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BrokenTeeth [당신의 사랑이 늘 행복하기를]

발행일자 | 2022-04-02

 

‘당신의 사랑이 늘 행복하기를’이 지향하는 “달콤쌉싸름함”은 그 스스로의 정서를 하나의 고정 값으로 삼기보다는 그를 들어볼 수 있는 한 가지 제안을 하면서도, 단순히 그것만이 월등해지지 않도록 분명한 슈게이즈 노이즈와 서정적인 멜로디에 담긴 불분명한 정서라는 패러독스를 완충장치로 활용한다.

 


 

BrokenTeeth
당신의 사랑이 늘 행복하기를
2022.04.02

 

붐은 이미 왔다. 익숙한 얼굴들의 반가운 복귀로, 잔뼈 굵은 이들이 합심해 결성한 밴드들로, 오래간 기다려온 첫 번째 발매작들로, 무엇보다 벅차게도 많이 등장하는 새로운 이름으로, 따로 또 같이 모이는 기획 공연과 컴필레이션 음반과 스튜디오 라이브 영상들로. 로우 파이의 잡음으로 둘러지고 전기 기타의 소음으로 채워진 후 오랜 시간동안 세밀하게도 양식들이 갈라져온 록은 (굳이 멀리까지 거슬러 올라가자면) [Our Nation] 때부터 국내 인디 록의 한 부분을 차지해왔으며 어느 시기에나 어떻게든 고유한 방식으로 존재했다. 장르 특유의 자가발전 무한동력원이 그 지속을 이루던 과정은 더 나아가 그 나름대로의 “씬”을 지시해볼 수 있을 느슨한 규모를 유지하다가 급기야 2020년대에 들어서니 무슨 캄브리아기 대폭발 같은 양적인 번성기를 맞는 것으로 이어졌고, 작년을 통과하면서는 온라인상에서 큰 규모로까지 주목(혹은 주목받지 못했다는 것에 대한 주목하는 편에서의 더욱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세상에 대체 그것이 “붐”이 아니라면 또 언제가 “붐”이 될 수 있는지는 도통 모르겠다. 하지만 그렇게 “스스로를 축복하는” 크고 작은 움직임들은 언제든 “스스로만을 자화자찬하는” 되먹임이 되어버린 채, 피드백-루프 같은 폐쇄회로에 갇혀버릴 가능성을 가진다. 그렇다면, 이렇게 찾아온 붐을 어떻게 이어나갈 수 있을까?

 

 

그나마 다행인 것은 그 지속의 방법들을 다양한 작품들에서 찾아낼 수 있다는 점이다. ([편지]의 음반 소개문에서 살짝 언급했듯) 나는 슈게이즈와 인접한 양식들에서 넓은 의미의 팝적인 안정감을 가져다주는 멜로디/리프와, 그러한 “팝”으로 분류되거나 사용되지 못한 채 침투하는 소음/잡음 간의 (부)조화로운 광경을 듣는 걸 좋아한다. 브로큰티스가 나아가는 갈래를 설정하자면 로우파이의 잡음보다는 전기기타를 비롯한 여러 증폭장치들의 소음에 집중하는 만큼, 기본적으로 소리들의 부피가 큰 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솔직히 밝히자면, 나는 아무래도 두꺼운 소음들에 매우 손쉽게 말려드는 편이긴 하다. [편지]의 연속선상에서 들어볼 수 있는 ‘당신의 사랑이 늘 행복하기를’은, ‘불꽃놀이’와 ‘Whitebird’처럼 빽빽하게 공간을 채운 노이즈와 그 속에서 희미하게라도 울려 퍼지는 목소리를 섞은 트랙이다. 이때 소음과 잡음은 로우파이와 가상악기의 ‘찢어지는’ 음질들을 전면적으로 내세웠던 작년의 [Cull Ficle]이나 [To See the Next Part of the Dream]처럼, 청자가 소리들 간의 분열적인 성질을 분명히 느끼도록 “사용”되었다기보다, 언제나 존재하고 있는 배경처럼 집채만 하게 “심어져” 있다. 이는 파란노을의 작업들처럼 대안적이었다던 8-90년대의 정전들부터 동시기 밴드캠프의 온라인 성공신화들까지 그러모은 영미권 로우파이 인디 록과 함께, 웹상에서 크고 작은 컬트를 형성해온 여러 일본과 국내 밴드들로 뻗어나가는 수많은 레퍼런스들을 직간접적으로 한가득 종합했다기보다는, 지난 25년 정도 동안 장르상에서 나름의 정전이 되어버린 국내의 여러 음반들과 연결 지을 수 있는, 고전적이게 느껴지는 방식이기도 하다.

 

재미있게 느껴지는 것은 그 과정에서 정서가 어떻게 드러나는지 같다. 소음 속에 묻혀 들어가는 멜로디와 어느새 그 멜로디가 들러붙어버린 소음처럼, 브로큰티스는 슈게이즈의 사운드를 구성하는 양쪽 요소들이 고루 섞이게 그 농도를 조절하며, 어느 정도의 분명함을 추구한다. 이때 멜로디를 매개하는 목소리가 명확히 전달하는 음계들의 진행과 그를 둘러싸는 리프를 후경과 전경을 오가며 매개하는 전기기타 노이즈 양쪽은 하나의 정서적 목표를 향해 협업한다. (파란노을이 워낙에 분명한 정서를 노랫말과 가창법을 비롯해 로우파이의 분명치 못한 소리들까지 동원해 전달하는 것이나, 아니면 그 로우파이의 분명치 못함을 훨씬 더 파열적으로 활용하며 틈새들을 만든 아시안 글로우라거나, 또 다시 신경원의 수많은 프로젝트 중 노이즈의 팝적 용도를 가장 선명하게 써먹은 FOG와 함께 이를 듣자면 더욱 재밌을 것이다.) ‘당신의 사랑이 늘 행복하기를’의 어느 구간에서는 목소리를 드러내기 위해 소음들을 잠깐 잠깐씩 끊어 리듬감을 만들고, 이후에는 목소리가 멋지게 찰랑이는 기타 솔로 구간을 위해 잠시 들어가 있기도 하며, 트랙은 익숙하게 따를 수 있을 감정선으로 소음의 흐름들을 옮겨낸다. 다만 그러한 음색과 선율에 담기는 정서들은, 분류 가능하게 확연히 표현되기보다는 정확히 특정되지 않은 채 조금은 간접적으로 에둘러 전달되는 편 같다. 다시 한 번, 이것이 “고전적”이라고 느껴지는 것은 트랙이 2010년대부터 지금까지 이어지는 온라인상의 여러 로우파이한 인디 록들이 그렇듯 어떠한 이모(emo)스러움에 입각한 감정적 토로의 우선순위가 높다기보다, 결국 사운드를 다듬어가는 과정 자체가 고유한 정서를 형상화한다고 느껴져서인 듯싶다. 무엇보다도 브로큰티스의 슈게이즈는 다른 것들보다도 우선, 간만에 주저 없이 시끄러워지는 걸 최우선으로 두는 유형이기도 하니 말이다.

 

이는 곧 음반 소개문에서 이야기하듯 “달콤한 헤이즐넛 시럽 같으면서 끝에 남는 쌉싸름한 맛”의 맥주 혹은 “흔해빠진 말들처럼 가벼운, 그리고 또 무엇보다 무거운 말들” 같이, 상충하는 요소들이 하나의 단위 속에서 공존하며 발생하는 그 “모순과 갈등”과 꽤나 닮아있다. 복잡다단한 청취 과정 속에서 정서는 결국 사운드나 노랫말보다도 훨씬 더 주관적이게 매개되며, 한 번 트랙을 떠난 이상 창작자는 오직 자신의 것만을 보낼 수 있을 뿐, 이를 받아듣는 청자의 몫이 급격하게 불어난다. 어떠한 음악들이 그 전달에 있어 오차 없는 정확도를 기하거나 최대한의 수용 가능성을 추구한다면, 소음과 잡음을 팝적 멜로디와 함께 사용하는 이 양식들은 소리의 분명함과 불분명함 간 경계를 따라 서정의 지평을 양방향으로 밀어붙인다. 과도하게 증폭되거나 열화된 소리들에서 낯설지 않은 화성의 진행을 알아차릴 때의 반가움이나 반대로 익숙하다 느껴졌던 선율들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불안정함을 가져다주는 잡음들의 뜨악함으로. 그 양쪽 편의 정서들은 물론 단 하나로 흘러가지 않은 채 합쳐지면서 다채롭게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한 과정들에서 한편으로는 스스로들에 대한 자조적인 “응원”과 “축복”을 우선적으로 뽑아낼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내가 슈게이즈에서 가장 강하게 느껴온 정서는 소음과 팝 간의 종합적 세계 너머까지 뻗어나갈 수 있는 충만한 기쁨이었다.

 

‘당신의 사랑이 늘 행복하기를’이 지향하는 “달콤쌉싸름함”은 그 스스로의 정서를 하나의 고정 값으로 삼기보다는 그를 들어볼 수 있는 한 가지 제안을 하면서도, 단순히 그것만이 월등해지지 않도록 분명한 슈게이즈 노이즈와 서정적인 멜로디에 담긴 불분명한 정서라는 패러독스를 완충장치로 활용한다. 그것은 편지라는 브로큰티스의 또 다른 분명한 형식을 따라, 과거형의 회상과 미래형의 바람을 담고 두 방향의 시간을 타면서 청자에게 전해진다. 글쓰기 양식으로서 편지는 오로지 자기 자신만이 아니라 이를 받아 읽을 대상들을 언제나 염두에 둘 수밖에 없으며, 특히나 발송인에게는 수신인에게 무언가 반응이 돌아올 때까지 관조할 수밖에 없다는 체념의 감정이 필연적으로 서려있을 것이다. 그러한 불능감에도 불구하고 브로큰티스의 슈게이즈-편지는 스스로의 사연을 구구절절이 써내려가기보다 그것이 가닿을 “당신”의 사랑이 늘 행복하기를 바란다. 그 바람을 받아들을 청자에게 “이 세상이 무너지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꿈에서 만날 수 있길” 바라는 그는, 연결과 매개에 대한 믿음을 쉽사리 놓지 않고 편지 작성과 소음 형성을 계속 이어간다. 나는 그것에 많은 의미를 두게 된 편이다. 우리에게 찾아온 “붐”의 다음 장을 찾아나서는 것에 있어서도.

 


Editor / 나원영 (대중음악비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