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pe End Mind Dead


 

Hope End Mind Dead는

감정이 무너진 이후에도

이끝내 살아나는 마음의 결을 따라가는 앨범이다.

 

고요함 속에도 긴장이 흐르고,

곡마다 감정은 다른 속도와 방향으로 흔들린다.

 

Die Boy는 감정의 파동 끝에서,

여전히 요동치는 마음의 이야기를 꺼낸다.

 

Credits
Music Credits

 

Produced by Die Boy, Son Gun, Song Si Wook

Composed by Die Boy, Son Gun, Song Si Wook

Arranged by Die Boy, Son Gun, Song Si Wook

Additional Arrangement by Jettoyz

Lyrics by Die Boy

 

Vocals by Die Boy

Guitar by Son Gun, Die Boy

Keys by Song Si Wook, Lee Seung Eun

 

Mixed by Die Boy

Mastered by Calbi/Fallone @ Sterling Sound

 

Interseason


 

Interseason

 

1. Django

누군가의 기대에 맞추고, 마음에 들기 위해 스스로를 다듬던 시간들. 그 모든 노력의 끝에, 나는 점점 망가지고 있었다.

2. 소홀하자

너무 차갑지도, 너무 뜨겁지도 않게

 

 

Credits

1. Django

 

Composed by Kangziwon

Lyrics by Kangziwon, 조세연

Arranged by Kangziwon, 우희준

 

Keys by Kangziwon

Synths by Kangziwon

Bass by 우희준

Drum by 우희준

Choir by Kangziwon, 조세연, 문지혁

Strings by 남근형, 한별, 박찬영

 

String Arrangement by Kangziwon

 

Vocal, Keys, Choir Recorded by Kangziwon @ Uprightroom

Drums Recorded by 배도협 @ baedohyub

Rhodes Recorded by schpes4 @ ihatestudio

String Recorded by 제휘 @ BUNKER

 

 

 

2. 소홀하자

 

Composed by Kangziwon

Lyrics by Kangziwon

Arranged by Kangziwon

 

Piano by Kangziwon

Bass by Kangziwon

Chorus by Kangziwon

Strings by 남근형

 

String Arrangement by Kangziwon

 

Piano, String Recorded by Kangziwon @ Uprightroom

Vocal Recorded by 제휘 @ BUNKER

 

 

Track 1 Mixed by 곽은정 @ KWAK STUDIO

Track 2 Mixed by 제휘 @ BUNER

 

All Tracks Mastered by bk! @AB ROOM

 

 

Artwork by 노송희

 

A&R by 장세훈

 

눈 떠보니 세상이었고


 

눈 떠보니 세상이었고(24.04.26)

 

누구든 나를 대신할 수는 있지만 누구도 나를 대신 살아줄 수는 없는 세상.

살아가고 있는 모든 이들에게 조심스럽게 건네는 마음입니다.

 

[Credits]

 

Lyrics & Composed by 무이야드(mooee yard)

Arranged & Produced by 이대봉 & 무이야드(mooee yard)

 

Vocal & Chorus & whistle 무이야드(mooee yard)

A.Guitar & Second E.Guitar & Bass & Midi Programming by 이대봉

Drums 문산수

E.Guitar 김두하

 

Drums & Vocal Recorded by JMstudio

Mixed by 이대봉

Mastered by 이재수 @Sonority Mastering

 

A&R & Artwork 정예림

Marketing 김귀랑

 

Mermaid


 

싱어송라이터 니쥬에서 ’Josi Young’으로 이름을 바꾸고 처음 발표하는 싱글 Mermaid는

인어공주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곡입니다.

더 이상 목소리를 잃지 않고, 스스로를 지키는

독립적이고 진취적인 인어공주를 상상하며 이 노래를 썼습니다.
Mermaid is the first single released under my new name, Josi Young,

after leaving behind my former identity as nijuu.

Inspired by The Little Mermaid,

I reimagined her as an independent and self-protecting figure—

a mermaid who no longer gives up her voice,

but learns to stand on her own.

 

Credits
Music by Josi Young, frankie kind
Words by Josi Young, frankie kindProduced by Josi Young, Olly Liu

1st Guitar by Josi Young
2nd Guitar by Olly Liu

Bass by George Davis
Drums by frankie kind

Midi Programming by Josi Young
Mixed by David Younghyun Kim
Mastered by Sean Yun @Hia Studio, London
Artwork by Jihun Lee
Special Thanks to God

 

Windy


 

소리를 따라 흘러가며

부서질 듯, 가볍게

그러면서도 분명하게

지금의 나를 노래해

 

Credits
Lyrics by 장수빈

Composed by 장수빈 , Ji Soo Park (Chapter M) , l.vin (Chapter M)

Arranged by Ji Soo Park (Chapter M)

Piano by Ji Soo Park (Chapter M)

Synthesizer by Ji Soo Park (Chapter M)

Programming by Ji Soo Park (Chapter M)

Electric Guitar by l.vin (Chapter M)

Chorus by 장수빈

Mixed&Mastered by Little Bunny’s House.

 

BKK


 

2025년 2월, 레인보우99의 방콕 여행기록

 

‘BKK’

 

2025년 2월 말, 레인보우99는 포크 듀오인 ‘모허’의 세션 연주로 방콕에 가게 됩니다. 태어나 처음 가보게 된 태국 방콕에서의 이미지들은 너무도 강렬했고, 일주일 정도의 시간동안 네 곡이 완성되고 녹음되었습니다.

 

Baan Suan

 

방콕 외곽에 위치한 아직 개발되지 않은 동네의 이름입니다. 처음 방콕에 도착해서 지낸 곳인데, 너무도 차분하고 조용한 동네였지만 동물들은 하루 종일 소리를 멈추지 않았어요. 평화로움 안에 동물들의 비트가 가득했습니다.

 

BIKE

 

방콕에서 가장 많이 본 교통수단은 오토바이 였습니다. 특히 처음 지냈던 숙소는 대부분의 길이 도로가 아닌 농로여서, 지역주민들은 대부분 오토바이 택시를 이용하더라고요. 방콕 전체를 거미줄처럼 이어지게 하는 오토바이를 생각하면서 만들어본 음악입니다.

 

RIVER

 

방콕의 두 번째 숙소는 방콕을 가로지르는 차오프라야 강에 위치한 호텔이었습니다. 숙소에서 강과 도시를 바라보고 있다보니 왜인지 시조를 읊어야 할 것 같은 기분이 들었고, AI에게 시조를 부탁해 완성된 시조를 현대시로 바꾸어 태국어로 옮겨봤습니다. 재미있는 작업이었어요.

 

TCDC

 

TCDC는 태국창조디자인센터의 줄임말입니다. 포크듀오 ‘모허’가 참여한 페스티발 ‘Bangkok Music City’의 본부 같은 느낌이기도 한 공간이었는데, 운이 좋게도 그 공간을 투어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고, 투어의 마지막 옥상에서 둘러본 방콕의 모습이 숙소에서도 남아 ‘TCDC’라는 곡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태국, 방콕의 느낌처럼 재미있는 음악들입니다. 가벼운 마음으로 들어주세요.

 

-credit-

 

produced by RAINBOW99

 

RAINBOW99 | programing, guitars, synth, sound design

 

all tracks composed, arranged by RAINBOW99

all tracks recorded & mixed by RAINBOW99

mastered by RAINBOW99 at MUI@BKK

 

artworks by G99(Kim Gahyun)

 

——————————————————————————

 

rainbow99.net

instagram.com/rainbow99gaze

rainbow99.bandcamp.com

soundcloud.com/therainbow99

facebook.com/rainbow99.net

 

넌센스 (feat. zoey)


 

오늘 너와 내겐 넌센스뿐이야!

 

Credits
Lyrics by Haru Kid, zoey

Composed by Haru Kid, zoey, Song Eunsuk

Arranged by Song Eunsuk

Mixed and Mastered by CRDL at UTMOST sound

Cover Artwork by mercheeda

 

Embraced


 

“When you touch me, I feel you.

When you call me, I see you.”

 

[Credit]

 

Song & Lyrics by 권그린 (GREENY)

Produced by 권그린 (GREENY)

 

Vocals & Synths by 권그린 (GREENY)

Drums & Bass by권그린 (GREENY)

Piano by 정선 (Jung Sun)

Guitars by envy the moon

 

Mixed by 권그린 (GREENY)

Mastered by envy the moon

 

Publishing by POCLANOS

 

acid sugar


 

노이즈. 첫 곡 ‘uroboros’를 재생하면 기타 노이즈가 들려온다. ‘노이즈’를 우리말로 풀면 ‘소음’이 되지만, 이를 결코 소음이라고 쓰고 싶지는 않다. 이 아름다운 소리를 어떻게 소음이라 칭하겠는가. Leaveourtears는 노이즈를 이용해 무드를 만들 줄 알고, 그 무드는 세상에 존재하는 가장 높은 곳에 가 닿을 수도, 또 가장 아래로까지 향할 수도 있다. 사람의 마음에도 다르지 않다. 가장 충만한 기분을 느끼게 할 수도 있고, 마음의 심연에 이를 수도 있다.

 

‘우리의 눈물을 남기고’라는 뜻을 가진 1인 밴드. Leaveourtears는 혼자서 모든 곡을 만들고 연주한다. 그는 자아가 형성될 무렵 들은 스티브 밀러 밴드의 ‘Winter Time’에 흠뻑 빠져 있었다고 한다. Leaveourtears가 들려주는 슈게이즈 음악과 스티브 밀러 밴드의 전통적인 록 음악 사이엔 커다란 강이 놓여있는 것 같지만, ‘Winter Time’에 담겨 있는 ‘우울하고 푹 꺼지는’ 정서는 그대로 Leaveourtears의 감정을 건드렸다. 그는 그런 음악을 해야 하는 사람이었다. 우울하고 푹 꺼지는 무언가.

 

슈게이즈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들려온다. 1980년대 시작해 1990년대 초까지 인기를 얻다가 ‘사라졌다’고 생각했던 장르. 그 사라졌던 음악을, 그 시대를 경험하지 못한 한국의 젊은이들이 주도해 다시 소환하는 모습은 경이로웠다. 하나의 무브먼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무브먼트 안에 Leaveourtears도 있었다. 2024년 발표한 첫 앨범 [soft meltdown]에는 그가 빠져있던 우울하고 푹 꺼지는 소리가 담겨 있었다. 거칠게 말해 노이즈와 멜로디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는 슈게이즈의 묘미가 담겨 있었다.

 

사운드로서의 노이즈가 존재한다면 멜로디는 정서적인 것에 더 가깝다. 노이즈와 멜로디라는, 어울려 보이지 않는 것들이 합일을 이룰 때 장르로서의 슈게이즈는 비로소 폭발한다. [soft meltdown]은 서서히 타올라 결국 폭발했다. 폭발의 여운이 다 가시지 않은 2025년 Leaveourtears는 또 한 장의 앨범을 준비했다. [acid sugar]. ‘환각 설탕’쯤으로 해석해야 할까. 슈게이즈와 포스트 록이 품고 있는 환상과 몽환의 세계가 새롭게 펼쳐지고 있었다.

 

Leaveourtears의 가장 큰 미덕은 그가 철저한 앨범 아티스트라는 점이다. 첫 결과물을 풀렝쓰 정규 앨범으로 낸 Leaveourtears는 짧은 간격으로 두 번째 앨범을 완성했다. [acid sugar]의 첫 곡은 ‘uroboros’. 뱀이나 용이 자신의 꼬리를 먹음으로써 동그란 형태를 이루는 고대 그림을 일컫는다. 이는 한 장의 앨범 안에서도 작동한다. 앨범의 마지막 곡은 다시 첫 곡과 연결되고, 시작은 곧 마지막과 이어져있다. 앨범을 완성하며 서사를 쌓고, 트랙 배치에 고심하는 이유다. 개별 싱글이 감히 이루어내지 못할 세계다.

 

‘uroboros’에서부터 뿌옇게 들려오는 기타 노이즈는 앨범 전체를 지배한다. ‘abyss’처럼 모호하게 다가서다가 몰아치는 연주에서는 노이즈를 제대로 이용한다는 확신을 주기도 한다. 앨범 전체가 하나의 곡처럼 일관성을 갖고 있지만 ‘greedy eyes’의 왜곡된 서정, ‘adorable’의 처연한 정서는 각기 빛난다. 처음 이 노이즈가 아름답다고 말했던 이유다. Leaveourtears가 원곡과 짝을 이루는 ‘slowed version’을 함께 담은 건, 이 음악에 ‘사운드’라는 요소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좋은 음악은 상상하게 만든다. [acid sugar]는 계속해서 상상하게 한다. ‘심연(abyss)’을 상상하게 하고, ‘탐욕스러운 눈(greedy eyes)’에 대해 상상하게 한다. 우울하고 푹 꺼진 것들에 마음을 기울이던 이가 만들어내는 ‘사랑(adorable)’의 표현에 관해 상상하게 한다. 흐릿하게 들리는 가사에 귀 기울이며 낱말 하나하나를 살펴보게 한다. 새벽 4시에 이 음악을 듣고 있다. 밤과 낮, 듣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감상이 달라지는 신비로운 음악이지만, 기저에 깔려있는 아름다움은 변함이 없다. 이 아름다움은 마음의 가장 높은 곳부터 가장 낮은 곳까지 이른다. / 김학선(대중음악평론가)

 

Credits
1. uroboros

Produced by Leaveourtears

Composed by Leaveourtears

Arranged by Leaveourtears

Guitar Leaveourtears

Bass Leaveourtears

Drum Leaveourtears

Mixed by Leaveourtears

Mastered by Moody Shot

 

2. abyss

Produced by Leaveourtears

Composed by Leaveourtears

Arranged by Leaveourtears

Lyrics by Leaveourtears

Guitar Leaveourtears, 정적

Bass Leaveourtears

Drum Leaveourtears

Chorus 공원

Mixed by Leaveourtears

Mastered by Moody Shot

 

3. greedy eyes

Produced by Leaveourtears

Composed by Leaveourtears

Arranged by Leaveourtears

Lyrics by Leaveourtears

Guitar Leaveourtears

Bass Leaveourtears

Drum 배도협

Chorus 공원

Mixed by Leaveourtears

Mastered by Moody Shot

 

4. adorable

Produced by Leaveourtears

Composed by Leaveourtears

Arranged by Leaveourtears

Lyrics by Leaveourtears

Guitar Leaveourtears, 정적

Bass Leaveourtears

Drum Leaveourtears

Synth Naiv

Chorus 공원, T.won

Vocal editing T.won

Mixed by Leaveourtears, Moody Shot

Mastered by Moody Shot

 

5. uroboros (slowed)

Produced by Leaveourtears

Composed by Leaveourtears

Arranged by Leaveourtears

Guitar Leaveourtears

Bass Leaveourtears

Drum Leaveourtears

Mixed by Leaveourtears

Mastered by Moody Shot

 

6. abyss (slowed)

Produced by Leaveourtears

Composed by Leaveourtears

Arranged by Leaveourtears

Lyrics by Leaveourtears

Guitar Leaveourtears, 정적

Bass Leaveourtears

Drum Leaveourtears

Chorus 공원

Mixed by Leaveourtears

Mastered by Moody Shot

 

7. greedy eyes (slowed)

Produced by Leaveourtears

Composed by Leaveourtears

Arranged by Leaveourtears

Lyrics by Leaveourtears

Guitar Leaveourtears

Bass Leaveourtears

Drum 배도협

Chorus 공원

Mixed by Leaveourtears

Mastered by Moody Shot

 

8. adorable (slowed)

Produced by Leaveourtears

Composed by Leaveourtears

Arranged by Leaveourtears

Lyrics by Leaveourtears

Guitar Leaveourtears, 정적

Bass Leaveourtears

Drum Leaveourtears

Synth Naiv

Chorus 공원, T.won

Vocal editing T.won

Mixed by Leaveourtears, Moody Shot

Mastered by Moody Shot

 

Album Art / Pieces

Drum Recording at Surf!recordings

Liner Note / 김학선 (대중음악평론가)

A&R / A

 

Distributed by POCLANOS

 

어느새 꽃


 

어느새, 꽃 피어난다.

 

[Credits]

 

어느새 꽃 (I Bloom)

 

 

Lyrics by 이라온, Ji Soo Park (Chapter M)

Composed by Ji Soo Park (Chapter M)

Arranged by Ji Soo Park (Chapter M)

 

Vocal by 이라온

Chorus by 이라온

Piano by Ji Soo Park (Chapter M)

Guitar by Ji Soo Park (Chapter M)

Synthesizer by Ji Soo Park (Chapter M)

Programming by Ji Soo Park (Chapter M)

 

 

Vocal directed by Ji Soo Park (Chapter M), William Kim @ RODV Studio

Recorded by 나수민 @ BAKE SOUND, William Kim @ RODV Studio

Digital editing by William Kim @ RODV Studio

Mixed by 정진 @ J’s Atelier

Mastered by 권남우 @ 821 Sound Mastering

 

Album Artwork & Animation 문수진

 

Executive Producer RODV, Chapter M

Producer 이라온, NIve

Creative Director 이라온

Supervisor 장태웅 @ RODV

Artist Management 이우람 @ RODV

Visual Director LEA

 

The Park


 

The Park : 공원

 

저마다 바쁜 발걸음, 벤치에 몸을 기대고 고뇌를 삼키는 사람들.

그렇게 공원속 우리는, 날아온 까마귀의 눈엔 그저 평화롭고 안온할 뿐이다.

가끔은 동물의 시야 속 배경처럼 스쳐 지나가는 존재처럼

우리는 조금 덜 치열하게 살아도 되지 않을까.

 

Credits
All Tracks produced by TOMO

 

1. Tree

Guitar by TOMO

Mixed by TOMO

Mastered by 결 (KYUL)

 

2. Spring Coffee

Guitar by TOMO

Mixed by TOMO

Mastered by 결 (KYUL)

 

3. Observer

Keyboard by TOMO

Mixed by TOMO

Mastered by 결 (KYUL)

 

4. Back to Origin

Guitar by TOMO

Keyboard by TOMO

Mixed by TOMO

Mastered by TOMO

 

5. Pigeon

Keyboard by TOMO

Mixed by TOMO

Mastered by TOMO

 

6. Dandelion

Keyboard by TOMO

Mixed by TOMO

Mastered by 결 (KYUL)

 

7. The Cynical Child

Guitar by TOMO

Keyboard by TOMO

Mixed by TOMO

Mastered by TOMO

 

8. Internal Toss

Keyboard by TOMO

Mixed by TOMO

Mastered by TOMO

 

9. Where Midnight Pauses

Keyboard by TOMO

Mixed by TOMO

Mastered by TOMO

 

10. Realism

Guitar by TOMO

Mixed by TOMO

Mastered by 결 (KYUL)

 

Album cover by TOMO

Photo by 서이제

 

am i shaking like a human ?


 

[initiating identity check…]

> am i dancing like a human everybody.

> am i moving like a human everybody.

> am i grooving like a human everybody.

 

[syntax error sp-404: emotion not found]

[heartbeat simulation: unstable]

[system override: soul detected]

[transmission noise…///…]

 

— SIGNAL LOST —

 

Credits
Produced by ME-41 Units

Written by ME-41 Units

Lyrics by ME-41 Units

 

shindrum; DRUMS, PROGRAMMING, TR-909

noogi; BASS

hola; RHYTHM GUITAR

slowminsteady; SOUND ADDITIVE

haeun; SYNTH BRASS

junp; VOCODER, PERCUSSION, FX, KEYBOARDS

 

Recorded by shindrum at RSS HOUSE, Ilsan, Korea (10383)

Mix & Mastered by Aepmah at AFMLaboratory, Seoul, Korea

Album Artwork by HAEUN

Executive Produced by RSS RECORDS (RhythmSomangSara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