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밤


 

그저 너랑,

나랑 둘이

 

Credits
Produced by 정새벽

 

Lyrics by 정새벽

Composed by 정새벽

Arranged by 정새벽

 

Vocal 정새벽, 서림

Guitar 강건후

 

Recorded by 녹음실 타디스

Mixed&Mastered by 류호건 @tardis_recordingstudio

 

Artwork by 김태순 @paint.soon

 

A&R 이청, 김정, 전재우, 배준호, 문세현, 최원빈

Chief Director 이소영

Promotion & Marketing 유어썸머 Your Summer

 

《Beat Tape #1: Riding Mode》


 

《Beat Tape #1: Riding Mode》

“ 질주 – 국도 – 터널 “

세 파트로 이어지는 저만의 바이크 여행기를 기록했습니다.

 

 

Credits –

Produced & Composed by SOWALL

Mixed & Mastered by Tama Rhodes (at Tower Studio)

Photography Hyun Park

 

May I Wish


 

낙천주의자로서 아주 비옥한 행성을 하나 만들어 보았습니다.

가끔 주변이 척박하고 매정하게 느껴질 때 한번씩 들러보세요

24시 늘 상주하고 있을게요

 

[Credits]

 

Composed by ZINO, 이찬진
Arranged by ZINO, 이찬진, 권태원

Lyrics by ZINO

 

Drums by 이찬진

Bass by 이찬진

E.guitar by 권태원

Keyboards by 이찬진

Synthesizer by 이찬진

Chorus by ZINO

 

Recorded by 권순범 at Tone Studio

Mixed by 이찬진 at 33858

Mastered by bk! At AB room

Artwork by 빈이

 

’25 Live <쾅!!>


 

내가 라이브 앨범을 좋아하는 이유는 복합적으로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중요시하는 것들을 꼽자면, 라이브에서만 느낄 수 있는 관객들과의 뜨거운 상호작용과, 음원과는 달리 돌이킬 수 없는 원테이크 연주에서 멤버들끼리 스파크가 튀면서 비롯되는 긴장감 이후 성공했을 때 휘몰아치는 카타르시스, 그리고 지저분하고 날것인 음질이 좋아서이다. 공연을 자주 보러 가지는 않지만 과거 2021년에 소음발광의 무대를 1열에서 보게 되었는데, 처음 본 국내 아티스트 라이브 공연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내 마음에 있던 도화선에 불을 붙이기에 충분했다. 몇 번의 기타 스트럼 후 보컬 강동수 씨의 시그니쳐 사운드인 “다 죽여버려”가 들리자 모든 악기가 봉인을 해제했고, 미처 귀마개를 챙기지 못했기에 그들의 절규를 맨몸으로 받아들여야 했다. 귀가 데시벨을 수용하지 못해 모든 것이 웅웅거렸지만 온몸으로 소음을 수용하였고 그 골이 떨리는 묘한 느낌에서 해방감을 느꼈다. 아, 이것이 소리로 샤워를 한다는 느낌이구나. 저들은 저토록 파괴적인 울분을 무대 위에서 자유롭게 해소하는구나. 이리저리 뒹굴어도 아무런 눈치를 보지 않는구나.

 

몇 주를 이명에 시달리게 되었지만, 해외 밴드들의 라이브 앨범에서만 느꼈던 지저분한 사운드를 직접 느끼게 되어서 아직까지도 인상 깊은 기억으로 남고 있다.

 

그런 기억을 가진 소음발광이 2019년 데뷔 이래 처음으로 라이브 앨범을 낸다는 소식을 듣고, 솔직히 처음엔 걱정이 앞섰다. 잘 만들면 기존 음반보다 뛰어난 순간들을 보장하지만, 라이브에서만 들을 수 있는 그 특별함이 담겨있지 않으면 나의 취향에서 벗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파일을 처음 받고 바로 눈에 띈 타이틀 ― 전설적인 노이즈 락 밴드 Les Rallizes Dénudés의 라이브 앨범 「’77 Live」를 의식한 듯한 ― 「25′ Live 쾅!!」을 보고서 그런 생각은 싹 사라졌고, 첫 곡 ‘한낮’을 틀자… 이유 없이 답답했던, 여러 음악에 가지고 있었던 유치하고도 소심한 불만이 싹 사라지는 느낌을 받았다. 매우 시끄럽다. 막 지옥에서 돌아온 듯한 베이스와 양옆 고막을 시도 때도 없이 긁는 기타, 사회에 불만이 쌓인 듯 공격적인 드럼 그리고 선명하고도 더욱 처절한 보컬까지, 귀를 혹사하며 온몸으로 경험한 그날의 무대를 집구석에서 다시 한번 듣는 기분이다.

 

대중성은 저 멀리 우주까지 던져버린 소리의 모음집. 카페에서 틀면 스피커가 고장 났다는 클레임이 들어올 듯한 믹싱. 그러나 이 모든 것이 특별하다. 그동안 한국 음악계에서 이토록 시끄러움을 담은 라이브 앨범은 쉽게 볼 수 없었기에, 그리고 단순히 시끄러워서가 아니라 이들이 아직 새로운 것을 시도할 의지가 보였기 때문이다. 분명 이런 시끄러운 음악은 누구나 앨범으로 낼 수 있다. 정말 적당하게 만들자면 아무 노래의 볼륨을 +12db 올린 뒤 그걸 노이즈 락 혹은 노이즈 팝의 장르적 특성이라 포장하면 될 일이다. 그러나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누구나 하지 않는 것은 반대로 말하면, 실패하면 그만한 리스크가 있고 앞선 사람들이 그다지 시도하지 않아 실패율이 너무나 높기 때문이다. 소음발광은 그 위험을 뚫고 해냈고, 그저 해낸 게 아니라 성공적으로 해냈다.

 

모든 것은 시끄럽지만 그 안에서 조화가 이루어진다. 지속적으로 부글거리는 베이스 아래 보컬이 발광하면 드럼이 모든 걸 파괴하고 기타가 마무리 짓는 것이 10번 반복되나, 어느 하나 거슬리게 튀지 않고 각자의 자리에서 난장판을 만든다. 트랙 리스트마저, 가볍고도 그나마 밝은 분위기였던 EP 「풋」과 싱글 「Shine」에서 벗어나, 전체적인 방향을 바꾸고 펑크에 좀 더 다가간 「도화선」과 한층 더 진화한 「기쁨, 꽃」 그리고 더욱 시끄러워지고 저항심이 거세진 「불과 빛」 세 앨범, 각 정규 앨범의 곡들이 골고루 수록된 이 앨범은 그들이 달려왔던 음악적 변화의 자취를 한번에 담아내는 결정체라고도 볼 수 있다. Daughters가 떠오르는 강렬한 오프닝 ‘한낮’ 뒤엔 “다 죽여버려”로 시작되는 ‘낙하’가 나오는데, 장담하건대 이토록 진심으로 들린 적은 없었다. ‘오렌지문’ 후반부에 추가된 아이가 부르는 듯한 천진난만한 멜로디에 그리 유쾌하지는 않은 가사는 그 괴리감에 소름이 돋는다.

 

무언가에 도망가는 혹은 후회의 감정에 휩쓸린 가사의 ‘노랑’은 전반부의 하이라이트로, 도를 넘는 시끄러움은 포스트-펑크 특유의 시니컬한 파괴력과 보컬의 호소력을 극대화한다. 음원보다 더욱 빠른 템포인 ‘폭죽’에는 훨씬 긴 빌드업이 추가되었는데, 덕분에 긴장감이 배가 되어 후반부의 보상 또한 크게 다가온다. ‘검은물’은 음원에서는 그나마 절제되어 부르던 것과 달리 처음부터 끝까지 절규에 가까운 고백을 내뱉는다. 무력함을 나타내는 듯한 여러 코러스가 합쳐져 Swans의 느낌이 났던 후반부는 한 청년의 단말마로 변한 지 오래이며, 목소리는 적지만 그 강렬함은 다르게 다가온다. 환상적인 기타의 ‘쇠망치’와 각각 에너지와 하드코어의 끝을 보여준 ‘태양’과 ‘끝’을 지나면 앨범의 마지막이자 가장 불안한 트랙인 ‘새벽’이 온다. 분노와 후회와 희망을 선언하며, 20초가량의 기타 피드백과 베이스의 잔향을 아웃트로로 이 앨범은 마무리된다.

 

나는 음악가가 청취자들에게 본인의 의도를 얼마나 많이 설득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보지만, 음악가의 의도와 청취자의 파악이 달라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이 음반을 듣고 감동을, 공연 관람에 대한 용기를, 라이브에 대한 원동력을, 혹은 심술에서 비롯된 창작력을 얻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들이 어떻게 수용하던 그 방식에 찬반이 있든 간에, 창작자들의 시도가 우선시되어야 모든 담론이 시작된다. 아무도 시도하지 않으면 아무도 용기를 내지 않는다. 그것이 내가 이 라이브 앨범의 실험을 좋아하는 이유이다. 슬픔과 분노와 현실과 부정을 담은 오만가지 날 것의 발광하는 감정들을 소음으로 분출한 「25’ Live 쾅!!」을 통해 조금이라도 영향을 받는 사람들이 늘어났으면 한다.

 

— 파란노을 (아마추어 음악가)

 

Credits
소음발광

 

강동수 _ 보컬, 일렉트릭 기타

김성빈 _ 일렉트릭 베이스

박성규 _ 일렉트릭 기타

마재현 _ 드럼

 

음악 프로듀서 _ 강동수

작사·작곡 _ 강동수

편곡 _ 강동수, 김성빈, 박성규, 마재현

— 3번 트랙 ‘오렌지문’에 쾅프로그램의 ‘잘살아침’이 일부 인용됨

 

레코딩 _ 안현우, 이효준 @민락인디트레이닝센터

믹싱 _ 이효준

마스터링 _ 정기훈 @지구상스튜디오

 

디자인 _ 이하린

 

‘오렌지물’ 뮤직비디오 _ 유승원

 

라이너노트 _ 파란노을

 

제작 _ 소음발광, 오소리웍스

 

음원 배급 _ 포크라노스

 

O’CLOCK


 

전현재(JEON NOW) – O’CLOCK

 

‘O’CLOCK’는 초여름 햇살처럼 기분 좋은 에너지를 담은 R&B, 인디 팝 트랙이에요.

하루 종일 머릿속을 맴도는 사랑의 감정을 담백하게 풀어냈고,

경쾌한 기타와 편안한 보컬이 어우러져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곡이에요.

드라이브할 때, 데이트할 때, 카페에서 혼자 여유 부릴 때도

이 노래 하나면 그 순간이 조금 더 따뜻하고 산뜻하게 느껴질 거예요.

즐겨주세요!

 

[CREDITS]

Lyrics by 전현재 (JEON NOW)

Composed by 전현재 (JEON NOW), 김기범 (Xan CLA)

Arranged by 김기범 (Xan CLA)

 

Vocal by 전현재 (JEON NOW)

Chorus by 전현재 (JEON NOW)

Piano by 김기범 (Xan CLA)

Guitar by 김기범 (Xan CLA)

Bass by 김기범 (Xan CLA)

 

Mixed by 김기범 (Xan CLA)

Mastered by 김기범 (Xan CLA)

 

Artwork by Mazadragon

M/V by Mazadragon

 

공원 산책


 

놓지 못해 스스로를 괴롭게 하는 마음들이 있다. 고여 있던 생각은 흘려보내고, 빈 자리를 새롭게 채운다. 우리는 공원을 거닐며 이야기를 나누고 흐릿한 마음들은 더 또렷해졌다. 그 시간, 찰나의 틈을 파고든 아름다운 노을처럼 우리의 순간들이 아름답게 기억되길 바라며.

 

Credits
Produced by 복다진

Composed by 복다진

Written by 복다진

Arranged by 복다진, 전유동, 송현우, 박재준

 

Mixed, Mastered by 김영식

Recorded by 전유동 @누구의집

Directed by 전유동, 복다진

 

Vocal 복다진

Piano 복다진

Drum 박재준

Bass 송현우

Chorus 복다진, 전유동

 

Thanks to. 마이크 빌려준 이승윤

 

PUBLISHED BY POCLANOS

 

 

소수민족


 

경계 밖 사운드의 귀환, 추다혜차지스 정규 2집

『소수민족』발매

 

사이키델릭 샤머닉 훵크 밴드 추다혜차지스가 오는 6월 13일, 두 번째 정규 앨범 『소수민족』을 발매한다. 2021년 데뷔작 이후 5년 만에 발표하는 이번 앨범은, 대중음악의 문법 속에 한국 전통 무가(巫歌)를 끌어들인 이들의 독자적인 시도가 더욱 깊어진 결과물이다.

총 아홉 곡이 수록된 이번 앨범 『소수민족』에는 추다혜차지스가 자신들의 음악에서 느끼는 정체성이 오롯이 담겨 있다. 밴드 음악이라는 외형은 익숙하고 대중적이지만, 그 안에 자리한 무속 음악의 요소는 명백히 ‘소수’의 것이다. 이질적인 전통과 현대의 결합, 그리고 대다수의 경로와는 다른 길을 택해온 그들의 음악적 선택으로써 유니크하고 강인한 소수민족의 생명력을 고스란히 담아내고자 했다. 언젠가는 사라질지 모를 노래지만, 바로 그래서 더욱 기억되어야 할 소리들. 추다혜차지스의 정규 2집 『소수민족』은 그 소리를 기록하고 남기기 위한 하나의 의식이자 선언이며 음악씬을 뜨겁게 끓어올릴 또 하나의 문제작이다.

이번 앨범에서는 댄스홀, 힙합, 스피리츄얼 등의 장르가 전작보다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다. 확장된 사운드 스펙트럼 속에서 즉흥적인 연주와 날것의 질감을 과감히 수용하며, 생생하고 본능적인 사운드를 완성했다. 이로써 추다혜차지스는 사이키델릭 훵크 기반의 사운드 위에 새로운 리듬과 에너지를 더하며, 자신들만의 음악 세계를 더욱 명확히 구축한다.

때로는 기괴하고 낯선 소리로 청자를 밀어내는 듯하지만, 그 안에는 추다혜차지스만의 수호정령 같은 존재감이 숨겨져 있다. 혼란의 소리 속에서도 이들의 음악은 결국 우리를 위로하고 지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수록곡

 

01 작두 (Jakdu: Standing on Blades)

02 사이에서 (Between)

03 좋다 잘한다 좋다 (Dance of 5 Guardians)

04 담불 (Dambul)

05 어영차 (Eo-yeong-cha)

06 부귀덩덩 (Bugi)

07 허쎄 (Heosse!)

08 너도먹고 물러가라 (Feed Well Farewell)

09 니나니 (Ninani)

 

Credits
Executive Producer/ CHU DA HYE

Producer/ CHUDAHYE CHAGIS

Composition/ CHU DA HYE (1, 2, 3, 4, 5, 6, 7, 8, 9), Simun (1, 2, 3, 4, 5, 6, 7, 8, 9)

Jaeho Kim (1, 2, 3, 4, 6, 7, 8, 9) Davin Kim (1, 2, 3, 4, 6, 7, 8, 9)

Arrangement/ CHUDAHYE CHAGIS

Horn section Arrangement/ Simun (6, 8) Jaeho Kim (5)

 

Vocal/ CHU DA HYE

Guitar/ Simun

Bass/ Jaeho Kim

Drums/ Davin Kim

Trumpet/ Brian Shin (5, 6, 8)

Alto Sax/ Sungwan Kim (5, 6, 8)

Tenor Sax/ Hoseung Han (5, 6, 8)

Chorus Vocals/ CHU DA HYE (1, 2, 3, 7) Simun, Jaeho Kim, Davin Kim (3, 4, 5, 6, 7, 8)

 

Recording & Mixing Engineer/ Uchida Naoyuki

Recording Studio/ Sangsangmadang Chuncheon (Lee Donghee)

Mastering Engineer/ Aepmah (AFMLaboratory)

Cover Art & Album Design/ Phillip Windly Geem

Production Company/ SOSUMINJOK COMPANY

 

Drink Me


 

노래 영감의 시작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Drink Me 보틀. 그 물을 마시면 앨리스의 몸이 작아져서 앨리스가 볼 수 없던 세상을 보게 되듯 내가 사랑하는 사람도 내가 볼 수 있는 세상을 보게 될 것이라는 의미. 그리고 나 귀엽기만 하지 않아요.

 

The inspiration for the song began with the “Drink Me” bottle from Alice in Wonderland. When Alice drinks from the bottle, her body shrinks, allowing her to see a world she couldn’t before. In the same way, I believe that if I ever have a healthy, loving relationship with someone I truly care about, they too will be able to see the world as I see it.

 

Credits
Music by Josi Young
Words by Josi Young
Produced by Josi Young
1st Guitar by Josi Young2nd Guitar by Sunglim Woo

Synths by Josi Young, Sunglim Woo
Bass, Drums by Josi Young

Midi programming by Josi Young
Vocal Edited by Pida
Mixed by David Younghyun Kim

Mastered by Sean Yun, His music, London
Artwork by Jihun Lee

 

No Fence (Feat. The Semmy)


 

NO ! FENCE !

 

[CREDIT] 
No Fence (Feat. The Semmy)Produced by Snozern

Composed by Snozern, The Semmy
Arranged by Snozern
Lyrics by The Semmy
Bass by Snozern
Drums by Snozern
Guitar by GODA(전승현)

Saxophone by Jason Lee
Keyboard by SOQI

Chorus by The Semmy

Photograph by Monica Dorame

Mixed by SOQI
Mastered by SOQI

Publishing by POCLANOS

© 2025 Snozern. All RIGHTS RESERVED.

 

My New Captain


 

Aye aye, captain!

(네, 선장님!)

 

Credits
Lyrics by Haru Kid, homehome

Composed by Haru Kid, homehome, Mixtape Seoul

Arranged by Mixtape Seoul

Mixed and Mastered by Alive Funk

Cover Artwork by betterthan

 

LongLiveOcean


 

오션 오입니다. 반갑습니다. #longliveocean

 

Credits
Produced by Ocean Oh

Written by Ocean Oh, Ghvstclub (Track 2), Bumby (Track 3)

Recorded by Ocean Oh

Mixed and mastered by Sioo

Tracks 7 & 8 mixed by LoneSta

 

Photography by SXSX

Cover and CD design by Grazhdan Dima

 

Paranoia // Nostalgia


 

매미의 새 EP 앨범 《Paranoia // Nostalgia》는 그가 일렉기타를 연주하게 된 계기와 음악 여정을 되짚는 작품입니다. 앨범 제목은 감정의 양극단을 상징하며, 한쪽에는 날 선 불안과 반항의 정서(Paranoia), 다른 한쪽에는 유년 시절 음악에 대한 그리움(Nostalgia)이 공존합니다.

이번 앨범은 과거의 음악적 영향력을 바탕으로 완성된 록 사운드의 기록이며, 그 안에서 충돌하고 교차하는 감정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1. Get da Faka

매미가 일렉기타의 세계로 이끌리게 된 Nu-metal 장르의 본능적 매력을 가장 직설적으로 담아낸 곡입니다. 헤비한 기타 리프 위에,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록 음악을 향한 일관된 애정을 거침없이 쏟아낸 가사가 특징입니다.

 

2. Miracle

2000년대 후반의 개러지 록에 깊이 빠져 있었던 시기의 영향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댄서블한 트랙입니다. 세상을 향한 조롱과 동시에, 그 안에서 기적을 간절히 바라는 역설적인 태도가 가사 전반을 이끌어 갑니다.

 

3. LOVE SONG

매미식 Emo 해석이 담긴 곡으로, 얼터너티브 록스타들이 부르던 사랑 노래를 부정하면서도 결국 자신도 사랑 노래를 부르고 있다는 점에서 자조적이고 역설적인 메시지를 전합니다.

 

4. imissyourbody

2000년대 초반 팝 펑크와 팝 록에 영향을 받아 기타에 처음 매료됐던 시기의 음악에서 영감을 받은 곡입니다. 연인의 체취를 그리워하는 감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풀어냅니다.

 

Credits
Track01 – Get da Faka

Song Written, Lyric Written by 매미(MEMI)

Arranged by 매미(MEMI), 김혁재(Hyeokjae Kim)

Vocal by 매미(MEMI)

Chorus by 매미(MEMI), 이승진(Rockjiny), 김혁재(Hyeokjae Kim), 민은홍(Eunhong Min)

Guitar by 매미(MEMI), 이승진(Rockjiny)

Bass by 김혁재(Hyeokjae Kim)

Drums & Midi Programming by 매미(MEMI), 이승진(Rockjiny), 민은홍(Eunhong Min)

Mixed by 이승진(Rockjiny)

Mastering by 박준 & 도정회 at SoundMAX

 

 

Track02 – Miracle

Song Written, Lyric Written by 매미(MEMI)

Arranged by 매미(MEMI), 김혁재(Hyeokjae Kim), 민은홍(Eunhong Min)

Vocal by 매미(MEMI)

Chorus by 매미(MEMI), 이승진(Rockjiny), 김혁재(Hyeokjae Kim), 민은홍(Eunhong Min)

Guitar by 매미(MEMI), 이승진(Rockjiny)

Bass by 김혁재(Hyeokjae Kim)

Drums & Midi Programming by 매미(MEMI), 이승진(Rockjiny), 민은홍(Eunhong Min)

Mixed by 이승진(Rockjiny)

Mastering by 박준 & 도정회 at SoundMAX

 

 

Track03 – LOVE SONG

Song Written, Lyric Written by 매미(MEMI)

Arranged by 매미(MEMI), 민은홍(Eunhong Min), 김혁재(Hyeokjae Kim)

Vocal & Chorus by 매미(MEMI)

Guitar by 매미(MEMI)

Bass by 김혁재(Hyeokjae Kim)

Drums & Midi Programming by 매미(MEMI), 민은홍(Eunhong Min)

Mixed by 이승진(Rockjiny)

Mastering by 박준 & 도정회 at SoundMAX

 

 

Track04 – imissyourbody

Song Written, Lyric Written by 매미(MEMI)

Arranged by 매미(MEMI)

Vocal & Chorus by 매미(MEMI), Gemma

Guitar by 매미(MEMI)

Bass by 매미(MEMI)

Drums & Midi Programming by 매미(MEMI)

Mixed by 이승진(Rockjiny)

Mastering by 박준 & 도정회 at SoundMAX

 

Photo by Jinny Park

Artwork by Pedro Luis Martinez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