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t Tape #1: Riding Mode》
“ 질주 – 국도 – 터널 “ 세 파트로 이어지는 저만의 바이크 여행기를 기록했습니다.
Credits – Produced & Composed by SOWALL Mixed & Mastered by Tama Rhodes (at Tower Studio) Photography Hyun Park |
포크라노스
《Beat Tape #1: Riding Mode》
“ 질주 – 국도 – 터널 “ 세 파트로 이어지는 저만의 바이크 여행기를 기록했습니다.
Credits – Produced & Composed by SOWALL Mixed & Mastered by Tama Rhodes (at Tower Studio) Photography Hyun Park |
싱어송라이터 김푸름의 첫 번째 정규 앨범 <‘푸르스름’ 언플러그드>의 Remix 앨범 두 번째 선공개 곡으로 ‘우산도둑’이 웨이비(Wavy) 소속 프로듀싱 팀 ‘basecamp’의 편곡을 통해 새롭게 그려졌습니다.
베이스캠프(basecamp)는 채욱진(Chiic), 문준호(Johnny)로 구성된 2인조 프로듀싱 팀으로, R&B, 일렉트로닉, 팝 장르를 기반으로 다양한 아티스트들과 함께 감각적인 음악을 선보여왔습니다. 이번 ‘우산도둑(Remix)’은 베이스캠프(basecamp)의 세련된 일렉트릭 사운드가 돋보이도록 재해석 되어 원곡과 또다른 매력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Credits Recorded by 김진평(Vocal) @TONE Studio Seoul Digital Edited by 양하정 @TONE Studio Gogi Mixed & Mastered by 김대성 @TONE Studio Seoul
Lyrics & Composed by 김푸름 Arranged by basecamp
Chorus 김푸름 Guitar/Bass 채욱진(basecamp) Drum/Keyboard 문준호(basecamp)
Executive Producer 김대성 Photo & Artwork 강미란 A&R 안채영 |
유래 (Yoorae) <Te>
유래의 <Te>는 큰 간격을 가진 두 시간대의 레이어로 구성된다. 2021년의 라이브 퍼포먼스 레코딩은 여섯 개의 트랙으로 분할되어 새로이 호출된다. 이 호출은 오래된 폴더에서 프로젝트 파일을 발굴하여 다시 작업하는 과정이 아니라, 당시의 레코딩 파일을 하나의 샘플로 활용한 결과이다. 일종의 샘플링인데, 샘플링은 자연스레 현재 트랙의 외부를 내부로 삽입한다. 과거에 녹음된 음원은 파묘되어 새로운 트랙을 위한 요소로 변형된다. 따라서 <Te>는 불연속적이다. 멈춰둔 작업의 갱신이 아니라, 완결된 시간의 갑작스런 출몰이기 때문이다. 2021년과 2025년이 층을 이루며 두 겹의 지층을 가진다. 그러나 그 층 사이, 2021년과 2025년의 시공간적 간극에서는 다음과 같은 깊은 공동이 발견된다: 불신, 망각, 사후적 회고. 완결된 작업을 다시 미완결의 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확신을 위한 회고이다. 그렇다면 확신이란 무엇인가? 확신은 완결을 덮는 마스크이다. 완결은 확신 없이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확신이 불신으로 전환된다면, 완결도 미완결의 상태로 회귀한다.
뇌에 당시의 정서를 새기는 데에는 청각만한 게 없다. 과거 뇌에 새겨진 홈과 지금 들리는 파형의 모양이 일치한다면, 뇌는 곧바로 새겨진 홈에 담긴 기억과 정서 또한 송출한다. 그러나 유래는 그 위에 씌워진 완결의 마스크를 벗겨내고, 다시 최신의 마스크를 덮어 씌운다. 열화가 아닌 레이어링으로. 따라서 2021년의 청각과 그 정서의 데이터는 유령처럼 으스스하게 드러나지 않고 <Te>의 견고하고 명확한 토대로 작동한다. 토대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그 위에 구축된 것이 무너지지 않게 버틴다. 기억, 그리고 체화된 감각이라는 토대 없이는 지금의 내재적 자기 인식 또한 있을 수 없다. 간단하게 (그리고 진부하게) 쓰자면, 과거 없이는 현재도 있을 수 없다는 말이다.
<Te>의 모든 트랙 제목은 ‘테’라는 발음을 갖는 각기 다른 기호의 유니코드 표기이다. 각 기호는 상이한 뜻을 갖지만, 그 뜻은 단지 감각적 분위기로만 환기된다. 특정한 이미지를 연상케 하는 제목의 숨은 뜻은 스스로를 완전히 바깥으로 내놓지 못한다. (그러나 내놓는다 하더라도, 그 순간 음악은 음악이 아닌 구술이 될 뿐이다.) 유래는 각 트랙의 이미지를, 작업의 완결을 위한 마스크로 사용한다. 이로서 과거는 토대로 남고, 가려진 과거라는 토대는 현재와 미래에 자신을 기꺼이 내어준다. ‘Te’라는 기호는 의미없음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오로지 감각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유래의 <Te>는 다중의 레이어를 갖는다. 과거-마스크-현재-마스크.
시간의 흔적과 이미지의 기호/의미(없음)를 재료로 삼는다면 ‘시네마틱’해질 수밖에 없다. 과거가 아무리 내밀하더라도, 그것은 그의 작업에 견고한 토대로서 징후적일 수밖에 없고 항상 그에게 몽타주의 재료로 남기 때문이다. 결국 <Te>는 그에게 지극히 개인적인 과거의 몽타주이면서, 흘러가는 시간의 비가역성이라는 운명에 순응하는, 다음을 위한 과정이다.
(글. 윤태균)
|
Credits |
Written, Produced, Recorded, Mixed, Mastered by Yoorae
Cover Art by Nose Studio |
과감하고 도발적이며 감각적인 실험적 사운드에 본인의 목소리를 입혀,
새로 돌아온 전자음악 프로듀서 Mi Mang의 정규 3집.
|
Credits |
01 MONDAY (dance)
ALL Instruments Play by Mi Mang Vocal by Mi Mang Composed by Mi Mang Produced by Mi Mang Mixed & Mastered by Mi Mang
02 TUESDAY (time)
ALL Instruments Play by Mi Mang Vocal by Mi Mang Composed by Mi Mang Produced by Mi Mang Mixed & Mastered by Mi Mang
03 WEDNESDAY (mirror)
ALL Instruments Play by Mi Mang Vocal by Mi Mang Composed by Mi Mang Produced by Mi Mang Mixed & Mastered by Mi Mang
04 THURSDAY (friends)
ALL Instruments Play by Mi Mang Bass by Kihyeondo Vocal by Mi Mang Composed by Mi Mang Produced by Mi Mang Mixed & Mastered by Mi Mang
05 FRIDAY (everything)
ALL Instruments Play by Mi Mang Vocal by Mi Mang Composed by Mi Mang Produced by Mi Mang Mixed & Mastered by Mi Mang
06 SATURDAY (access)
ALL Instruments Play by Mi Mang Vocal by Mi Mang Composed by Mi Mang. Produced by Mi Mang Mixed & Mastered by Mi Mang
07 SUNDAY (sunset)
ALL Instruments Play by Mi Mang Composed by Mi Mang Produced by Mi Mang Mixed & Mastered by Mi Mang
ARTWORK BY RJUN |
2024년 12월에 발매된 싱어송라이터 김푸름의 첫 번째 정규 앨범 <‘푸르스름’ 언플러그드>가 Remix 버전 미니 앨범으로 새롭게 발매될 예정입니다.
이번 미니 앨범은 정규 앨범 중 몇 곡을 선곡하여 수록곡들 각자의 음악 색과 잘 어울리는 프로듀서들을 섭외하여 새롭게 해석된 버전으로 공개되며, 앨범의 첫 번째 선공개 곡 ‘두 배로 야단’은 바이올리니스트 강이채님의 편곡으로 원곡의 어쿠스틱한 분위기에서 몽환적인 사운드로 재탄생되었습니다.
|
Credits |
Recorded by 이상철(Vocal) @TONE Studio Seoul
Digital Edited by 양하정 @TONE Studio Gogi Mixed & Mastered by 김대성 @TONE Studio Seoul
Lyrics & Composed by 김푸름 Arranged by 강이채
Chorus 김푸름 E.Guitars, Piano&Keyboards 강이채 E.Bass, Rhythm Programming 조후찬
Executive Producer 김대성 Photo & Artwork by 강미란 A&R 안채영 |
01SYNTH’s Full-Length Album
“ N e x t L e v e l ”
[Genre] Electronic. Drum and Bass. Jungle. Liquid DnB. Breakcore.
[Track List] 1. 0122 2. Next Level (Title) 3. Abyss 4. Paradox 5. Flux 6. Circle 7. Question 8. 99 9. Time 10. Re
All Songs Composed by 01SYNTH
|
Credits |
Produced by 01SYNTH
Composed by 01SYNTH Mixed by 01SYNTH Mastered by 01SYNTH, St.Emilio Artwork by 01SYNTH Distributor POCLANOS |
All Produced & Mixed & Mastered by bojvck
Album Cover Character by YOON3
|
Credits |
All Produced & Mixed & Mastered by bojvck |
몰라시스템의 두 번째 싱글 [Amoeba]
수록곡 ‘다 사실이네’는 지나간 감정의 잔해 속에서, 마지막으로 마주하고 싶은 순간을 노래한다. 타이틀곡 ‘Amoeba’는 소용돌이치는 감정의 흐름 속에서도 ‘지금의 나’를 온전히 바라보려는 용기를 담고 있다.
우리가 함께 나누는 짧지만 소중한 순간들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영원의 한 조각이 되기를 바란다.
|
Credits |
Written by molar system Recorded & Performed by molar system Composed by molar system Arranged by molar system Produced by molar system Album artwork by molar systemMixed by PopcornTvGulchan Mastered by PopcornTvGulchan |
2025년 2월, 레인보우99의 방콕 여행기록
‘BKK’
2025년 2월 말, 레인보우99는 포크 듀오인 ‘모허’의 세션 연주로 방콕에 가게 됩니다. 태어나 처음 가보게 된 태국 방콕에서의 이미지들은 너무도 강렬했고, 일주일 정도의 시간동안 네 곡이 완성되고 녹음되었습니다.
Baan Suan
방콕 외곽에 위치한 아직 개발되지 않은 동네의 이름입니다. 처음 방콕에 도착해서 지낸 곳인데, 너무도 차분하고 조용한 동네였지만 동물들은 하루 종일 소리를 멈추지 않았어요. 평화로움 안에 동물들의 비트가 가득했습니다.
BIKE
방콕에서 가장 많이 본 교통수단은 오토바이 였습니다. 특히 처음 지냈던 숙소는 대부분의 길이 도로가 아닌 농로여서, 지역주민들은 대부분 오토바이 택시를 이용하더라고요. 방콕 전체를 거미줄처럼 이어지게 하는 오토바이를 생각하면서 만들어본 음악입니다.
RIVER
방콕의 두 번째 숙소는 방콕을 가로지르는 차오프라야 강에 위치한 호텔이었습니다. 숙소에서 강과 도시를 바라보고 있다보니 왜인지 시조를 읊어야 할 것 같은 기분이 들었고, AI에게 시조를 부탁해 완성된 시조를 현대시로 바꾸어 태국어로 옮겨봤습니다. 재미있는 작업이었어요.
TCDC
TCDC는 태국창조디자인센터의 줄임말입니다. 포크듀오 ‘모허’가 참여한 페스티발 ‘Bangkok Music City’의 본부 같은 느낌이기도 한 공간이었는데, 운이 좋게도 그 공간을 투어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고, 투어의 마지막 옥상에서 둘러본 방콕의 모습이 숙소에서도 남아 ‘TCDC’라는 곡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태국, 방콕의 느낌처럼 재미있는 음악들입니다. 가벼운 마음으로 들어주세요.
|
-credit-
produced by RAINBOW99
RAINBOW99 | programing, guitars, synth, sound design
all tracks composed, arranged by RAINBOW99 all tracks recorded & mixed by RAINBOW99 mastered by RAINBOW99 at MUI@BKK
artworks by G99(Kim Gahyun)
——————————————————————————
rainbow99.net instagram.com/rainbow99gaze rainbow99.bandcamp.com soundcloud.com/therainbow99 facebook.com/rainbow99.net |
[initiating identity check…]
> am i dancing like a human everybody. > am i moving like a human everybody. > am i grooving like a human everybody.
[syntax error sp-404: emotion not found] [heartbeat simulation: unstable] [system override: soul detected] [transmission noise…///…]
— SIGNAL LOST —
|
Credits |
Produced by ME-41 Units
Written by ME-41 Units Lyrics by ME-41 Units
shindrum; DRUMS, PROGRAMMING, TR-909 noogi; BASS hola; RHYTHM GUITAR slowminsteady; SOUND ADDITIVE haeun; SYNTH BRASS junp; VOCODER, PERCUSSION, FX, KEYBOARDS
Recorded by shindrum at RSS HOUSE, Ilsan, Korea (10383) Mix & Mastered by Aepmah at AFMLaboratory, Seoul, Korea Album Artwork by HAEUN Executive Produced by RSS RECORDS (RhythmSomangSarang) |
새로운 음악적 시작, 끝없는 에너지! ‘Music Numbering Compilation (MNC)’ 프로젝트!
앨범명: N.4
Are you ready to feel the hype?
|
Credits |
Word Bullet
Composed by [Ji Soo Park (Chapter M)] Lyrics by [Ji Soo Park (Chapter M)] Arranged by [Ji Soo Park (Chapter M)] Vocal by [NIve] Chorus by [NIve] Piano by [Ji Soo Park (Chapter M)] Bass by [Ji Soo Park (Chapter M)] Drum by [Ji Soo Park (Chapter M)] Synth by [Ji Soo Park (Chapter M)] Programming by [Ji Soo Park (Chapter M)]
Mixed by [Chapter M Studio] Recorded by [Chapter M Studio] Mastering by [Chapter M Studio]
Soldier
Composed by [Ji Soo Park (Chapter M)] Lyrics by [Ji Soo Park (Chapter M)] Arranged by [Ji Soo Park (Chapter M)] Vocal by [NIve] Chorus by [NIve] Piano by [Ji Soo Park (Chapter M)] Bass by [Ji Soo Park (Chapter M)] Drum by [Ji Soo Park (Chapter M)] Synth by [Ji Soo Park (Chapter M)] Programming by [Ji Soo Park (Chapter M)]
Mixed by [Chapter M Studio] Recorded by [Chapter M Studio] Mastering by [Chapter M Studio] |
나오주성의 데뷔 앨범 [사양]은 그가 겪은 상실들 가운데서 어렵게 발견한 희망과 사랑을 표현한 작품이다. “사양斜陽”은 저녁때의 저물고 있는 해를 일컫는 단어다. 곧 사라질 노을은 긴 밤을 앞두었기에 복잡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서쪽 녘으로 잦아든 해가 주위를 붉게 물들면 짐짓 핏빛 같지만, 알고 보면 해는 하늘 끝에 가닿을수록 크고 둥글어진다. 나오주성은 자신이 감당해야만 했던 실존적 애환, 그러나 끝내 놓지 않았던 희망을 어둠에 잠식되기 직전의 핏빛이지만 더더욱 둥근 [사양]에 빗대어 앨범을 만들었다.
살다 보면, 살아가다 보면, 속수무책으로 맞닥뜨리게 되는 그런 순간들이 있다. 그저 지나가기를, 흘러가기를 바라고 기다릴 수밖에 없는 그런 순간들. 산다는 것은 단지 ‘생’이나 ‘삶’ 같은 단정한 한 음절의 단어가 결코 아니다. 그것은 종종 살아가는 ‘일’이 되어 고되고 벅차다. 숨차고 무겁다. 이죽거리며 주먹을 휘두르고 고래고래 악을 쓰게 된다. 그때, 삶이 분노로 잠식되려던 찰나, 어둠이 몰려오는 어스름한 시간, 저녁에 지는 햇빛 주위로 붉은빛이 물든다. 나오주성은 서녘으로 기울기 시작한 사양에서 오히려 실낱같은 희망을 발견하고 묻는다. 과연 저무는 해는 몰락하는 중이었던가.
나오주성은 사양을 닮은 소리 하나하나를 손수 빚어 올렸다. 어딘가 모르게 의기소침해 보이지만 말갛다. 신스 소리와 관악기 소리가 함께하면서 만들어내는 불편하지만 조화로운 감각은 절망적인 상황에 놓인 사람에게 떠오르는 감정과 생각처럼 슬금슬금 다가와 긴 여운을 남기기도, 가볍게 훑고 지나가기도 한다. 진득함 가운데 예기치 못하게 배치된 예쁜 소리는 우울감 안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인간의 모순성처럼 느껴진다. 애써 웃으며 농담을 건네는 듯한 위트가 절망 안에서 살아남기 위해 미소 지어 보는 듯한 발버둥으로 보여 안쓰러운 마음이 생기기도 한다.
나오주성은 해가 지고 밤이 오면 다시 또 해가 뜨는 그런 선형적인 서사에서 비롯되는 사적인 감정보다는, 끝에 걸린 해를 마주했을 때처럼 일순 사로잡히게 되는 이중적이고 양면적인 감각들을 섬세하게 벼려내어 음악에 담았다. 그럼에도 서녘 끝에 잠시 머물던 사양은 끝끝내 저 너머로 사라질 테고, 상실은 언제고 또다시 찾아올 것이다. 하지만 나오주성은 지는 해를 여기 이 음반에 붙잡아 두었다. 적어도 그의 음악이 흘러나오는 동안만큼은 사양은 그지없이 그곳에 그대로 있을 테다.
-트왱(음악 디렉터)
|
Credits |
Album Producer Naojusung
Tonmeister Aepmah Studio Director Twang Recorded by Park Dong jin @ AFM Laboratory (Track 6) Mixed by Aepmah @ AFM Laboratory Mastered by Aepmah @ AFM Laboratory Cover Artwork Hwang Yoochae Composer Naojusung ,김뜻돌 (track6) Arranger Naojusung,gimjonny(track2,3,6) ,Qim Isle(track2,6),Jclef(track 2,6)Oon Kyum(Track8) Writer 김뜻돌 (track6) Electric Guitar by gimjonny(track2,3,6) Electric Bass by gimjonny (track2,3,6) Oon Kyum(Track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