아니라 지금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천용성의 노랫말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공연을 기획했던 적이 있다. 그 공연의 제목을 ‘기억은 어떻게 노래가 되는가’로 정했을 만큼 나에게 그는 기억을 노래하는 음악가로 각인되어 있었다. 그래서 그의 새 노래에 귀 기울이기 위해 먼저 천용성이라는 음악가에 대한 고정관념을 벗어버려야 했다. 이건 고정관념이 생길 만큼 그의 1집 앨범이 굉장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기억을 노래할 때 그 안에는 이미지가 선명하게 그려지는 서사가 깃들게 된다. 시간을 두고 몇 번씩 곱씹고 떠올린, 이미 결말까지 모두 알고 있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은 어떤가? 모호하다. 불분명하다. 내 감정의 결, 생각과 관계의 흐름이 어떻게 진행될지 알 수 없는 탓이다. 그래서 지금을 이야기할 때는 희망과 바람을 곁들일 수밖에 없다. 그래야만 흐름이, 서사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반셔터〉에서 그가 “계속 흐르고 싶”다는, “그댈 빠짐없이 적어두고 싶”다는, “빛으론 담지 못하는 차고 뜨거운 공기 담고 싶”다는 바람을, 그리하여 “우린 더 나아질 거”라는 희망을 노래하는 이유도 그게 아닐까.

‘지금’과 ‘희망’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천용성이 입고 있는 음악의 외피는 요즘 유행하는 말로 ‘레트로’다. 자연스레 윤상이나 김현철이 떠오르는 1990년대 식의 복고풍 사운드에 2020년대 식 전자음악의 리듬을 매치시켜 친근하지만 새로운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오래된 세대의 향수를 자극해 지난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이 사운드는 지금 세대에겐 트랜드를 넘어선 새로운 스타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을 것이다. ‘반셔터’라는 제목부터도 ‘카메라=스마트폰’인 지금 시대엔 선뜻 와닿지 않는 지난 시대의 용어가 아닌가.

아직 2집 앨범 전체를 들어보지 못 한 상황에서 싱글 〈반셔터〉 한 곡 만으로 판단하기엔 이르지만 이제 천용성은 지난 시절이 아닌 지금의 나를 이야기하고 싶어진 것이 아닐까. 〈반셔터〉가 인디씬에서 지금 세대의 감성에 가장 와닿는 노래를 하는 음악가 중 한 명인 정우와의 콜라보레이션 작업이라는 점이 그런 심증을 더욱 굳게 만든다. 주로 컨트리-포크 풍의 노래를 들려주던 정우는 〈반셔터〉에서는 살짝 알앤비의 뉘앙스를 가미한 성숙한 보컬을 들려주는데 싱어송라이터가 아닌 보컬리스트로서의 정우의 발견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근사하다. 낮고 담담한 천용성의 어조와 황홀하게 어우러져 자꾸만 반복해서 듣고 싶어질 만큼 강한 중독성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카메라가 포커스와 노출을 맞추는 방식은 두 가지가 있다. 수동과 반자동(일부러 수동으로 조정하지 않는 이상 자동으로 모두를 맞춰주는 스마트폰 카메라는 논외로 하자). 피사체를 고정된 이미지로 박제하기 전에 좀더 나은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탐구하는 과정이다. 어쩌면 지금을 산다는 것은 끝없이 반셔터를 눌러 초점과 노출을 맞춰가는 일이 아닐까. 힘주어 끝까지 셔터를 누르는 순간 ‘지금’은 박제된 이미지가 되어 과거로 남게 될 것이니까 말이다.

-Credits-

동찬 of 45레코즈 | 프로듀싱, 편곡, 신시사이징&프로그래밍
단편선 | 프로듀싱, 편곡, EP
천용성 | 작사, 작곡, 편곡, 노래

Playing

서보경 | 색소폰
정우 | 노래, 코러스
최종민 | 일렉트릭 기타

Engineering

강승희 | 마스터링@소닉코리아스튜디오
천학주 | 레코딩, 믹싱@머쉬룸레코딩스튜디오

Visualization

김소라 a.k.a. 프린트프린트샵 | 비주얼 디렉팅, 디자인
ML | 사진, 영상

Distributing

포크라노스 | 음원 배급

멜랑꼴리

1. 멜랑꼴리

 


 

너와 나, 그 애매모호한 감정의 어딘가

작사: OVCOCO
작곡: OVCOCO, GiiANA
편곡: GiiANA

 

Prototype

1. Language
2. Finder
3. Micro
4. Name

 


Semi Robot, Alternative Human
UZA의 3번째 EP [Prototype]

일렉트로닉 팝 밴드 우자앤쉐인의 멤버이자, 또 다른 페르소나인 UZA의 음악으로 정체성을 다져가고 있는 싱어 프로듀서 UZA의 새 앨범 [Prototype]은 급진적인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현 시대에 인간의 선택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앨범이다.

모순적이고 복합적인 면을 가진 인간이 과연 그들이 가진 지식과 기술을 윤리적인 형태로만 사용할 수 있을까? 이 세상이 조금이나마 더 나아지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인간의 부정적인 특성을 초월하고 긍정적인 특성을 극대화한 새로운 존재가 되어보면 어떨까? 하는 다양한 명제들을, 따뜻하지만 첨예한 UZA만의 독특한 사운드로 전달하고 있다.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선 새로운 존재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간은 감히 완벽함을 꿈꿀 수 없기에 프로토타입이 되어보기로 한다. 이 곳에서 사랑이 사라지지 않기를, 희망을 느낄 수 있기를 바라며.

[Credit]
Produced by UZA
Performed by UZA
Guitar Shane (02.Finder)
Mixed by UZA
Mastered by Brannon Mcleod Dramaface Recording

Artwork by 벼락 Beuroock
Photo by 백준안 Joonahn Baek

Executive 코리사운즈
Executive Producer Minkibabaji

No Gravity

1. No Gravity

 


 

언제까지 이 캄캄한 우주를 홀로 떠돌아야 할까요.

[Credit]
Music & words / 장아름
Producing / 장아름

MIDI / 황수하
Guitar / 최재혁

Management / ARUM WORLD
Published by Poclanos

[ENG Credit]
Music & words / ARUM
Producing / ARUM

MIDI / Hwang Suha
Guitar / CHOI Jaehyeok

Management / ARUM WORLD
Published by Poclanos

환생

1. 환생

 


 

추억들은 변색되어 술안주가 되었고
기억해 주는 사람들은 적어져만 간다
아름다웠던 때가 있었을까
아마 있었겠지만 잘 기억이 나지를 않는다
우리는 여전히 같은 곳을 보고 있을까
그렇게 다시 태어난다

Credit
작사, 작곡, 편곡 – AJC
그림 – robineggpie

TIME

1. Before Sunset
2. There’s a Time For Everything
3. On The Way
4. Don’t Leave Me
5. Looking Through Time
6. There is Something
7. After The Past

 


 

‘TIME’은 모든 것에는 때가 있고, 뒤돌아 보면 좋은 일이든 좋지 않은 일이든 다 지나가게 되고, 나중에 뒤돌아 보면 다 추억이 된다는 표현을 한 음악이 담겨져 있다. 이번 앨범에서는 줄리(Julie Joohee Jeon)의 목소리와 바이올린 그리고 그 외의 연주를 들을 수 있는 몽환적인 Alternative/Electronic한 장르의 음악들이 포함되어 있다.

‘TIME’ expresses that there is a time for everything. Everything goes by whether it’s good or bad and it becomes a memory when you look back later. The album includes alternative and electronic sounds with Julie Joohee Jeon’s performance of voice, violin and other instruments.

[Credit]
Music Composed, Arranged and Lyrics by 줄리 (Julie Joohee Jeon)
Album Produced by 줄리 (Julie Joohee Jeon)
Synthesizer, Keyboards, Violin, Voice, Guitar, Kalimba, Programming by 줄리 (Julie Joohee Jeon)
Recorded, Mixed and Mastered by 줄리 (Julie Joohee Jeon)
Artwork by 줄리 (Julie Joohee Jeon)

© 2021 JOOHEE JEON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