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CHISAN


 

カチサン [KACHISAN] 新しいスタートラインから打ち上げられた三銃士のセレナーデ。

 

全ては文字通り「スタート」から始まった。新しいミレニアムの到来とともに、多彩に揺れ動く大衆文化を自然に吸収し、それを音楽的な栄養の「始まり」として取り入れたメンバー各自の幼年時代が、カチサンというバンドの始まりとなった。アルバムのタイトルからもうかがえるように、この正規1集「KACHISAN」は、文字通りバンドの始まりを告げ、聴衆に向けての無邪気な最初の挨拶のような作品だ。

 

前述のとおり、カチサンの同い年の3人組、キム・ジンホ、チェ・ソンヨン、そしてハン・テインは、90年代後半から2000年代にかけてのバンド音楽やアニメ主題歌を通じて、音楽への興味と愛情を深めていったという。その時の記憶は、それぞれが異なるジャンルや分野で活動していた彼らの交点であり、やがて作業室を共有する友人として、カチサンというバンドで再び集まることができた決定的な動機となった。

 

そのため、これらの過去の活動を覚えている人々は、既存の活動とは異なる音楽に、「本当に同じ人たちなのか?」と思うかもしれない。このアルバムを通じて、カチサンはこれまで様々な現実的な理由で避けていたこと、つまり過去のどこかに置いてきた初心について歌っているのだ。もちろん、このような方向性が誰かには時代遅れに感じられるかもしれないが、逆にそれがロマンと呼べる理由ではないだろうか。まるで世に出て初めて目を開けたばかりの赤ん坊の泣き声のように、メンバーたちの新鮮な姿が見慣れなければ、それはむしろ創作者の意図と正確に一致する鑑賞をしているという意味だろう。

 

この過程で、カチサンは多くの大衆音楽でレトロな要素を取り入れる一方で、一般化された手法やありきたりなアプローチを避けるために、正面から向き合う方法を選択した。テーマはもちろん、作品の形式、サウンド、そして視覚的な要素に至るまで、アルバムのすべての要素は徹底的に2000年代を基準に設計された。索漠として厄介な現実を意に介さず、その時代のバンド音楽の質感を完全に反映しているだけでなく、シングル単位で急速に変化する音楽市場に逆行する形での正規アルバムデビューは、「ミュージシャンならば当然、正規アルバムを出すべきだろう!」という古風な固執から生まれた。

 

ちなみに、「カチサン」というバンド名は、バンドが最初に結成されたスタジオの住所から取られたという。2024年現在、一部のローカルシーンを除き、地域ベースの活動の伝統がほとんど途絶えてしまった中で、バンドの起源を称え、出身地を明確に打ち出すネーミングセンスは、かなりノスタルジックと言える。さらに、色褪せたアルバムカバーや、ざらざらとした質感のミュージックビデオに至るまで、その時代への愛情を露わにしており、音楽の内外を問わず、彼らが伝えたい真実のメッセージを容易に感じ取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

 

そして、この「真実」こそが、カチサンの音楽を単なる「2000年代のリメイク版」と見なすことができない証拠であり、従来のレトロブームを評価の基準とすることができない最も本質的な理由である。彼らが語る「その時代」は、経験したことのない過去への根拠のない憧れではなく、既に30歳を過ぎた同世代の友人たちが身をもって経験した思い出に根ざし、息を吹き込まれているからだ。カチサンが結成されたきっかけ、そして彼らがカチサンとして伝えたいすべては、非常に個人的な動機から始まった。訳も無く高鳴る胸の鼓動を抑えきれずにどうしようもなかった幼い日の熱い感情、その「非常に個人的な記憶」から発火したカチサンの音楽は、結局のところ、氾濫するレトロ市場の中でも、誰にも真似できない「カチサンらしさ」を作り出している。

 

こうして、カチサンの音楽は愛に帰結する。全10トラックにわたり、力の限り「全ては愛だ」と叫ぶ彼らの音楽は、それが人であれ、物であれ、あるいは時間や記憶のような抽象的な対象であれ、結局のところ2023年の「僕」を存在させた全てのものへの心からの捧げ物であり、比類なきセレナーデである。クリシェの極みである「愛」というテーマが、カチサンには平凡に感じられない理由も同じだ。

 

もちろん、カチサンは決して過去に留まるわけではない。音楽を通じて過去を振り返る過程を旅に例えるならば、彼らはまさに長い旅の折り返し点を過ぎ、元気に家へ帰る準備をしているのだ。帰還によって完結するのが旅であるように、カチサンもいずれ音楽を止め、現実に戻って今を生きるだろう。しかし、旅先での幸せな記憶が、明日の朝の登校や通勤に耐えるための支えとなるように、メンバーそれぞれの数多くの「始まり」こそが、これからの歩みのための尽きることのない原動力になると信じて疑わない。カチサンという新しい名前で再びスタートラインに並んだ三銃士の躍動感あふれるスタートが、一際迷いなく、力強く見えるのも、これまでひたすら前を向き、輝き続ける彼らの視線があるからだろう。

– Wallo.B (Poclanos)

 

Credits

 

All Produced by KACHISAN

All Lyrics Written by HAN TAIN

All Composed by HAN TAIN, KIM JINHO
All Arranged by HAN TAIN, KIM JINHO, CHOI SEONYONG

Vocal HAN TAIN
Guitar KIM JINHO
Bass CHOI SEONYONG
Chorus HAN TAIN / KIM JINHO (1)
Keyboard KIM JINHO (2), (3), (4)
Rhythm Programming CHOI SEONYONG (2), (3), (4), (8) / KIM JINHO (1), (5), (6), (7), (9), (10)
Mixed & Mastered by CHOI SEONYONG @KACHISAN RECORDS

Lyrics Translation by 柴田美咲姫
Cover Designed by LEE CHAE-EUN

 

WE WILL BE..


 

예상치 못한 사람 혹은 바라던 사람과 꿈속에서 만난 적이 있나요? 그런 꿈을 꾸고 난 후에는 그 사람을 좋아하게 된다.라는(미신에 가까운) 얘기가 있는데요, Jettoyz의 싱글 앨범 ‘WE WILL BE..’에서는 ‘네게 주문을 걸어, 너의 꿈속에 나오고 싶어.’라는 내용을 담은 노래입니다. 80년대 R&B 사운드와 팝스러운 멜로디가 잘 어우러져 달달하면서 중독성 있는 앨범입니다. 여러분들도 이 노래를 듣고 그 사람이 떠오른다면 꿈속에 내가 나오길 바라보는 건 어떨까요?

 

Credits

 

Composed by Jettoyz

Lyrics written by Jettoyz

Arranged by Jettoyz

Drum by Jettoyz

Guitar by Jettoyz

Piano by Jettoyz

Bass by Jettoyz

Background Vocal by Jettoyz

Artwork by wiin

Mixed by Jettoyz

Mastered by 배재한 @등대사운드

 

Cherry Soap


 

음악과 향기는 기억을 생생하게 잘 담는 것 같아요. 아주 오래전 기억이나 기분도 쉽게 불러올 수 있거든요. 저도 가끔씩 음악이나 향기로 보고싶은 사람을 만나거나 가고 싶은 장소로 가기도 합니다. 이번 싱글 ‘Cherry Soap’ 은 그런 주제로 만들어 봤습니다. 항상 곡으로 그 느낌을 만들어 보고 싶었어요. 이 노래도 누군가의 좋은 추억을 담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Credits

 

Producer – About Paul

Composer, Lyricist, Arranger – About Paul

Vocal – About Paul

Guitar riff – Sample

E.Guitar – About Paul

A.Guitar – About Paul

Bass – About Paul

Drums – About Paul

Synths – About Paul

Backing Vocals – About Paul

Mixing and Mastering – 고현정 (koko Sound)

Album Cover – About Paul

Music Video Director – About Paul, Sujin Park

 

HANAMI


 

01SYNTH’s

New Spring Digital Single

“ H A N A M I ”

 

[Genre]

Liquid Drum and Bass.

Chill.

Electronica.

[BPM]

180

 

Credits

 

Composed by 01SYNTH

Produced by 01SYNTH

Mixed by 01SYNTH

Mastered by 01SYNTH, れん (Ren)

Artwork by Bii (비이)

Distributor POCLANOS

 

Texture Over Time


 

R01 Parlour continues to explore the beauty of electro-acoustic elements of music combining different elements of various genres.

 

Blurry but Beautiful (2023) 첫 앨범을 발매하고, 다양한 장르의 조화와 Compositionally 더 발전시키며 새로운 시도를 계속해서 해내가는걸 2집에 기록하였다.

 

Credits

 

Engineered & Mixed by Youngwoo Lee

Produced by R01 Parlour

All tracks written by R01 Parlour except (동이바니, Shape of Dream by Youngwoo Lee)

All instruments performances by R01 Parlour (Clarinet & Saxophone by Daniel Glatzel on Track3)

Mastered by Alistair Payne

Art Cover by Hayane

 

빌어먹을


 

“차가운 밤을 녹여 파란 새벽이 와도 나아질 건 없었고 얼른 집에 가, 눕고 싶었네”

왔다 갔다 하는 제 마음이 참 ‘빌어먹게’ 싫던 때에 쓴 곡입니다. 그리고 여전히 빌어먹게 불안한 날들이 있습니다.

드럼의 Tom 소리는 집에 가기 싫은 발걸음을 상징하고 기타는 바닥을 기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씁쓸하고 서걱대는 새벽을 전하고자 했어요.

어떤 위로도 닿지 않을 땐 그저 서로의 비슷한 경험을 나누는 것이 가장 큰 힘이 되었던 기억이 납니다. 누군가 빌어먹을 마음에 휘청일 때 이 곡이 닿기를 바랍니다.

 

Credits
 

프로듀싱 이무이, 김용현

Produced by 2EEMOOEE, Yonghyun Kim

 

작사, 작곡 이무이
Music Composed & Lyrics Written by 2EEMOOEE

 

편곡 김용현, 이무이

Arranged by Yonghyun Kim, 2EEMOOEE

 

Musicians

E.Guitar 김용현 Yonghyun Kim, 김두하 Kim Duha, 이무이 2EEMOOEE

Drum 문정환 Mun Jeonghwan

Bass 김민석 MSG

Vocal 이무이 2EEMOOEE

Chorus 이무이 2EEMOOEE, 김용현 Yonghyun

Recorded by 김용현 Yonghyun Kim at 스튜디오 일로(@studio_1lo)

Drum & Bass Recorded by B.A. Wheeler at East Seoul Studio

Sound Edited by 김용현 Yonghyun Kim

Mixed by 김용현 Yonghyun Kim at 스튜디오 일로(@studio_1lo)

Mastered by 강승희 Seunghee Kang at Sonic Korea Seoul Forest

 

Artwork 이무이 2EEMOOEE

 

Publishing by POCLANOS

 

Monthly Flower Project #2


 

“Blue Rose” 파란장미의 꽃말은 기적, 포기하지 않는 사랑

 

Credits

 

Producer PERC%NT

All songs written by PERC%NT, 이태성

Arrangement PERC%NT

 

Piano 이태성

Rhythm Programming PERC%NT

Chorus PERC%NT

 

Mixing Engineer PERC%NT (All Tracks)

Mastering Engineer PERC%NT @PERC%NT LAB (All Tracks)

 

Album Illustration & Design & Artwork PERC%NT

 

Publishing by POCLANOS

 

Lotus


 

오늘이 그냥 내일이었으면 좋겠어.

난 계속 무너지는데 내가 널 잊을 수 있을까.

 

Credits

Composed by M.O.W.B

Lyrics by 김나휘, M.O.W.B

Produced & Arranged by M.O.W.B

Guitar by 이양업

Bass by 양준혁

Drums by 황준하

Synth by 이다빛찬

Vocal by 고승윤, 이다빛찬

Recorded by 이다빛찬

Drum rec by Groove N Balance Studio

Mixed by 이다빛찬

Mastered by 권남우

Publishing by POCLANOS

 

Nothing you can say no more


 

오늘도 난 눈을 뜬 채로 소박하게 잠을 청했고

넌 매일 그렇듯 천장에 비춰 웃고 있었다.

너의 밤은 어떨까 네가 보는 별이 부러워진다.

수많은 별, 그중에서도 빛이 나는 그 별이 내가 될 수 있나

수줍음이 많은 그 별은 나와 꼭 닮았는데

..아니다…이제 그만하는 게 좋을 거 같아

너의 밤은 오롯이 너의 것이니까

 

Credits

 

Written by 깃임

Lyrics by 깃임, 김동준

Arranged by 깃임, 라드

Vocal by 깃임

E.Guitar by 라드

Bass by 최남갑

Vocal by 깃임

Vocal Recorded by Modo @Modo.Sound

 

Mixed by Modo (Assist. 안수민) @Modo.Sound

Mastered by 정수종 @Subsonic Sound Studio

 

Artwork by 문장

 

support by studio 김동준

 

Still alive (feat. NO:EL)


 

Still alive

 

seshin, M3CHVNIC Single album [ Still alive ]

 

Still alive (feat. NO:EL)

 

Credits
 

Composed by seshin, NO:EL, M3CHVNIC

Arranged by M3CHVNIC

Lyrics by seshin, NO:EL

 

Drum by M3CHVNIC

Bass by M3CHVNIC

Electric Guitar by 김준서

Acoustic Guitar by M3CHVNIC

Pad by M3CHVNIC

Piano by M3CHVNIC

 

Mixed & Mastered by 배재한 @등대사운드

Artwork by SEENYOUNU

 

 

Spiritual 2


 

2019년 미국 뉴욕 브루클린의 Beyond Beyond is Beyond Records 와 계약을 맺고 처음으로 발표한 앨범. 수록곡 High의 뮤직비디오가 Stereogum의 The 5 Best Videos Of The Week 에 Billie Eilish, James Blake 등과 함께 선정되었습니다.

 

-해외 미디어의 리뷰들.

 

“이 서울의 듀오는 뉴에이지, 크라우트락, 아시아의 민속음악 등을 연상시키는 음악 형식을 통해 정성을 다하여 집중도 있게 영성 음악 을 완성해 내었다… 지금 아시아의 사이키델릭 뮤직 씬에는 르네상스가 일어나고 있고, TENGGER는 그 씬에서 큰 영향력을 가진다.” – Pitchfork

 

“TENGGER는 몽골어로 경계없이 무한한 하늘을 뜻하는 동시에, 음악을 통해 경계없이 최면을 걸며 광대한 자연 공간을 탐험하는 PAN Asian 음악 가족 그룹을 일컫는 단어이다. 텐거는 본작을 통해 경건한 대자연 속으로의 걸음으로, 동시에 또다른 세계를 향한 사이키델릭의 향연으로 우리를 인도한다.” – Stereogum

 

“TENGGER가 상상력과 젠틀한 흥분을 통해 전해주는 Spiritual 2는 즉각적으로 매력적이고, 명상적이며, 재미있다.” – Allmusic

 

“깨달음으로 이끌기 위해 디자인된 음악의 모습.” – FADER

 

“드론 음악을 선사하는 가족 밴드의 사운드는 신스, 하모니움, 장난감 악기를 토대로 제작되었지만 그 결과는 진지하게, 다시 없는 기쁨으로 우리를 감싸는 시간 여행을 선사한다.” – Raven Sings The Blues

 

“그들은 자연에서 추출한 요소들로 색과 빛을 재구성한다.” – Popbollocks

 

“한국의 듀오 TENGGER가 스스로를 New Age Drone Magic 이라고 묘사할 때, 그것은 그들의 하모니움, 목소리, 그리고 아날로그 신시사이징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 정확한 표현이다.” – Dusted

 

“올해의 베스트 앰비언트 앨범 중 하나” – Treble

 

“따뜻한 코트 같은 사운드를 리스너에게 제공한다.” – The 405

 

“70년대 Neu!와 Popol Vuh가 채굴한 일종의 크라우트록의 메아리” – PopMatters

 

Credits

 

Music Produced, Composed and Arranged by TENGGER

TENGGER : ITTA, MARQIDO, RAAI(Stage Member)

Lyrics by ITTA

Synthesizers & Electronics Played by MARQIDO

Indian Harmonium & Vocal Played by ITTA

Chorus by ITTA

Mixed & Mastered by MARQIDO

Cover Art Design by TENGGER

 

*** High / Ajari – Music Video Credit ***

Director : TENGGER

Cinematographer : TENGGER

Actor : Water – RAAI / Achime – RAAI, ITTA

Edit : MARQID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