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pe

 


 

Tribute song to J-Hope and Army. Thanks for recognizing my song when I started a career in music. It helped me to take a step further as a musician and continue to grow. Now, I’m ready send out hope to you all. Love and peace!

 

Credit

1. Hope
작곡: 이정재, 전현명
작사: 이정재
편곡: 전현명

 

2. Hope (Inst.)
작곡: 이정재, 전현명
편곡: 전현명

Executive Produced by Studio White Hands, Minimal Life
Produced by 전현명
Vocal: 이정재
Elec Guitar: 한영명
Bass: 박상환
Chorus: 이정재, 전현명
Synth: 전현명
Drum: 전현명
Piano: 전현명

 

All tracks mix&mastering by 송정욱(로드뮤직)

 

Artwork by ALEPH

잠수함


 

사랑이라 알고 있었지만 넌 떠났고 내 꿈에서 휘젓고 다니네
이렇게라도 볼 수 있으니 좋다

Beatles Forever

 

사공은 언제나 사공이다. 다만 떠 있는 강들이 달라질 뿐.
—————————————————————————————

 

[Credit]
1. 잠수함

Composed by [Sagong]
Lyrics by [Sagong]
Arranged by [Sagong]
Vocal by [Sagong]
Chorus by [Sagong]
Guitar by [Sagong]
Bass by [Sagong]
Synth by [Sagong]
Percussion by [Sagong]
Drum by [noonset]
응원 by [대깨사]

Mixed by [Sagong]
Recording by [이주찬 Blueroomstudio]
Mastering by [Sonority mastering]
Design by [NOAMCHOI]

DD(Drunk Dreaming)

1. DD(Drunk Dreaming)

 


 

Hi-Teen Nerd Band FRankly의 첫 번째 싱글

 

“Hi-Teen Nerd” Band FRankly의 첫 번째 이야기인 DD(Drunk Dreaming)는 취한 상태에서 꾼 꿈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말랑말랑한 꿈속을 연상케 하는 귀여운 신스 소리와 흐느적 걸어가는 드럼 리듬이 더욱 취한 꿈속이라는 것을 각인시킨다.

 

PS. 살면서 정말 여러 자리에서 취하게 된다. 편한 자리, 불편한 자리, 신기하게 어디에서 취하든 항상 감정들을 최대로 부풀려준다. 그래서 그런지 소화하기도 힘들다.

 

[Music Credit]
Produced by FRankly
Composed by FRankly
Lyrics by 정승환
Arranged by FRankly, HAEUN

Vocal by 정승환
Piano by HAEUN
Guitar by 나형철, 정승환
Bass by 구동욱
Drum by Atokim
Chorus by 정승환

Vocal Directing by 최지승 (aka O:M)

Recorded by 남동훈, 이주찬
Mixed & Mastered by 남동훈

Album Artwork by 정승환

 

[MV Credit]
Director & Producer by 김윤수
DOP by 우석인
Editor by 김윤수
Camera Crew by 김혁 김연준 정지환
Actress by 강혜진

일월 (January)

1. 일월 (January)

 


 

린욱 (LINUK) – 일월 (January)

마음 한구석의 외면하고 있는 감정에 한걸음 가까워지길.
솔직하게 다가가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길.

그저 지금처럼만.
더 이상의 행복도 불행도 바라지 않으니
그냥 이대로 머물러줘.

[CREDIT]

Compose : 린욱 LINUK, 한백 Han Beak
Lyrics : 린욱 LINUK, 한백 Han Beak

Vocal : 린욱 LINUK
Chorus : 린욱 LINUK, 이신아 Lee Sin A, 남현민 Nam Hyun Min
Electric Guitar : 린욱 LINUK
Bass Guitar : 이상헌 Lee Sung Heon
Drum : 정수인 Jung Soo In
Piano & Synth : 린욱 LINUK

Mix : 린욱 LINUK
Mastering : Dolphin

Album Cover & Design : 김하형 Gim Ha Hyung

 

폴라로이드 러브 (Polaroid Love)

1. 폴라로이드 러브

 


 

폴라로이드 카메라는 이전 세대의 혁명이었다. 사진기에 피사체를 담고, 그 피사체가 사진이라는 결과로 나오기를 기다렸던 시간은 폴라로이드의 등장으로 사라졌다. 우리는 이제 수천만 화소의 사진을 휴대전화로 찍고, 쉽게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러면 이제 폴라로이드는 무가치한 것이 되었을까, 전혀 그렇지 않다. 여전히 실물 사진을 얻는 가장 빠른 방법은 폴라로이드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이니까.

폴라로이드 카메라의 메커니즘은 이렇듯 ‘찰나의 순간’에 기반한다. 그리고 카메라의 버튼을 눌러야 하는 찰나의 순간은 ‘예고 없이’ 찾아온다. 버튼을 누른 뒤에 어떤 사진이 나올지는 누구도 알 수 없다. 다만 몇 분의 시간이 필요할 뿐이다.

최창순은 이런 폴라로이드의 속성을 ‘첫눈에 반한 사랑’으로 가져왔다. 찰나의 순간에 반하고, 예고 없이 사랑에 빠진다. 사랑을 고백하고 나면 상대방은 어떤 대답을 할지 알 수 없다. 다만 시간이 필요할 뿐이다.

물건을 감정으로, 혹은 그 반대로 치환하는 것은 전통적인 메타포다. 하지만 은유가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 내는 것은 흔한 일이 아니다. 최창순의 노래는, 우리가 이제 ‘첫눈에 반한 사랑’을 <Polaroid Love>라고 칭할 수 있는 레퍼런스가 될 것이다. 폴라로이드라는 물건과 단어가, 사랑의 모든 상황과 느낌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순창고’의 정규 1집이 다소 차분하고 우울한 노래들로 구성되었다면, ‘최창순’의 이번 노래는 그들과는 다소 거리를 두었다. 부캐의 시대, 순창고와 최창순 중 그의 본캐는 무엇이고 부캐는 무엇일까. 아니면 둘 다 본캐이거나 부캐일까. 어쩌면 이번 노래는 다양한 모습을 아이덴티티로 하는 최창순의 음악 세계에 또 한 번의 터닝포인트가 될 지도 모르겠다.

<보라색 고백>에서 보여주었던 올라운드 플레이어의 면모와 자신의 외연을, 최창순은 더욱 확장했다. 이번 곡에서는 기타연주를 전부 도맡아서 플레이하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미디로 모든 악기를 표현하는 최근의 곡들과 달리, 이번 곡에서 최창순은 관악기의 풍성함을 노래 중간의 장치로 넣고자 하면서, 관악기 퍼커션, 드럼 베이스 등을 모두 연주자들이 직접 연주하여 녹음할 것을 고집했다. 이는 최초 편곡 작업부터 함께한 김지혜 영화 음악 감독과의 치열한 고민 끝에 탄생하였고, 그 과정의 고달픔보다는 결과의 뿌듯함으로 청자에게 울림을 줄 예정이다.

최창순은 이번 곡에서도 역시 여러 아티스트들과 협업하였다. 어쿠스틱하고 그루비한 드러머 조성준의 드럼 사운드와 재즈팀 ‘겨울에서봄’ 베이시스트로 활동하는 김현규의 자유로우면서도 절제된 연주는 이 곡에 또 다른 포인트를 주며, 특히 트럼펫(장경한) 트럼본(정연세)의 느낌 있는 연주는 마치 음식을 완성하는 고명처럼 <Polaroid Love>의 마지막을 장식한다.

이제 <Polaroid Love>를 플레이하고 음미할 시간이다. 첫 눈에 반한 경험이 있는 이들에게 이 노래는 그들의 추억 속 폴라로이드 카메라가 되어줄 것이다. 그런 경험이 없는 이들도 걱정할 필요는 없다. 마치 봄눈처럼 예고도 없이, 올 4월 소중한 사람이 나타나리라는 최창순의 따뜻한 바람으로 남게 될 테니까.

Edited by 천우석

Credit

Lyrics by 최창순
Composed by 최창순
Arranged by 김지혜

김지혜 (key, synth, programming)
김현규 (Bass)
조성준 (Drum, Percussion)
최창순 (Guitar)
정연세 (Trombone)
장경한 (Trumpet)

Drum, bass recorded by Yonghee Park at Black Key Studios
Vocal Recorded by 이상철 @Tone Studio
Horn Recorded by 이승준 @Tone Studio

Mixed by 강은구 @eunstudio
Mastered by bk! At GLAB Studios

Album Artwork
Album cover by 김지은
Lyric video by 김지은

Editor 천우석

Look at the stars

1. Look at the stars

 


 

오엘바인 (OL Vine)의 첫 싱글 [Look at the stars]
멀리 뻗은 새벽 바다 위에 별들을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의 새로운 인디 곡 탄생

별은 아무 생각 없이 보면 많은 생각들을 없앨 수 있는 신비로운 힘을 가지고 있다.
아무 말 없이 누군가를 기다릴 수 있게 되고 아무 생각 없이 별을 보며 노래를 들으면,
누군가로 인해 힘을 얻는다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별을 보면 누군가 나에게 행복을 안겨줄 수 있을 거 같다
나는 그 별이 싱어송라이터 그레이시 아브람스 (Gracie Abrams)라고 생각한다
그녀의 노래를 들으면서 나도 모르게 많은 힘을 얻게 되었고 그녀의 목소리와 가사 하나하나가 나에겐 영감이 된다
하지만 그레이시 아브람스는 나에게 그저 눈앞에서 만날 수도, 가질 수도, 그저 멀리서 보면서 흐뭇한 미소만 지을 수
밖에 없어 별에 비유를 했다

다른 언어를 쓰지만 하나의 마음으로 그 언어를 배워가며 그 아티스트에게 나의 진심이 닿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편지를 쓰듯 탄생한 곡이 바로 오엘바인 (OL vine)의 ‘Look at the stars’이다.

그렇게 이 노래나 들어주세요.. 제발

[Credit]

Composed by 오엘바인 (OL vine), 최문도
Lyrics by 오엘바인 (OL vine)
Arranged by Rennis T, 최문도
Guitar by 최문도
strings by Rennis T
mixed by Rennis T
mastered by Rennis T
Artwork by 김재현
With LIT production

보라색 고백

1. 보라색 고백

 


 

순창고(SoonChangGo)의 디지털 싱글 – 보라색 고백(Purple Love)
<당신의 첫 번째 고백은 무슨 색이었나>

바이러스가 멈춘 것은 인간의 세상일뿐 자연의 세상은 아무렇지도 않게 흘러간다.
4월은 라일락의 계절, 보라색 라일락의 꽃말은 ‘젊은 날의 추억, 첫사랑의 감동, 싹트는 사랑’이다. 2020년 4월, 순창고가 선보이는 순창고 프로젝트의 첫 번째 노래 ‘보라색 고백’은 귀로 듣는 라일락이라고 하겠다. 발랄하고 키치한 느낌은 우리네 학창 시절의 풋풋한 사랑을 떠올리게 한다. 당신의 첫 번째 고백은 무슨색이었나, 그동안 잘 몰랐다면 이 노래는 그 답을 일러줄 하나의 선택이다.

<이것은 팝인가 재즈인가>
뮤지션들은 저마다의 색을 찾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순창고는 어느 정도 그 색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말로 형용하거나 단어로 정의할 수 없을 뿐이다.
‘팝이지만 팝은 아니고 재지한 것 같지만 재즈는 아닌 것’, 이것은 팝인가 재즈인가 갈비인가 통닭인가. 어쨌든 ‘왕갈비 통닭’은 맛있었고, 흥행은 성공했다. 순창고의 음악도 마찬가지다.
드럼 베이스 키보드로 시작하는 도입부는 ‘어 이 노래 뭐지?’ 귀를 기울이게 하는 장치다. 호기심이 유발되었을 때 단계적으로 악기들이 추가된다. 추가된 악기들이 가벼웠던 분위기에 사운드의 다이나믹을 더한다. 순창고식 편곡이다. 곡의 진행을 관통하는 펑키 한 리듬기타와 훅을 위시로 하는 멜로디의 중독성이 이 노래를 귓가에 맴돌게 할 것이다. 후반부 ‘슬라이드 기타 솔로’와 역동적인 신스 플레이는 곡의 분위기를 더욱더 입체적으로 만들고 고조시킨다. 이제 청자는 순창고의 노래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가 급기야는 반복을 누르기에 이른다.

<올 라운드 플레이어의 무서운 성장>
사실 보라색은 지금까지 순창고의 음악적 색깔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고 느껴진다. 그동안 순창고의 노래였던 2018년 11월 첫 싱글 ‘서로는 서로를’, 2019. 3월의 EP ‘지금 그때‘의 색깔이 최소한 보라색이 아닌 것만은 확실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6년부터 시작된 3년가량의 필라델피아 유학은 순창고에게 새로운 색깔을 입혔음이 자명하다.
새로운 색을 추가한 만큼 작사와 작곡, 편곡에 악기 연주까지 수행하는 올라운드 플레이어로서 순창고의 가치는 더욱 높아졌다. 우리가 어떤 유망한 싱어송라이터의 무서운 성장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면, 이번에 들어야 할 노래는 바로 ’보라색 고백‘이다.

-Credits-

순창고(SoonChangGo) digital single album <보라색 고백>

Produced by 순창고
Written by – 순창고
Composed by – 순창고

Vocal – 순창고
Key/Synth – 순창고
Guitar – 순창고, 류인혁
Bass – Bruce Kang
Drum- 이우민
Mixed by 강은구
Mastering by 황병준 @사운드미러코리아

Artwork by 송건호
Album Cover by 송건호
M/V directed by 송건호
M/V edited by 송건호

Publishing by POCLANOS

POP

1. 정확하게 꼭 집어서
2. 좋은 하루
3. 배드민턴
4. 우물에 빠진 날
5. 바보같아
6. 너의 방
7. 쌤통
8. 호텔
9. 화장터길
10. 달려나가자


서툰 어른들을 위한 한편의 성장영화, ‘코가손’ 1집 [Pop] 어쩌면 이것도 꽤나 괜찮은 팝

이 앨범의 타이틀은 발칙하게도 [Pop]이다.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명료한 타이틀은 ‘코가손’이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어디에 지향점을 두고 있는지를 분명하게 말해준다. 많은 밴드들이 탁월한 연주와 출중한 보컬을 내세운 ‘록’음악을 한다면, ‘코가손’은 단순한 코드웍(Chords Work)을 중심으로 멜로디를 앞세운 ‘팝’을 연주한다. 귀를 사로잡는 좋은 멜로디와 직관적인 구성, 어쩐지 내 얘기 같은 노랫말을 갖춘 말 그대로 ‘파퓰러 송(Popular Song)’이다. 이들은 전작 EP [오늘부터]에 이어 3인조 밴드의 포맷과 방법론을 가지고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팝의 형태를 첫 정규앨범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앨범에 수록된 10개의 노래들은 밴드와 같은 동시대 젊은이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오래된 추억들이 새로운 것에 밀려 사라지는 풍경들을 매일같이 마주하는 도시에서 그들은 이런저런 경험을 하지만 여전히 뭐가 뭔지 모르는 채 감당해야 할 것들만 넘쳐난다. 하루쯤은 작은 방을 벗어나 근사한 사치를 부려보는 것을 꿈꾸는 이들은 그럼에도 여전히 삶을 버티게 해주는 미약하지만 소중한 존재들을 놓지 않고자 한다.

이전부터 센스 있는 멜로디 감각을 보여줬던 프론트맨 김원준 특유의 미성숙한 창법은 오히려 그의 멜로디를 더욱 돋보이게 해줄 뿐만 아니라 “좋은 하루”나 “호텔” 등과 같은 그런지록부터 “배드민턴”, “너의 방” 같은 ‘코가손’표 발라드까지 각각의 노래들을 하나의 큰 틀로 묶어주는 중요한 요소다. 간결하고 군더더기 없는 연주와 2~3분 내외로 끝나는 러닝타임은 청자들로 하여금 지루할 틈 없이 노래에 집중하도록 만든다.

한편 EP에 이어 다시 한번 로고 캐릭터 가손이를 전면에 내세운 아트워크는 역시 디자인스튜디오 오디너리 피플의 작품이다. 이들은 앨범 디자인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한 “호텔”의 뮤직비디오 디렉팅까지 맡으며 또 한번의 완벽한 콜라보레이션을 이뤄냈다.

[Credits]

All songs written, arranged and performed by Cogason
Lyrics by Wonjun Kim
Additional backing vocals by Arm U(Track 1, 6, 10)
Produced by Cogason and Yeol Park
Recorded, mixed and mastered by Yeol Park at Studio Dunba
Design by Ordinary people
A&R/PR Nansoo L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