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스테이지 디깅클럽서울 THEME 05


 

‘새소년’ [온스테이지 디깅클럽서울 THEME 05]

 

어느새 온스테이지 디깅클럽서울2019의 마지막 음원
주목받아 마땅한, 시대를 앞선 숨은 음악을 재조명하는 온스테이지2.0의 프로젝트 디깅클럽서울. 작년(2018) 죠지의 ‘오랜만에(김현철 원곡)’를 시작으로
선우정아, 술탄오브더디스코, 데이브레이크, 스텔라장이 참여했으며
시티팝 트렌드와 함께 마니아층을 만들어 온 프로젝트입니다.
올해는 14인의 큐레이터로부터 추천받은 곡을 5개 테마로 나눴습니다.
지금까지 백예린, 1415, 수민, 지바노프와 네 곡을 작업하고
네 가지 테마의 토크 영상을 공개 했습니다.
올해의 마지막 아티스트와 노래를 공개합니다.

 

다섯 번째 테마 ‘언더그라운드의 숨은 명곡’ 그리고 새소년
다섯 번째 테마는 ‘언더그라운드의 숨은 명곡’입니다.
88올림픽 이전, ‘인디’가 아닌 ‘언더그라운드’라고 불렀던
그 시절의 감수성과 실험적인 음악을 조명하는 테마입니다.
80년대 언더그라운드 씬 중에서도 남다른 감수성과 표현력으로
90년대에 등장한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시인과 촌장’.
그들의 음악 중에서도 지금 들어도 독특하고 실험적인 노래 ‘고양이'(1986)가
온스테이지 디깅클럽서울의 다섯번째 곡입니다.

 

현대적이며 아날로그적인 새소년의 ‘고양이'(2019)
온스테이지 디깅클럽서울2019의 마지막 주자이자
시인과 촌장의 ‘고양이’를 재해석할 뮤지션은
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으로 현재 인디씬에서 가장 뜨거운 밴드 새소년입니다.
새소년의 고양이는 기타, 베이스, 드럼이 환상적으로 어우러져
밴드의 앙상블이 돋보입니다.
마치 노래 속의 고양이 그 자체가 된 것 같은 새소년의 고양이를 들어보세요.

 

“확신컨대, 라이브에서 들으면 더 좋을 게 틀림없다. 새소년이여, 라이브에서는 부디 곡 후반부의 30초를 마음껏 늘려서 해주길 바란다. 블루스와 사이키델릭으로 나를 포함한 관객에게 저 세상 텐션을 선물해주기를 원한다. 지금 같은 심정이면 그 순간이 영원히 지속되어도 행복할 것 같다.”
– 배순탁 (음악평론가, 배철수의 음악캠프 작가)

 

21세기 뮤지션 새소년의 코멘트
시인과 촌장의 ‘고양이’를 듣고, 이건 들어본 적이 없었던 곡이라는 생각과 함께 ‘왜 이제서야 이곡을 들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새소년의 방식으로 새로 편곡하기 보다는 21세기로 다시 끌어오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디깅클럽서울’의 취지처럼, 지금 이 시대를 살고 있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좋은 곡을 다시 들을 수 있도록. 노래 제목이자 소재인 ‘고양이’라는 단어, 그것을 묘사하는 가사가 너무 강렬하다 보니 고양이라는 엄청난 생명체에 몰입하여 부르곤 했습니다. 곱씹다보니 당신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메시지라고 생각해요. “그대는 정말 아름다운 고양이에요!”

 

[Credit]
편곡 _ 새소년, 지윤해
arranged by SE SO NEON, chiyoonhae

 

연주 _ 새소년
performed by SE SO NEON
_ 보컬/베이스 vocal/bass 황소윤 Soyoon
_ 기타/백업보컬 guitar/backup vocal by 박현진 Park Hyunjin
_ 드럼/퍼커션/백업보컬 drums/perc./backup vocal by 유수 U Su

 

녹음/믹싱 _ 지윤해 (깃털 스튜디오)
recorded and mixed by chiyoonhae (Plumage Studio)

 

마스터링 _ 나카무라 소이치로 (피스 뮤직)
mastered by Nakamura Soichiro (Peace Music)

 

 

A Sea of Marbles

1. Alpha
2. A World of Minds 
3. The Rise
4. Hidden Mind
5. So Alive 
6. Rose of the Sea
7. To. Curio
8. Finally Free
9. Take Care
10. The End Is Near
11. Zero 
12. Omega

 


 

Noséa (노세아) – A Sea of Marbles

지난 8월, 밴드 노세아(Noséa)는 20분 남짓한 앨범 [Elevate]와 함께 나타났다. 수수한 등장과는 반대로, 그들이 가져온 사운드와 메세지는 결코 조용한 성질의 것이 아니었다. 포크, 일렉트로닉, 락을 포함한 많은 장르에 기반을 두면서도 그 경계를 자유로이 넘나들며, 밴드가 갖는 사운드의 한계를 넓힐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불과 두 달 여만에, 새로운 앨범 [A Sea of Marbles]를 공개한다.

앨범 [A Sea of Marbles]는 총 12곡으로 구성된 노세아의 첫 번째 정규 앨범이다. 한 존재의 마음을 바다에, 존재가 갖는 감정들을 여러 색깔의 구슬에 비유한 세계관 속에서, 호기심이라는 감정이 겪게 되는 하나의 서사를 그린다. 전작보다 기타와 피아노의 비중을 늘려 풍부한 멜로디를 전개하는 동시에, 전자음악의 요소를 치밀하게 배치했다. 노세아가 그려낸, 호기심으로 시작해 열정과 환희, 불안과 좌절을 거쳐 마침내 수면 위의 그 무엇도 아닌 감정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은 누구나 거쳐가는 것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익숙하지 않은 멜로디와 리듬, 함축되고 비유적인 가사 안에서도 그들이 전하고자 하는 말은 여실히 드러난다.

때로는 가만히 그 존재를 알아주는 것이 그 어떤 응원의 말보다 위로가 될 때가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는 아득하게 복잡한, 단 하나의 목적이나 의미를 찾기란 어려운 곳이다. 답을 찾아 설명하려 하지 않고, 그저 현실을 충실히 반영한 동화같은 앨범 [A Sea of Marbles]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위로의 울림을 전한다.

-Credits-
Noséa Album <A Sea of Marbles>

Produced, Mixed and Mastered by Gibum
Composed by Gibum, Han
Arranged by Gibum
Lyrics by Han
Guitar by Jinwon

Artwork by Saigen
Drawing by Jisan Lee

 

OH BABY

1. OH BABY

 


 

90년대의 팝 사운드와 70.80년대의 일본 시티팝의 접목
애수 어린 보컬과 쿨한 여성 베이시스트의 이색적 조합이 선보이는 새로운 감성의 시티팝

2016년 3월 첫 라이브를 시작으로 동경을 중심으로 활동 중인 SHOTA(Vocal), JUNKO(Bass) 로 구성된 남녀 2인조 유닛 IIVU(이브).

사운드 프로듀서 FAT PROPのRinda 와 함께 멤버 전원 공동 제작 및 프로듀스 작업 방식을 고수. 8-90년대 POPS의 영향을 받은 노스탤직한 감수성과 80년대 일본 시티팝을 연상시키는 사운드를 접목한 애수 어린 스타일이 특징이다.

첫 싱글 후 3개월만인 2017년 10월에 발표한 이브의 두 번째 싱글 OH BABY. 색소폰 플레이어 마에다 사라의 피쳐링으로 전작에 비해 R&B 감성이 농후해 졌다. 전편을 흐르는 색소폰의 선율과 긴장감 있으면서도 섹시한 멜로디는 와인바에서 도쿄타워가 보이는 야경을 감상하는듯한 착각에 빠지게 한다.

-Credit-
Vocal: Shota
Bass: Junko
All Songs Witten and Arranged by IIVU

UP & DOWN

1. UP & DOWN

 


 

90년대의 팝 사운드와 70.80년대의 일본 시티팝의 접목
애수 어린 보컬과 쿨한 여성 베이시스트의 이색적 조합이 선보이는 새로운 감성의 시티팝

2016년 3월 첫 라이브를 시작으로 동경을 중심으로 활동 중인 SHOTA(Vocal), JUNKO(Bass) 로 구성된 남녀 2인조 유닛 IIVU(이브).

사운드 프로듀서 FAT PROPのRinda 와 함께 멤버 전원 공동 제작 및 프로듀스 작업 방식을 고수. 8-90년대 POPS의 영향을 받은 노스탤직한 감수성과 80년대 일본 시티팝을 연상시키는 사운드를 접목한 애수 어린 스타일이 특징이다.

2017년 7월 발표한 이브의 첫 데뷰 싱글인 UP & DOWN. 준코의 쿨한 베이스와 쇼타의 애수 어리면서도 파워풀한 보컬이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 후반부의 기타 솔로부터 분위기가 바뀌는 간주, 마지막 준코의 베이스로 이어지는 구성은 마치 뮤지컬을 보는 것처럼 드라마틱하다.

-Credit-
Vocal: Shota
Bass: Junko
All Songs Witten and Arranged by IIVU

24/7 lo-fi radio Part.1


 

우리는 존재 자체로 아름답습니다.
잠 못드는 모든 밤을 위해 이 노래를 만듭니다.

 

 

[Credit]
Produced by xxiuk
Co-producer kimxxi
Lyrics by xxiuk
Composed by xxiuk
Arranged by xxiuk
All Instruments by xxiuk
Artwork by xxiuk, kimxxi

 

[Contact]

instagram.com/xxiuk
youtube.com/xxiukpro
soundcloud.com/xxiuk
xxiuk.com

잠시

1. 잠시
2. 괜찮아
3. 맘편히
4. 꿈처럼

 


 

싱어송라이터 엔스 (Nth) 1st EP Album [잠시]

기다림과 사랑, 그리고 삶을 노래로 감성적인 메시지와 엔스 (Nth)의 담담한 이야기들을 가볍지만은 않게, 듣는 이에게 솔직한 감정이 공감되기를 바라며 지쳐가는 현실 속, 그래도 밝은 미래를 꿈꾸는 우리에게 잠시나마 위안과 휴식의 희망을 담은 앨범이다.

이번 앨범에서는 정식 멤버 박정현(베이스), 성문지(드럼)와 공동으로 작업을 함께하며, 얼터너티브적인 사운드 그리고 프로덕션 어시스트까지 도움을 받으면서 곡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더욱 탄탄하게 잡았다.

-Credits-
Produced by 엔스 (Nth)
Mixing and mastering by 엔스 (Nth))
Recorded at 렛츠드럼

Bass 박정현
Drum 성문지
Artwork by codehex

Aliens

1. Playaholic (feat. 김아일)
2. 통배권 (feat. 뱃사공)
3. 사라지는 꿈
4. Super Disco
5. Manic Depression
6. Aliens
7. 미끄럼틀 (feat. SUMIN)
8. 로켓맨
9. 어쩐지
10. 갤로퍼
11. 깍두기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리듬의 서사

alien [명사] 1. 이방인, 외국인; 2. 따돌림 당하는 자; 3. 외계인, 우주인.

힙합을 제외한 아프로-아메리칸 음악의 기반이 거의 없다시피 한 한국에서 이미 세계적으로도 전성기를 한참 지난 디스코 음악을 한다는 것 자체가 이방인이 될 수밖에 없는 일이었다. 음악을 아무리 잘 만들어도 언제나 코믹한 외모가 우선이었다. 전체 대중음악 신에서는 물론 좁은 밴드 음악신에서조차 주류와 거리가 멀었던 것도 당연했다.

하지만 이렇게 이방인이었고 비주류였던 덕분에 어느 누구와도 다른 길을 걸어올 수 있었다. 족보도 혈통도 없는 대신 자기만의 특별한 세계를 가진 외계의 존재인 이들을 요약할 수 있는 한 단어. 바로 술탄 오브 더 디스코의 2집 제목인 [Aliens]다.

지난 1집으로부터 장장 5년. 라이브와 댄스가 결합한 폭발적인 퍼포먼스로 한국은 물론 영국 글래스톤베리 페스티벌을 비롯 미국, 일본, 러시아 등 10개국에서 100회가 넘는 공연을 진행하며 세계의 누구던 춤추게 만들 수 있음을 입증해 온 술탄 오브 더 디스코가 정규 2집으로 돌아왔다. 6-70년대 황금시대 디스코의 정수를 현재진행형으로 만들어냈던 1집 [The Golden Age]에서 진일보하여 고전의 빈티지와 첨단의 트렌드, 디스코/훵크/소울부터 R&B/일렉트로닉/록에 이르는 다양한 스타일, 그리고 폭발적인 에너지와 깊숙한 서정성을 골고루 담아낸 11트랙이 담겨 있다.

가장 먼저 귀에 꽂히는 것은 앨범의 두 타이틀곡 ‘사라지는 꿈’과 ‘통배권 (feat. 뱃사공)’이다. 우선 ‘사라지는 꿈’은 한마디로 가장 술탄답지 않은 곡이면서 새로운 술탄을 대표하는 노래. 예전 술탄 노래들의 인위적인 콘셉트를 버리고 음악을 하는 이유를 잃어버린 채 방황하던 시기의 자기 얘기를 솔직하게 풀어냈다는 리더 나잠 수의 노랫말은 차분하면서도 착 감기는 곡과 어우러져 술탄에게는 없었던 공감의 정서를 자아낸다.

이러한 술탄의 새로운 면모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선택한 파트너는 바로 세계 최대의 쇼케이스 페스티벌인 SXSW에 뮤직비디오를 출품한 경력에 빛나는 ‘스튜디오 피보테’. 술탄답지 않은 귀여움과 술탄스러운 위트가 공존하는 애니메이션으로 탄생한 ‘사라지는 꿈’의 뮤직비디오는 2집 발매 1주일 후인 11월 5일(월)에 공개될 예정이다.

‘사라지는 꿈’이 새로운 술탄이라면 반대로 또다른 타이틀곡 ‘통배권 (feat. 뱃사공)’은 가장 술탄다운, 술탄스러운 신남이 120% 가득한 곡이다. 90년대의 인기 소년만화에 등장했던 전설적인 권법을 소재로 삼은 것부터가 일단 술탄. 뭔가 얘기하는 듯하지만 결국 별 뜻 없는 가사도 바로 술탄. 그럼에도 역시 술탄인 것은 치밀하고 역동적인 구성으로 한층 진일보한 리듬의 서사. 여기다 MC 뱃사공의 랩이 가사 그대로 재키 찬과 임하룡처럼 좌우전후 능수능란한 그루브의 스텝을 밟으며 확실하게 한 몫 한다.

그리고 두 몫 해내는 것이 타투이스트 ‘화로’가 그래픽 아티스트 ‘NiNE-Ist’와 함께 만들어 낸 뮤직비디오다. 멤버들의 개성을 절묘하게 포착해 낸 캐릭터의 작화를 바탕으로 데뷔작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의 밀도와 탄탄한 서사를 자랑하는 애니메이션은 ‘통배권 (feat. 뱃사공)’의 무협 세계를 제대로 화룡점정한다.

물론 다른 트랙들도 빼놓을 수 없다. 딱 춤추기 좋은 노래들로 구글이던 NASA던 잘 나가는 회사 다 필요 없고 오늘도 놀고 내일도 노는 게 짱이라는 직장인 공감 만점의 가사와 함께 김아일의 절묘한 랩이 특히 매력적인 ‘Playaholic (feat. 김아일)’부터 조울증을 테마로 신남과 우울을 오가는 정서를 변칙적인 구성으로 절묘하게 담아낸 ‘Manic Depression’이 있다면 술탄 최초의 본격 일렉트로닉 넘버 ‘로켓맨’과 최근의 얼터너티브 음악에서 받은 영감을 호소력 있는 멜로디에 실어 만들어내는 술탄 식의 발라드 ‘어쩐지’는 낯설면서도 새로운 시도를 느끼게 하는 곡.

그리고 프로그레시브 락부터 힙합/하우스/소울에 어덜트 컨템포러리를 말도 안 되게 섞어냈지만 신기하게도 아귀가 맞는 술탄만의 괴곡 ‘갤로퍼’와 라이브마다 관객들을 날뛰게 했던 그 곡을 드디어 앨범에 담아낸 ‘깍두기’가 만들어 내는 대단원은 실로 강렬하다. 여기다 싱글로 선공개된 ‘미끄럼틀 (feat. SUMIN)’과 ‘Super Disco’가 더해져 러닝타임 40분의 짜릿한 경험을 만들어낸다.

더불어 표지에 있는 정체불명의 형상은 술탄의 멤버들과 크리에이티브 팀 ‘two-five-ten’이 함께 만들어 낸 이번 앨범의 시각적 콘셉트를 대표하는 이미지. 그 정체가 궁금하신 이라면 김기조 디자이너가 디자인한 CD 패키지를 뜯어보시면 새로워진 술탄의 비주얼을 함께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2집 발매와 함께 술탄 오브 더 디스코는 11월 17일(토) 예스24 라이브홀에서 단독 콘서트 “GRAND SULTAN NIGHT 2018”을 갖는다. 3년만의 브랜드 단독 공연을 활동 이래 최대 규모 공연장에서 진행하는 만큼 그에 걸맞은 버라이어티한 공연을 만들 예정. 비록 공중그네 서커스나 불 쇼나 무대 위에 실제 갤로퍼 차량을 올린다는 초창기의 아이디어들은 실현 가능성을 따져가며 포기하고 있는 중이지만, 이것들을 빼도 넘쳐나는 흥미진진한 연출들을 잔뜩 구상 중이다.

예전에 술탄 단독 공연을 와 본 사람들이라면 이미 머릿 속에 그려지고 있을 것이고, 아직 보지 못한 사람이라면? “술탄의 공연을 못 본 사람은 있어도 한번만 본 사람은 없다”는 경험을 이번에 한번 해보시길 강력하게 권한다. 예매는 멜론티켓(ticket.melon.com)과 예스24공연(ticket.yes24.com)에서 진행 중이다.

붕가붕가레코드 대중음악 시리즈 37번째 작품으로 붕가붕가레코드와 CJ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제작했고 CJ문화재단의 뮤지션 창작지원사업인 튠업과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대중음악 앨범 제작 프로모션 지원사업의 후원을 받았다.

글 / 곰사장 (붕가붕가레코드)

[Credit]
붕가붕가레코드 대중음악 시리즈 no. 37
술탄 오브 더 디스코 2집 [Aliens]

프로듀서 _ 나잠 수

작사/작곡/편곡 _ 나잠 수
트랙 1 편곡 _ 백창열 (투 톤 라이노)
트랙 1 랩 작사 _ 김아일
트랙 2 랩 작사 _ 뱃사공
트랙 7 작사/작곡/편곡 _ SUMIN
트랙 8 작사 _ 나잠 수, SUMIN

연주 _ 술탄 오브 더 디스코
나잠 수 – 리드보컬/기타/키보드
J.J 핫산 – 댄스/MC
김간지 – 드럼/백업보컬
지 – 베이스
홍기 – 기타/백업보컬

참여뮤지션
김아일 – 랩 (트랙 1)
뱃사공 – 랩 (트랙 2)
SUMIN – 보컬/피아노/신스 (트랙 7) 백업보컬 (트랙 8)
Q The Trumpet 박준규 – 트럼펫/플루겔혼 (트랙 1, 2, 3, 5, 7, 10)
Bone K – 트롬본 (트랙 1, 2, 5, 7, 10)

녹음 _ 나잠 수 (웜우드 힐 스튜디오)
트랙 3, 10 드럼 녹음 _ 신재민 (필로스플래닛)
트랙 4 드럼 녹음 _ 브래드 휠러 (유니언 스튜디오) 박열 (스튜디오 던바)
트랙 7 드럼 녹음 _ 신동주 (톤 스튜디오)
트랙 11 드럼 녹음 _ 박열 (스튜디오 던바)

믹싱/마스터링 _ 나잠 수 (월우드 힐 스튜디오)

비주얼 디렉터 _ workman
스타일링 _ two-five-ten
사진 _ 임홍재

패키지 디자인 _ 김기조 (섬광)

제작 _ 곰사장 (붕가붕가레코드), CJ문화재단
매니지먼트 _ 박상민 (붕가붕가레코드)
영상 _ 이주호 (스튜디오 펩스)
투어 에이전트 _ 야하타 코키 (바람)
회계, 정산 _ 송대현

본 앨범은 CJ문화재단의 뮤지션 창작지원사업인 튠업과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대중음악 앨범 제작 프로모션 지원사업의 후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BGBG Records Popular Music Series no. 37
Sultan of The Disco’s 2nd studio album [Aliens]

Produced by Nahzam Sue

Lyrics/Composed/Arranged by Nahzam Sue
except for trk. 1 Arranged by Baek ChangYeol (Two Ton Rhino)
and rap of trk. 2 Written by Bassagong
and trk. 7 Lyrics/Composed/Arranged by SUMIN
and trk. 8 Lyrics by Nahzam Sue and SUMIN

Performed by Sultan of The Disco
Nahzam Sue – Lead Vocal / Guitar / Keyboard
J.J Hassan – Dance / MC
Kim Ganji – Drums / Backup Vocal
G – Bass
Hong-gi – Guitar / Backup Vocal

Additional Musicians
QIM ISLE – Rap (trk. 1)
Bassagong – Rap (trk. 2)
SUMIN – Vocal/Piano/Synth (trk. 7) Backup Vocal (trk. 8)
Q The Trumpet – Trumpet/Flugelhorn (trk. 1, 2, 3, 5, 7, 10)
Bone K – Trombone (trk. 1, 2, 5, 7, 10)

Recorded by Nahzam Sue (Wormwood Hill Studio)
except for drums of trk. 3 and 10 recorded by Shin JaeMin (Philos Planet)
and drums of trk. 4 recorded by Brad Wheeler (Union Studio) Park Yeol (Studio Dunbar)
and drums of trk. 7 recorded by Shin DongJu (Tone Studio)
and drums of trk. 11 recorded by Park Yeol (Studio Dunbar)

Mixed and Mastered by Nahzam Sue (Wormwood Hill Studio)

Visual Directing by workman
Styling by two-five-ten
Photo by Lim HongJae

Package Design by Kimm Kijo (SeomKwang)

Executive Producer Chris Go (BGBG Records), CJ Cultural Foundation
Artist Management by Park SangMin (BGBG Records)
Video by Lee Juho (Studio Peps)
Touring Agent Koki Yahata (Baram)
Accounting by Song DaeHyun

Supported by KOCC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