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V] 포크라노스 오리지널 바이닐 시리즈 3

[POV] 포크라노스 오리지널 바이닐 시리즈 3

 

음악을 소비하는 속도가 어느 때보다도 빨라진 시대. 음반을 구매하기보다 ‘플레이리스트’에 수록된 음원을 디깅하는 시대.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작품을 계속해서 찾고자 하는 소중한 구독자분들 덕분에 포크라노스가 제작한 바이닐이 어느덧 열 타이틀을 돌파했습니다. 감사한 마음을 담아 포크라노스의 바이닐을 차근차근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각 작품들의 소개글에는, 음원 발매부터 피지컬 발매까지 전 과정을 함께한 포크라노스 스태프들의 시선이 담겨있습니다.

 


 

📀 사비나앤드론즈 <Lasha>

 

 

이번에 소개해드릴 작품은 바로 사비나앤드론즈의 정규 3집 [Lasha]. 때마침 얼마 전에 [Lasha]가 24년 한국대중음악상 팝 음반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습니다. 또 엊그제에는 흰 눈이 펑펑 내렸는데, 그 모습이 마치 화이트 ‘크리스블루스마스’가 온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어요. 세상이 어서 빨리 이 멋진 음반을 소개하라고 종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음반의 전체적인 주제는 난청으로 인해 귀에서 들려오는 이명이 마치 욕조에 귀가 빠진 것처럼 느껴졌다는 아티스트의 이야기가 아닐까 합니다. 그래서인지 ‘귀머거리 인생’이라는 강렬한 표현이나 파도 위에 둥둥 떠다니는 귀라는 상징적인 이미지가 유독 인상 깊게 남는 작품입니다. 듣는 것에 대한 아픔을 그저 노래함으로 담담히 화답한 만큼, 삶의 나침반을 잃고 헤매는 모든 이들의 마음에 울림을 전하는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디지털 커버 속 파도의 물결이 보다 확장되어 반짝거리는 [Lasha]의 바이닐 버전은 화이트 색상의 알판 덕분에 진중하면서도 차분한 멋을 담아냅니다. 단정한 세리프 폰트 글귀에 적힌 가사를 감상하다 보면, 어느새 깊은 바닷속을 유영하는 듯한 기분이 느껴지실 겁니다. [Lasha]의 바이닐은 포크라노스 비스테이지를 비롯한 각종 온오프라인 판매처를 통해 판매되고 있으니, 음반을 소장하고 싶은 분들은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 오늘만큼은 비냉이 아닌, 평냉에 소주 한잔하고픈 익명의 스태프 A

 

 


 

📀 김오키 <스피릿 선발대>

 

 

코타르 증후군, 자신이 이미 죽어 썩어가고 있다고 믿거나, 신체가 사라지고 영혼만 남았다고 생각하는 상태를 뜻합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감정을 걸러내는 법을 배웁니다. 시기, 질투, 분노, 경멸 같은 감정은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다고 여겨지고, 사람들은 이를 감추거나 회피합니다. 마치 멸치 떼처럼 무리에 섞여 군집을 이루고, 불편한 감정을 제거하려는 항균 작용처럼 말이죠. 하지만 감정을 무조건 제거한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될까요?

 

‘서로를 바라보다가 죽여버림’에서는 분노와 증오를 마주한 두 사람을 담아냅니다. 감정을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표출하고 충돌시키는 방식으로요. 이는 단순한 감정 해소가 아니라, 우리가 회피하는 감정과 마주해야 한다는 메시지로 읽힙니다. 우리는 때로 ‘코타르 증후군’에 걸린 듯, 자신이 이미 죽은 존재라고 느끼기도 하고, ‘나는 한국인이 아니다’라고 외치며 자기 자신을 부정하기도 합니다. 이 앨범은 세상의 병듦을 피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것을 직시하고, 질문을 던집니다. 우리가 불완전한 존재임을 인정할 때, 비로소 삶과 죽음, 소속과 부조리, 사랑과 분노를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더군요.

 

이번 바이닐 제작을 기념하여 싱어송라이터 ‘김일두(@kimildu)’ 원곡의 ‘가난한 사람들’을 재즈 버전으로 편곡하여 인트로를 장식하였으며,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모빌스 그룹’의 ‘모춘(@mochoon)’이 디자인으로 참여한 바이닐 버전의 새로운 앨범 자켓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살짝 투명한 주황 빛깔의 엘피 판은 역사에서 발굴해 낸 호박화석 같습니다.

 

우리는 사랑하기에 분노하고, 삶이 소중하기에 부조리함을 느낍니다. 김오키 선생님께서 가라사대, 우리 모두 [스피릿 선발대]를 듣고 살아갑시다. 사랑하며 서로 부둥켜안으며. 아무튼 명반입니다. 고민없이 지금 바로 구매하세요.

– 나도 당신들과 같은 직장인, 스태프 D

 

 


 

📀 The Poles <Anomalies in the oddity space>

 

 

청춘에 시작과 끝이 있을까? 청춘은 어느 방향으로 흘러갈까? 이 모호하고 이상한 질문에 대한 해답으로 ‘더 폴스 (The Poles)’의 [Anomalies in the oddity space]를 들어보길 권해본다. 더 폴스는 삶을 살아가면서 마주하는 ‘순간의 극점’에 대해 노래한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선택하는 크고 작은 순간들을 ‘극점’이라고 표현하면서 10년 동안 단단하게 쌓아온 아이덴티티를 응축시켜 마침내 폭발시키듯 그들은 이제 우주라는 공간으로 세계관을 확장해 나간다.

 

앨범의 의도된 순서대로 마지막 트랙까지의 재생을 마쳤다면 바이닐을 뒤집기 전 특이점을 발견을 하게 되는데, B 사이드에 담긴 트랙 제목들을 역순으로 읽어보면 ’Anomalies in the’, ‘Oddities’, ‘Space (kid)’ 하고 앨범 타이틀이 된다는 것. 연속되는 인생 가운데 청춘의 시작점을 알 수도, 시작된 청춘이 어디로 흘러갈지 모른다는 것을 방증이라도 하듯, 앨범의 끝인 줄 알았던 극점은 반환점이 되어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듯 보이는 일상에 작은 변칙을 선물한다.

 

영어 가사의 한 가운데 ‘그렇게 어렵진 않아’ 하고 툭 뱉어내는 한글 노랫말처럼 예측할 수 없는 그들의 변주가 갑작스럽기보단 되려 기다려 왔던 계절의 변화처럼 다가오는 이번 앨범이 더 폴스의 첫 바이닐인 것도 더욱 반가운 이유.

 

디지털 앨범 커버에서 확장된 앨범 자켓과 바이닐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모노톤의 이너슬리브, 그리고 클래식한 블랙 바이닐까지. 이들의 비주얼을 함께 만들어나가고 있는 아트워크 팀 we are not 0.00의 디자인으로 소장 가치를 더한 더 폴스의 첫 바이닐은 포크라노스 비스테이지를 비롯한 각종 오프라인 판매처에서 만나볼 수 있으니 놓치지 마시길.

 

– 낭만 빼면 시체, 스태프 F

 

 

 


 

📀 파란노을 <Sky Hundred>

 

 

국내외 많은 분들이 기다리셨을 파란노을의 정규 4집, [Sky Hundred]의 바이닐이 드디어 세상에 나왔습니다. 여전히 그 수요가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는 [To See the Next Part of the Dream]에 이어 포크라노스를 통해 제작된 파란노을의 두 번째 바이닐 [Sky Hundred]는 그 안과 밖을 모두 통틀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흩어지고 바래지는 것들을 하나하나 되짚어보게 하는 앨범입니다.

 

여전히 꿈과 현실 사이의 괴리, 잔인하리만치 선명한 청춘의 면면 등을 주제로 삼고 있었을지언정, 언제나 파아란 색감의 자켓을 통해 그 한편에 녹아든 젊음의 가능성을 함께 내비쳤던 파란노을의 초창기 앨범들. 그러나 이번 정규 4집의 선공개 싱글이었던 ‘황금빛 강’을 시작으로, 그의 음악은 해 질 녘 노을처럼 주홍빛으로 물들기 시작합니다. 음악을 막 시작하던 시기에 걸쳐있던 빛나는 순간들과 설렘이 어느샌가 희미해졌기 때문일까요. 그 부재와 공허를 통해 깨닫게 된 뼈저린 노스텔지어는 가장 지금의 파란노을을 대변하는 키워드인 듯합니다.

 

그러나, 식상한 표현일지라도 결코 변하지 않는 한 가지는 해가 져도 다시금 아침이 찾아온다는 사실입니다. 해가 뜨기 전의 새벽녘이 가장 어두운 것처럼, 아티스트로서의 지난한 고뇌는 분명 발돋움을 위한 성장통이겠지요. 그리하여 [Sky Hundred]는 파란노을이라는 아티스트의 과도기를 장식하는 앨범이기도 합니다. 가장 작은 곳에서 쏘아 올려진 그의 음악을 통해 전 세계 많은 팬들과 함께 마음이 동해본 적 있는 리스너라면, 더 나아가 그의 다음 행보를 여전히 기대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번 앨범을 꼭 한 장 실물로 소장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다가올 아침을 향한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품고 유의미한 변곡점으로서 기억될 [Sky Hundred]를 바이닐이라는 불변의 물성과 함께 여러분께 선보입니다.

 

– 수상할 정도로 카레를 사랑하는 익명의 스태프 B

 

 


 

📀 The Poles <The High Tide Club>

 

 

밴드 The Poles(더 폴스)의 첫 번째 정규 앨범 [The High Tide Club]의 바이닐을 소개한다. ‘더 폴스’라는 이름으로 첫 번째 정규작을 발매하기까지 5년, 그들은 마치 라인업에서 가장 크고 완벽한 파도를 만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시원하게 물살을 가르며 육지에 다다른 서퍼의 모습을 하고 [The High Tide Club]을 선보였다.

 

첫 트랙 ‘space’로 시작한 앨범은 밀물이 가장 높은 해면까지 꽉 차는 만조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고조되어 ‘High Tide’를 기점으로 다음 때를 기다릴 준비를 하기라도 하듯 ‘space (Acoustic Version)’으로 차분히 마무리된다. 정제된 수미상관의 구조 속에서도 크고 작은 파도를 만들어내며 전형적이지만은 않은 흐름을 보여주는 10개의 트랙들을 통해 그들은 The Poles (더 폴스)의 소리들을 각인시켰다.

그로부터 3년이 지난 2025년 1월 15일, 첫 정규작의 디지털 앨범 발매 3주년을 기념하며 [The High Tide Club]은 포크라노스 오리지널 바이닐로 재탄생했다. 파도 한가운데에서 만나는 거센 파도에 휩쓸리기보다 오히려 그 흐름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서핑을 하는 더 폴스. 지금도 그들은 깊은 바닷속처럼 잠잠하지만 그 어떤 것보다도 투명하게 새로운 절정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지 않을까.

 

– 이번 주말에도 도합 50시간을 외출할 예정인 익명의 스태프 F

 

 

 


 

 

오리지널 라이브 콘텐츠 POC at Live 런칭

포크라노스 오리지널 라이브 콘텐츠 ‘POC at Live’가 런칭되었습니다.

 

‘POC at Live’는 밴드 셋부터 DJ까지 다양한 음악과 아티스트의 퍼포먼스를 여러 베뉴를 통해 음악 중심의 연출로 선보이는 콘텐츠입니다.

 

본 콘텐츠는 포크라노스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김오키 [스피릿선발대] 바이닐 발매

포크라노스 바이닐의 열다섯 번째 작품, 색소포니스트 김오키의 대표작 [스피릿선발대]가 바이닐로 발매되었습니다.

 

17회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음악인’과 ‘최우수 재즈 & 크로스오버 재즈 음반’ 수상을 가능케 했던 김오키의 정규 9집 [스피릿선발대]는, 한국 사회의 이면에 누적된 불안과 상실에 관한 무게 있는 메시지를 재즈라는 장르와 절묘하게 결합한 대표곡 ‘코타르 증후군’과 함께 여전히 많은 사랑을 받는 작품입니다.

 

특별히 이번 바이닐에서는 싱어송라이터 ‘김일두’ 원곡 ‘가난한 사람들’의 재즈 버전과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모빌스 그룹’의 ‘모춘’이 디자인으로 참여한 바이닐 버전의 앨범 자켓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ide A

 

1.      가난한 사람들 (00:30)

2.      코타르 증후군 (06:01)

3.      나는 한국인이 아니다 (05:43)

4.      사라지고 또 (07:26_

5.       이겨내는 것들 (feat. 우원재) (03:21)

 

 

Side B

 

1.      서로를 바라보며 죽여버림 (feat. 히피는 집시였다) (04:29)

2.     불타는 거리의 작별인사 (07:13)

3.     그게 그러니까 (05:40)

4.     내 기억속에 공포가 (02:21)

5.      You’ve Got To Have A Flower On Your Mind (03:22)

 

 

*본 바이닐은 포크라노스 비스테이지를 포함한 온라인 판매처에서 구입 가능합니다.

 


 

 

 


바이닐 소개: 12” 33⅓RPM, 140g, Crystal Amber (1LP) 1 Pocket Gatefold (With OBI) Vinyl Manufactured in France, Printed in Korea Vinyl Mastered by 이재수 (Sonority Mastering)
판매처: @포크라노스 Bstage 온라인샵 @온라인 사이트 (Yes24, 교보 핫트랙스, 알라딘)

김오키 [편견에 대하여]

시종 음울한 톤을 유지하는 김오키의 색소폰은 혼돈, 분노, 조소, 체념 등 갖가지 마이너스적 감정들 사이를 온탕과 냉탕을 오가듯 넘나들고, 이런 연주에 호응하듯 수시로 불온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더블베이스의 나지막한 울림, 종종 불규칙하고 또 강박적으로 느껴져 왠지 모르게 초조함을 불러 일으키는 드럼의 타건이 여기에 어우러지면서 각각의 곡들이 지닌 부정적인 뉘앙스는 보다 또렷해진다.

 


 

김오키
편견에 대하여
2021.06.18

 

‘음악의 속성’에 대해 생각해본다.

소리를 재료로, 매개로 삼아 작가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이 예술의 속성은 지금껏 이 세상에 태어난 악곡들의 수만큼이나 각양각색일 테고, 그래서 “당신은 음악의 속성을 뭐라 생각하느냐”라고 주변에 물으면 아마도 꽤나 다채롭고 흥미로운 답들이 돌아올 것 같다. 정작 나 스스로가 떠올리는 답들은 하나같이 의외성이라곤 없이 뻔하여 약간 실망스러울 지경이지만.

 

『음악은 감정적이고, 자유롭고, 즉흥적이다. 동시에 이성적이고, 구조적, 형식적이기도 하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세상의 (적어도 내가 음악이라고 생각하는 범주 내에서의) 대부분의 음악들은 대체로 위의 속성들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여기서 음악의 이런 속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장르는 무엇일까-로 생각의 흐름을 조금 더 진전시키면 아주 자연스레 ‘재즈’를 떠올리게 된다. 특히 음악의 즉흥성과 구조적인 면의 양립, 대립 등을 그럴싸하게 떠들기에 재즈만큼이나 좋은 소재가 이 세상 그 어디에 또 있겠나.

 

‘김오키’는 한국의 테너 색소폰 주자, 그리고 프로듀서다. 돈만스키, 성자 조야표도르미하일로비치개돈만스키 등 여러 다른 예명들로도 불리고 있다. 2013년 EP [Cherubim’s Wrath (천사의 분노)]로 등장한 이래 현재까지의 8년 남짓한 시간 동안 개인 정규앨범 열세 장, 여기에 ‘김오키 새턴발라드’, ‘Fucking Madnesds’ 등의 프로젝트까지 포함하면 무려 열일곱 장의 정규, 혹은 EP를 세상에 내놓았으며 동시에 수많은 동료 음악가들의 작품에서 협연해왔다. 놀라운 행보다.

 

정작 더 놀라운 것은 이토록 다작을 하고, 또 다채로운 활동을 이어오는 속에서도 좀처럼 특정한 스타일에 안착하거나 동어반복을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예나 지금이나 김오키의 음악은 재즈뿐 아니라 다른 여러 대중음악 장르들과 자유롭게 교류한다. 그 결과물은 때로는 감정적이고, 때로는 즉흥적이었으며, 반면 한편으로는 다양한 장르의 문법을 적절히 활용하거나 명징한 테마, 구성을 갖추며 매우 구조적인 면모를 선보이기도 했다. 우리는 김오키를 편의상(?) ‘재즈’ 음악가로 분류하곤 하지만 정작 김오키 본인의 태도는 재즈, 혹은 다른 어떤 형식에도 얽매인 적 없이 늘 자유롭게, 새로움을 향해 뻗어간다. 그리고 나는 이와 같은 그의 행보, 그리고 그의 음악이 서두에서 이야기한 ‘음악의 속성’과 꽤나 닮은 모습이라 생각한다.

 

[편견에 대하여]는 김오키의 열세 번째 정규앨범이다. 색소폰, 더블베이스, 그리고 드럼의 전형적인 색소폰 트리오 편성으로 레코딩되었는데 그간 대부분의 작품, 공연에서 함께해온 베이시스트 ‘정수민’이 아니라 과거 ‘The South Korean Rhythm Kings’으로 함께한 적이 있는 ‘송남현’이 모처럼 합을 맞추며 참여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제목 그대로 ‘편견에 대해’ 이야기하는 작품으로 음악가 개인의 어떤 경험들이 동기가 되어 출발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지극히 사적이고, 또 감정적인 면모가 도드라진다. (조금 더 거창하게 의미를 부여하자면 사회에 여전히 만연한 온갖 편견들을 성토하는, 일종의 ‘시대유감’ 성명 같은 것으로도 바라볼 수 있으려나) 시종 음울한 톤을 유지하는 김오키의 색소폰은 혼돈, 분노, 조소, 체념 등 갖가지 마이너스적 감정들 사이를 온탕과 냉탕을 오가듯 넘나들고, 이런 연주에 호응하듯 수시로 불온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더블베이스의 나지막한 울림, 종종 불규칙하고 또 강박적으로 느껴져 왠지 모르게 초조함을 불러 일으키는 드럼의 타건이 여기에 어우러지면서 각각의 곡들이 지닌 부정적인 뉘앙스는 보다 또렷해진다. 특히 이 작품 속 김오키의 블로잉은 하나같이 ‘응어리진 어떤 감정들의 표출 내지는 배설’처럼 다가온다.

 

직전에 나온 또 다른 정규작 [Everytime]과 이 작품을 비교해 감상하는 것은 꽤나 흥미로운 경험이 될 것이다. 두 작품의 음악적 색채, 접근법, 태도 등이 완전히 반대 지점에 서있는 까닭이다. 프리재즈적인 곡들로 연주자 김오키의 일면을 부각시키는 [편견에 대하여]에 비해 전작 [Everytime]은 여러 연주자들과 피쳐링진을 대거 동반하는 동시에 장르적으로도 힙합, 일렉트로닉, 팝 등을 넘나드는 프로덕션, 그렇게 탄생된 다양한 색채의 트랙들을 균형감 있게 배치한 구성, 더불어 본인이 전면에 나서기보다 곡의 일부로 기능하며 밸런스를 추구한 듯한 연주 등을 통해 ‘프로듀서’로서의 김오키’의 면모를 분명히 드러낸다. 동일한 아티스트가 비슷한 시기에 발표한 작품들임에도 이토록 확연히 다를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꼭 이 두 앨범을 함께 감상해보길 권한다. 김오키라는 음악가가 지닌 흥미진진한 다양성을 직관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가장 쉽고도 훌륭한 방법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Editor / 김설탕

|