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dits |
Lyrics by sewoong Composed by sewoong Arranged by sewoong Produced by sewoongMixed by sewoong Mastered by Cheon “bigboom” Hoon at SONICKOREA (Assist.Shin Sumin)
Cover artwork design by Kipyo |
포크라노스
Credits |
Lyrics by sewoong Composed by sewoong Arranged by sewoong Produced by sewoongMixed by sewoong Mastered by Cheon “bigboom” Hoon at SONICKOREA (Assist.Shin Sumin)
Cover artwork design by Kipyo |
Credits
Vocal & Chorus by Jhnovr piano by 앤 (En) Guitar by 김한영 Bass by 이형섭 Drum by mikey!
Mixed, Mastered by 앤 (En) |
유래 (Yoorae) <Te>
유래의 <Te>는 큰 간격을 가진 두 시간대의 레이어로 구성된다. 2021년의 라이브 퍼포먼스 레코딩은 여섯 개의 트랙으로 분할되어 새로이 호출된다. 이 호출은 오래된 폴더에서 프로젝트 파일을 발굴하여 다시 작업하는 과정이 아니라, 당시의 레코딩 파일을 하나의 샘플로 활용한 결과이다. 일종의 샘플링인데, 샘플링은 자연스레 현재 트랙의 외부를 내부로 삽입한다. 과거에 녹음된 음원은 파묘되어 새로운 트랙을 위한 요소로 변형된다. 따라서 <Te>는 불연속적이다. 멈춰둔 작업의 갱신이 아니라, 완결된 시간의 갑작스런 출몰이기 때문이다. 2021년과 2025년이 층을 이루며 두 겹의 지층을 가진다. 그러나 그 층 사이, 2021년과 2025년의 시공간적 간극에서는 다음과 같은 깊은 공동이 발견된다: 불신, 망각, 사후적 회고. 완결된 작업을 다시 미완결의 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확신을 위한 회고이다. 그렇다면 확신이란 무엇인가? 확신은 완결을 덮는 마스크이다. 완결은 확신 없이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확신이 불신으로 전환된다면, 완결도 미완결의 상태로 회귀한다.
뇌에 당시의 정서를 새기는 데에는 청각만한 게 없다. 과거 뇌에 새겨진 홈과 지금 들리는 파형의 모양이 일치한다면, 뇌는 곧바로 새겨진 홈에 담긴 기억과 정서 또한 송출한다. 그러나 유래는 그 위에 씌워진 완결의 마스크를 벗겨내고, 다시 최신의 마스크를 덮어 씌운다. 열화가 아닌 레이어링으로. 따라서 2021년의 청각과 그 정서의 데이터는 유령처럼 으스스하게 드러나지 않고 <Te>의 견고하고 명확한 토대로 작동한다. 토대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그 위에 구축된 것이 무너지지 않게 버틴다. 기억, 그리고 체화된 감각이라는 토대 없이는 지금의 내재적 자기 인식 또한 있을 수 없다. 간단하게 (그리고 진부하게) 쓰자면, 과거 없이는 현재도 있을 수 없다는 말이다.
<Te>의 모든 트랙 제목은 ‘테’라는 발음을 갖는 각기 다른 기호의 유니코드 표기이다. 각 기호는 상이한 뜻을 갖지만, 그 뜻은 단지 감각적 분위기로만 환기된다. 특정한 이미지를 연상케 하는 제목의 숨은 뜻은 스스로를 완전히 바깥으로 내놓지 못한다. (그러나 내놓는다 하더라도, 그 순간 음악은 음악이 아닌 구술이 될 뿐이다.) 유래는 각 트랙의 이미지를, 작업의 완결을 위한 마스크로 사용한다. 이로서 과거는 토대로 남고, 가려진 과거라는 토대는 현재와 미래에 자신을 기꺼이 내어준다. ‘Te’라는 기호는 의미없음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오로지 감각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유래의 <Te>는 다중의 레이어를 갖는다. 과거-마스크-현재-마스크.
시간의 흔적과 이미지의 기호/의미(없음)를 재료로 삼는다면 ‘시네마틱’해질 수밖에 없다. 과거가 아무리 내밀하더라도, 그것은 그의 작업에 견고한 토대로서 징후적일 수밖에 없고 항상 그에게 몽타주의 재료로 남기 때문이다. 결국 <Te>는 그에게 지극히 개인적인 과거의 몽타주이면서, 흘러가는 시간의 비가역성이라는 운명에 순응하는, 다음을 위한 과정이다.
(글. 윤태균)
|
Credits |
Written, Produced, Recorded, Mixed, Mastered by Yoorae
Cover Art by Nose Studio |
‘무수무수’는 도봉산 자락 아래 위치한 작은 마을 ‘무수골’이라는 지명에서 가져왔습니다.
없을 무 (無), 근심 수 (愁), 한마디로 걱정 없는 마을이라는 뜻 입니다. 산과 계곡의 푸르름과 그 안에 사는 동식물들이 전해주는 감각을 오롯이 느낄 수 있고 산책을 하는 것 만으로도 근심 걱정이 환기되며 에너지를 주는 멋진 곳입니다. 이곳에서 지내며 보고 느낀 것들을 곡으로 만들고 연주해 보았습니다. 여러분들의 무수골을 상상하며 들으시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시면 좋겠습니다. 모두 무수하시길 바랍니다.
1. 무수무수 볕 좋은 날 콧노래를 흥얼거리며 긴 산책을 나간다. 가벼운 몸과 마음으로.
2. 버드왓칭 이곳에서는 항상 많은 종류의 새를 마주친다. 물 위의 오리와 왜가리, 나무가지엔 참새와 동고비, 멋진 울음을 가진 직박구리와 까마귀. 모두 저마다 다른 움직임으로 세상에 존재한다. 문득 하늘을 바라보니 새하얀 백로 한마리가 우아한 날개짓으로 석양을 향해 유유히 날아가고 있다.
3. 빠이 썬 하이 문 해가 산 속으로 숨어든다. 하늘은 부드럽게 빛과 색을 바꿔가며 아름다운 광경을 만들어내고, 나는 그 모습을 넋을 잃고 바라본다. 마침내 어둠이 하늘을 덮자 슬며시 떠오른 달은 하얀 빛을 사방으로 비춘다. 산에서는 달을 반기는 기운들이 하나 둘 피어나고 빛과 함께 내 주변을 맴돌며 춤을 춘다.
4. 무수무수 (Dub mixed by Jun Bak) 집으로 돌아가는 길, 분명히 지나왔던 길이지만 전혀 낯설고 새롭게 느껴진다.
|
Credits |
Track 1. 무수무수
Composed – 박첨지 Arranged – 박첨지, 강진현, 류재민, 한민영 Guitars – 박첨지 Bass – 강진현 Drum – 류재민 Percussions – 한민영 Organ, Synth – 박첨지
Track 2. 버드왓칭 Composed – 박첨지 Arranged – 박첨지, 강진현, 류재민, 한민영, allkind Guitars – 박첨지 Bass – 강진현 Drum – 류재민 Percussions – 한민영 Electric Piano, Synth – allkind, 박첨지
Track 3. 빠이 썬 하이 문 Composed – 박첨지 Lyrics – 박첨지 Arranged – 박첨지, 강진현, 류재민, 한민영, allkind Guitars, Vocal – 박첨지 Bass – 강진현 Drum – 류재민 Percussions – 한민영 Electric Piano, Synth – allkind, 박첨지
Track 4. 무수무수 (Dub mixed by Jun Bak) Composed – 박첨지 Arranged – 박첨지, 강진현, 류재민, 박준, 한민영 Guitars – 박첨지 Bass – 강진현 Drum – 류재민 Percussions – 한민영 Organ, Synth – 박첨지
Recording – 류호건 @Studio Tardis, 박첨지, allkind Track 1,2,3 Mixed – 류호건 @Studio Tardis Track 4 Dub Mixed – 박준 @Bahnya Lab Mastered – 류호건 @Studio Tardis Album Designed – 깜쯔 Publishing by POCLANOS |
“레이블에서 독립 후 진초이(ZIN CHOI)가 발표하는 첫 싱글. 아직 애매한 관계, 서로의 감정을 확인하며 생기는 미묘한 감정을 ‘알랑말랑’이라는 귀여운 단어로 표현한 인디팝. 진초이가 처음 한글 가사를 쓴 곡.”
|
Credits |
Title: 알랑말랑 (allang mallang)
Artist: ZIN CHOI Album: 알랑말랑 (allang mallang) Release Date: 2025.06.03
Written by: ZIN CHOI, Hitchhiker Produced by: ZIN CHOI, Hitchhiker
Arranged by: Hitchhiker Recorded by: Hitchhiker Mixed by: Hitchhiker Mastered by: Hitchhiker
Vocals: ZIN CHOI Chorus: ZIN CHOI Guitar: Hitchhiker Bass: Hitchhiker Keys: Hitchhiker Recorder: Boomin Kim
Recording Studio: Studio 22 Mixing Studio: Studio 22 Mastering Studio: Studio 22
Publishing: HYBE Label: 22 |
볼륨을 내려, 내 고민
Yeah right I’m catching feels
|
Credits |
1. Calvin (Feat. Lim Haeum)
Lyrics by a 9uy, Lim Haeum Composed by a 9uy, Lim Haeum, yumetree Arranged by a 9uy, yumetree
Artwork by a 9uy
Mixed & Mastered by 배재한 @등대사운드 |
言語道斷
내가 가진 모든 것을 그대에게 주었지요. 그것은 당신이 내게서 앗아간 것이기도 합니다. 이제 이 지난한 사랑의 막을 내리려 합니다. 이건 소멸하는 사랑에 대한 결심이고 선언입니다.
|
[Credits]
Produced by 이설아 Written, Composed by 이설아 Arranged by 이설아
Vocal 이설아, HONK BGV 이설아, HONK Guitars 박상권 Bass 이기학 Synth 이설아 Drums 이설아 Midi programming 이설아
Recorded by 남동훈, 조민제 at small’s studio (guitar, vocal) 이설아, HONK, 이기학, 박상권 Mixed by 곽동준, 임우석(Assist.) at small’s studio Mastered by 신재민 at philos planet
Album Photo Photo 엄서윤 Stylist 최예나 Hair/Makeup 김가현 Teaser image actor 김한서
Video Director 조원준 AD 송지엽 DOP 임재빈
Publishing by poclanos |
우린 질병처럼 퍼지는 저항이자 반항이다. 그러니 이제 좀 꺼져!
|
Credits |
Song Written, Lyric Written by 매미(MEMI)
Arranged by 매미(MEMI) Vocal by 매미(MEMI) Chorus by 매미(MEMI), 이승진(Rockjiny), 김혁재(Hyeokjae Kim), 민은홍(Eunhong Min) Guitar by 매미(MEMI), 이승진(Rockjiny) Bass by 김혁재(Hyeokjae Kim) Drums & Midi Programming by 매미(MEMI), 이승진(Rockjiny), 민은홍(Eunhong Min) Mixed by 이승진(Rockjiny) Mastering by 박준 & 도정회 at SoundMAX Album Cover by Jinny Park |
이 순간 꼭 정의하지 않아도,
너와 나, 지금 여기 함께 있는 것만으로 서로를 느끼기에 충분해.
Credits You&Me
Executive Producer yuzab
Lyrics by yuzab Composed by yuzab, 이머핀 Arranged by 이머핀 Produced by yuzab
Vocal by yuzab Chorus by yuzab Bass by 이머핀 Drum by 이머핀 Piano by 이머핀 EP by 이머핀 Guitar by 이머핀 Synth by 이머핀
Recorded by 이머핀 Mixed by 이머핀 Mastered by 이머핀
Artwork by Gonuk Visualizer by seju |
그러고는 바다를 가리키며 말했다. “저곳은 흔들리지 않는 것이 없어.”
–
가만히 노래를 듣다가 문득 호기심이 일었다. 별 건 아니었다. 대한민국의 도시 한복판에서 현재를 살아가며, 실제 뱃사람도 아니고 해안가에 살지도 않으면서, 녹이 슨 기타와 그물을 같은 선상에서 비유하는 젊은 음악가의 상상과 감성이 도대체 어떻게 피어나는지에 관해서 말이다. 좋은 포크는 있을 법한 풍경을 그린다. 불현듯 찾아 든 생각처럼 아침은 늘 무의식과 의식 사이에서 갑자기 솟아난다. 파도와 새 소리가 잠시 잠을 깨우다가, 노래는 이내 기타와 목소리가 들어서며 오늘의 시작을 알린다. 데뷔 싱글 ‘당신의 마음은 안녕하십니까’(2024)에서 통기타와 보컬만으로 담백하게 말을 건넸던 박충심은 두 번째 싱글 ‘사공의 노래’에서 리드미컬한 드럼과 베이스, 섬세한 보컬 코러스까지 덧대며 풍경을 확장했다. 마치 노를 젓듯이 음과 스트로크를 짚으며 바다와 세상을 향해 나아간다. “그냥 하는 거지.” 현실과 이상을 함께 등에 짊어진 화자의 들리지 않는 목소리가 울린다. 영롱한 기타의 여음에서는 출렁이는 바다의 물결이 몸을 일깨운다. 영리한 팝 음악가에게는 그가 의도하지 않아도 훌륭한 선배들의 정취가 스민다. 이 노래에는 1990년대 가요와 모던록의 향수, 동시대 포크 팝을 사랑하는 이들이 떠올릴 만한 요소가 은은하게 비친다. 첫 가사 “아침을 깨우는 소리”는 한동준의 이름을 알린 노래 ‘너를 사랑해’(1993)의 첫 구절(“아침이 오는 소리에 문득 잠에서 깨어”)이 곧바로 떠오른다. ‘너를 사랑해’가 사랑에 빠진 화자의 그저 순수함 넘치는 사랑 찬가라면 ‘사공의 노래’는 어딘지 허전한 그리움, 이와 같은 그리움의 대상을 찾아 나서는 소명, 잡히지 않는 것을 잡으려는 결연한 낭만이 깃들어 있다. 나긋나긋한 아련함 속에 단단한 힘을 갖춘 목소리는 송재경(9와 숫자들)이나 과거의 김민규(델리스파이스)를, 생을 따뜻하고도 초연하게 바라보는 관점은 기존의 소설가나 에세이스트로서가 아닌 시인 버전의 정밀아를, 포크 구성과 밴드 편성으로 결국 풍성한 팝의 질감을 완성한 형태는 천용성의 음악을 연상하게 한다. 노래가 시작할 때 풍경으로 떠오른 하루살이는 추억과 꿈을 지나쳐 다시 현실에 도달했다. 아웃트로에 다시 해변의 소리가 들려올 때, 노래가 다시 육지에 닿았을 때 나는 숨을 크게 한번 내쉬었다. 한 곡과 짧은 가사, 단출한 편성과 직관적인 멜로디에 압축한 풍부한 이미지 덕에 ‘사공의 노래’는 꽤 깊고 긴 여운을 남기고 있었다. 직감이 들었다. 분명 이 노래를 통해 우리는 박충심을 조금 알게 되지만, 그를 더욱 궁금해하게 될 거라고. – 대중음악평론가 정병욱(Byungwook Chung)
|
Credits |
Composer and Lyricist 박충심
Arrangement 박충심
Vocal 박충심 Chorus 박충심, 한유진 Guitar 박충심 Drum 김주헌 Bass 홍종민
Recorded, mixed and mastered by 민상용 @studioLOG
Photo and Art Designed by 김성민
Liner note by 대중음악평론가 정병욱 |
An anthology of love in all its forms |
Learn to Love
Credits
12BH Want to be high 정선 Jung Sun 정기가 gigajung 권그린 Greeny 전결 Jeon Gyeol
All Song Composed by 정선 Jung Sun All Tracks Mixed by 정기가 gigajung All Tracks Mastered by 신재민 @philosplanet All Songs Arranged by 12BH Want to be high
Artwork by 박소현 @so_hooi Published by POCLANOS
1. Ray
Song & Lyrics by 정선 Jung Sun Vocal by 정선 Jung Sun Back Vocal by 정기가 gigajung Guitar by 정기가 gigajung Bass by 권그린 Greeny Drum by 전결 Jeon Gyeol Synth by 정선 Jung Sun, 권그린 Greeny
2. Laura
Song & Lyrics by 정선 Jung Sun Vocal & Synth by 정선 Jung Sun Guitar by 정기가 gigajung Bass by 권그린 Greeny Drum by 전결 Jeon Gyeol
3. Elak
Song by 정선 Jung Sun Lyrics by 정선 Jung Sun, 이경 Lee Kyoung Vocal & Synth by 정선 Jung Sun Back Vocal by 정기가 gigajung Guitar by 정기가 gigajung Bass by 권그린 Greeny Drum by 전결 Jeon Gyeol
4. 너와 난 영원한 꿈 / Love Is Ever
Song by 정선 Jung Sun Lyrics by 정선 Jung Sun, 이경 Lee Kyoung Vocal & Synth by 정선 Jung Sun Guitar by 정기가 gigajung Bass by 권그린 Greeny Drum by 전결 Jeon Gyeol
5. My Blue
Song & Lyrics by 정선 Jung Sun Vocal & Synth by 정선 Jung Sun Guitar by 정기가 gigajung Bass by 권그린 Greeny Drum by 전결 Jeon Gyeol |
힘은 산을 뽑을 만하고 기운은 세상을 덮을 만하다. 즉, 세상을 뒤엎을 정도로 강한 힘과 기운을 일컫는 말이다.
– namu.wiki
|
Credits |
Vocal 김지호
Guitar 최진건 Bass 김민욱 Drum 정해준
01. 홧김에확
Composed by 최진건, 김지호 Arranged by Poser Lyrics by 김지호
02. 시대착오
Composed by 최진건, 김지호 Arranged by Poser Lyrics by 김지호
Mixed by 최진건 Mastered by 권남우@821 sound “for everyone who needs to shine” © 2025 ENAMEL(@enamelofficial.kr)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